한국어능력시험

한국어능력시험 | |
---|---|
약칭 | TOPIK |
실시 국가 | ![]() |
분야 | 어학 |
시행 기관 |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
시행 시작 | 1997년 |
등급 | 1급 ~ 6급 |
외부 링크 | 한국어 공식 웹사이트 |
외부 링크2 | 일본어 공식 웹사이트 |
한국어능력시험(韓國語能力試驗, 영어: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은 국가기관인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주관하는 한국어 능력 시험으로 국가가 직접 운영하는 시험이다. 시험 대상은 외국인, 재외국민 특례 대상자 혹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형식[편집]
방문취업제로 인해 실무한국어능력시험이 신설되면서 2006년 12월 기존 한국어능력시험과 구분하기 위해 두가지 시험 즉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OPIK)과 실무 한국어능력시험(B-TOPIK)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S-TOPIK은 기존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의 새로운 이름으로 B-TOPIK과 구분하기 위해서 구분한 명칭이다. 취업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실무 한국어능력시험(B-TOPIK)은 2011년부터 폐지되었으므로 S-TOPIK이라는 명칭이 아닌 TOPIK으로 불린다. 일반 한국어능력시험(TOPIK) 1종의 시험이 있으며 TOPIK은 난이도에 따라 다시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뉜다. 일반 한국어능력시험은 어휘·문법, 쓰기, 듣기, 읽기 총 네 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하기 영역은 없다.
TOPIK에서 각 단락의 평균 점수와 최소 점수에 따라 초급에서는 1-2급을, 중급에서는 3-4급을, 고급에서는 5-6급을 받을 수 있다. 2014년 하반기부터는 듣기·읽기만 평가하는 TOPIK Ⅰ (1~2급)과 듣기·읽기·쓰기만 평가하는 TOPIK Ⅱ (3~6급) 2개로 개편된다.
시험 지역[편집]
시험은 미주·유럽·아프리카·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A형 시험지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B형 시험지로 치러지고 있다.
등급별 평가기준[편집]
시험수준 | 등급 | 평가기준 |
---|---|---|
TOPIKⅠ | 1급 |
|
2급 |
| |
TOPIKⅡ | 3급 |
|
4급 |
| |
5급 |
| |
6급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TOPIK 시험소개”. 2017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자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