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폴룩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폴리데우케스에서 넘어옴)

폴룩스
폴룩스(왼쪽)와 태양(오른쪽)의 크기 비교.
폴룩스(왼쪽)와 태양(오른쪽)의 크기 비교.
명칭
다른 이름 쌍둥이자리 베타, 쌍둥이자리 78, BD+28°1463, GCTP 1826.00, 글리제 286, HD 62509, HIP 37826, HR 2990, LFT 548, LHS 1945, LTT 12065, SAO 79666.[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쌍둥이자리
적경(α) 07h 45m 18.94987s[2]
적위(δ) +28° 01′ 34.3160″[2]
겉보기등급(m) 1.14[3]
절대등급(M) 1.08 ± 0.02[4]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96.54 ± 0.27 밀리초각[2]
성질
광도 43 L[5]
나이 7억 2400만 년[6]
분광형 K0 III[7]
추가 사항
질량 2.04 ± 0.3 M[8]
표면온도 4666 ± 95 K[9]
중원소 함량 (Fe/H) –0.07 ~ +0.19[9]
표면 중력 (log g) 2.685 ± 0.09[9]
자전 속도 2.8[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폴룩스(β Gem / β Geminorum /Beta Geminorum, 영어: Pollux)는 쌍둥이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34광년 떨어져 있는 거성이다. 바이어 명명법에 따르면 두 번째로 밝은 별이어야 하지만 카스토르를 제치고 쌍둥이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도 하다. 1943년부터 폴룩스는 다른 별들의 분광형을 결정하는 '기준점 분광형 항성'의 역할을 해 왔다.[11] 2006년 폴룩스를 도는 외계 행성 태스티아스(폴룩스 b)가 발견되었다.[9]

이름

[편집]

이름 폴룩스는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에 나오는 쌍둥이 폴룩스와 카스토르에서 따 온 것이다.[12]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쌍둥이자리 베타로 읽는다.

카스토르, 폴룩스 두 별 때문에 해당 별자리의 이름이 '쌍둥이자리'가 된 것이다.(라틴어로 Gemini는 쌍둥이를 뜻한다.) 그러나 이름과는 달리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판이하게 다르다. 카스토르는 여섯 개의 밝고 젊은 A형 별과 적색 왜성들이 복잡하게 서로를 돌고 있는 육중성계임에 비해 폴룩스는 한 개의 별이며 청년기를 지나 죽어가는 오렌지색 거성이다. 영국 시인 퍼시 비시 셸리는 1818년에 쓴 시 《호메로스가 폴룩스와 카스토르에게 바치는 찬가》(Homer's Hymn To Castor And Pollux)에서 폴룩스를 '온후한 풀룩스여, 흠잡을 곳이 없구나.'라고 표현했다.[13]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달력》(Calendarium of Al Achsasi Al Mouakket)에 수록된 성표에는 '무에크헤르 알 드지라'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앞발의 끝부분'이라는 뜻이다.[14]

동아시아권에서는 폴룩스, 카스토르, 쌍둥이자리 로 셋으로 이루어진 별자리를 북하(北河, 북쪽 강)로 불렀다.[15] 폴룩스 자체는 북하삼(北河三)으로 '북하에서 세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6]

특징

[편집]

히파르코스 인공위성의 연주시차 측정에 따르면, 지구로부터 약 33.78 광년 (10.36 파섹) 거리에 위치해 있다.[2][17][18] 맨눈으로 보았을 때 밝기는 1.1등급으로[19] 밤하늘 별들 중 손에 꼽을 수준이다. 바이어 명명법상 '베타'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는 알파별 카스토르보다 더 밝다. 질량은 태양의 두 배, 반지름은 아홉 배 정도이다.[9] 질량으로 볼 때 폴룩스는 주계열 시절 A형 주계열성이었을 것이며[8]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모두 태운 뒤 분광형 K0 III의 거성으로 진화하였다.[7] 나이는 약 7억년 정도로 태양에 비하면 매우 젊은 별이지만, 질량이 높기 때문에 태양보다 훨씬 먼저 적색거성 단계에 진입했다. 대기층의 유효온도는 4666 켈빈으로[9] 이 온도에서 우리 눈에 오렌지색으로 빛나는 것처럼 보인다.[20] 자전 속도는 초당 2.8 킬로미터이다.[10] 수소 및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 함유량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추정치는 태양의 85%에서 155%까지 다양하다.[9][21]

ROSAT 궤도 망원경이 폴룩스로부터 약한 엑스선 분출을 관측한바 있는데 그 양은 약 1027 erg s−1로 태양이 뿜는 양과 거의 같다. 1 가우스보다 작은 자기장이 항성 표면에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항성들 중 매우 약한 수준이다. 이 자기장으로부터 폴룩스가 한때는 이보다 훨씬 강한 자기장을 지녔던 Ap/Bp 별이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8] 시선속도에 작은 진폭이 관측되나 측광학적으로 볼 때 변광성은 아니다.[22]

행성계

[편집]

