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록실아민
| |||
![]() | |||
이름 | |||
---|---|---|---|
우선명 (PIN)
hydroxylamine (only preselected[1]) | |||
별칭
azinous acid,
aminol, azanol, hydroxyamine, hydroxyazane, hydroxylazane, nitrinous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3DMet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9.327 | ||
EC 번호 |
| ||
478 | |||
KEGG | |||
MeSH | Hydroxylamine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NH 2OH | |||
몰 질량 | 33.030 g·mol−1 | ||
겉보기 | 선명한 흰색의 불투명 결정 | ||
밀도 | 1.21 g cm−3 (at 20 °C)[2] | ||
녹는점 | 33 °C (91 °F; 306 K) | ||
끓는점 | 58 °C (136 °F; 331 K) /22 mm Hg (decomposes) | ||
log P | −0.758 | ||
산성도 (pKa) | 6.03 ([NH 3OH]+ ) | ||
염기도 (pKb) | 7.97 | ||
구조 | |||
Trigonal at N | |||
Tetrahedral at N | |||
0.67553 D | |||
열화학 | |||
열용량 (C)
|
46.47 J K−1 mol−1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236.18 J K−1 mol−1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39.9 kJ/mol | ||
위험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ICSC 0661 | ||
GHS 그림문자 | ![]() ![]() ![]() ![]() ![]() | ||
신호어 | 위험 | ||
H200, H290, H302, H312, H315, H317, H318, H335, H351, H373, H400 | |||
P201, P202, P234, P260, P261, P264, P270, P271, P272, P273, P280, P281, P301+312, P302+352, P304+340, P305+351+338, P308+313, P310, P312, P314, P321, P322, P330, P332+313, P333+313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129 °C (264 °F; 402 K) | ||
265 °C (509 °F; 538 K)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408 mg/kg (oral, mouse); 59–70 mg/kg (intraperitoneal mouse, rat); 29 mg/kg (subcutaneous, rat)[3] | ||
관련 화합물 | |||
관련 hydroxylammonium salts
|
Hydroxylammonium chloride Hydroxylammonium nitrate Hydroxylammonium sulfate | ||
관련 화합물
|
Ammonia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하이드록실아민(영어: hydroxylamine)은 화학식이 NH
2OH인 무기 화합물이다. 이 물질은 백색 결정의 흡습성 화합물이다.[4] 하이드록실아민은 거의 무조건 수용액으로 제공되어 사용된다. 생물학적 질산화 작용의 중간 생성물이다. 하이드록실아민에 대한 NH3의 산화는 생물학적 질산화 작용에서의 한 단계이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Front Matter〉.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ambridge: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993쪽. doi:10.1039/9781849733069-FP001. ISBN 978-0-85404-182-4.
- ↑ Lide, David R., 편집. (2006).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87판. Boca Raton, FL: CRC Press. ISBN 0-8493-0487-3.
- ↑ Martel, B.; Cassidy, K. (2004). 《Chemical Risk Analysis: A Practical Handbook》. Butterworth–Heinemann. 362쪽. ISBN 978-1-903996-65-2.
- ↑ Greenwood and Earnshaw. Chemistry of the Elements. 2nd Edition. Reed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Publishing Ltd. pp. 431–432. 1997.
- ↑ Lawton, Thomas J.; Ham, Jungwha; Sun, Tianlin; Rosenzweig, Amy C. (2014년 9월 1일). “Structural conservation of the B subunit in the ammonia monooxygenase/particulate methane monooxygenase superfamily”. 《Proteins: Structure, Function, and Bioinformatics》 (영어) 82 (9): 2263–2267. doi:10.1002/prot.24535. ISSN 1097-0134. PMC 4133332. PMID 24523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