1993년부터 폴룩스의 시선속도를 측정, 동반천체를 찾기 시작했다.[23] 2006년 6월 16일 별을 태양~화성 간격 정도 떨어져서 도는 행성급 천체 하나를 발견했으며 이름은 폴룩스 b로 명명되었다. 이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최소 2.3배이며 1 공전주기는 약 590일이다.[9]

2014년 7월 국제천문연맹은 주요 외계행성에 애칭을 붙여주는 캠페인을 펼쳤는데[24][25] 2015년 12월 폴룩스 b의 새 이름은 테스티아스(Thestias)로 결정되었다.[26] 원래는 오스트레일리아 더 스카이넷(theSkyNet)에서 폴룩스의 어머니 이름인 '레다'를 제출했다. 그러나 국제천문연맹은 그 이름은 이미 소행성 38 레다, 목성의 위성 레다에 있다고 하여 선정하지 않았고 대신 테스티오스의 딸 테스티아스로 대체하여 선정했다.[27][28]

동반 천체
(가까운 천체순)
질량
(MJ)
공전주기
()
공전궤도 반지름
(AU)
이심률
b (테스티아스) 2.3 ± 0.45 589.64 ± 0.81 1.64 ± 0.27 0.02 ± 0.03

각주

[편집]
  1. “POLLUX -- Variab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14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0. Bibcode:2002yCat.2237....0D. 
  4. Carney, Bruce W.; 외. (2008년 3월), “Rotation and Macroturbulence in Metal-Poor Field Red Giant and Red Horizontal Branch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3): 892–906, arXiv:0711.4984, Bibcode:2008AJ....135..892C, doi:10.1088/0004-6256/135/3/892 
  5. Mallik, Sushma V. (1999년 12월), “Lithium abundance and mas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2: 495–507, Bibcode:1999A&A...352..495M 
  6. Takeda, Yoichi; Sato, Bun'ei; Murata, Daisuke (2008년 8월), “Stellar parameters and elemental abundances of late-G giant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60 (4): 781–802, arXiv:0805.2434, Bibcode:2008PASJ...60..781T, doi:10.1093/pasj/60.4.781 
  7. Morgan, W. W.; Keenan, P. C. (1973), “Spectral Classification”,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 29, Bibcode:1973ARA&A..11...29M, doi:10.1146/annurev.aa.11.090173.000333 
  8. Aurière, M.; 외. (2009년 9월), “Discovery of a weak magnetic field in the photosphere of the single giant Pollux”,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4 (1): 231–237, arXiv:0907.1423, Bibcode:2009A&A...504..231A, doi:10.1051/0004-6361/200912050 
  9. Hatzes, A. P.; 외. (2006), “Confirmation of the planet hypothesis for the long-period radial velocity variations of β Geminorum”,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7: 335–341, arXiv:astro-ph/0606517, Bibcode:2006A&A...457..335H, doi:10.1051/0004-6361:20065445 
  10. Massarotti, Alessandro; 외. (2008년 1월),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761 HIPPARCOS Giants and the Role of Binarity”,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1): 209–231, Bibcode:2008AJ....135..209M, doi:10.1088/0004-6256/135/1/209 
  11. Garrison, R. F. (1993년 12월), “Anchor Points for the MK System of Spectral Classific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5: 1319, Bibcode:1993AAS...183.1710G, 2019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4일에 확인함 
  12. “Pollux”.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linois & Champaign, Illinois Campus. 2008.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7일에 확인함. 
  13. http://allpoetry.com/poem/8499261-Homers_Hymn_To_Castor_And_Pollux-by-Percy_Bysshe_Shelley
  14. Knobel, E. B. (1895년 6월).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429.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15.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陳久金.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16.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11년 1월 30일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2016-04-17.
  17. Perryman, M. A. C.; Lindegren, L.; Kovalevsky, J.; 외. (1997년 7월),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3: L49–L52, Bibcode:1997A&A...323L..49P 
  18. Perryman, Michael (2010),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Heidelberg: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11602-5 
  19. Lee, T. A. (1970년 10월), “Photometry of high-luminosity M-type stars”, 《Astrophysical Journal》 162: 217, Bibcode:1970ApJ...162..217L, doi:10.1086/150648 
  20.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21. 중원소함량 [Fe/H]은 10의 지수 형식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10−0.07은 0.85, 10+0.19는 1.55이다.
  22. Henry, Gregory W.; 외. (2000년 9월), “Photometric Variability in a Sample of 187 G and K Giant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30 (1): 201−225, Bibcode:2000ApJS..130..201H, doi:10.1086/317346. 
  23. A. P. Hatzes; 외. (1993). “Long-period radial velocity variations in three K giants”. 《The Astrophysical Journal》 413: 339–348. Bibcode:1993ApJ...413..339H. doi:10.1086/173002. 
  24.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IAU.org. 2014-07-09.
  25. “NameExoWorlds The Process”. 2015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7일에 확인함. 
  26.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12-15.
  27.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2018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7일에 확인함. 
  28. YOU helped name an exoplanet! Archived 2018년 5월 7일 - 웨이백 머신, TheSkyNet, 2015-12-17
인용 오류: <references> 태그 안에 정의된 "aj135_1_209"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에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