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자리 엡실론
쌍둥이자리 엡실론 | ||
쌍둥이자리에서의 쌍둥이자리 엡실론의 위치 | ||
명칭 | ||
---|---|---|
다른 이름 | Epsilon Gem, ε Gem, 27 Geminorum, FK5 254, HD 48329, HIP 32246, HR 2473, SAO 78682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쌍둥이자리 | |
적경(α) | 06h 43m 55.92626s[1] | |
적위(δ) | +25° 07′ 52.0515″[1] | |
겉보기등급(m) | 3.06[2] | |
절대등급(M) | -3.90<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3.86 ± 0.17 밀리초각[1] | |
성질 | ||
광도 | 8,500 L☉ | |
나이 | 8.3±0.1 억년 | |
분광형 | G8 Ib[3] | |
추가 사항 | ||
질량 | 19.2±0.1 M☉ | |
표면온도 | 4,662±36 K | |
중원소 함량 (Fe/H) | 0.15±0.07[4] | |
표면 중력 (log g) | 0.88±0.05[4] | |
자전 속도 | 8.7±1.0 | |
항성 목록 |
쌍둥이자리 엡실론 또는 메브수타는 /mɛbˈsuːtə/,[5][6] 쌍둥이자리의 항성이며, 카스트로의 오른쪽 다리의 뻗어 있는 부분에 위치해있다. 겉보기 등급은 +3.06으로 이 별자리에서 밝은 항성 중의 하나이다. 이 별까지의 거리는 연주시차에 의해 840㎛(260㎛)로 측정되었으며, 오차범위는 40%(12pc)이다.[1]
명명법
[편집]쌍둥이자리 엡실론(라틴 문자로 Epsilon Geminorum)은 이 별의 바이얼 명명법 이름이다. 전통적인 이름은 메부스타, 멜부라 또는 멜쿠타이다. 멧부사의 어원은 고대 아랍어였고 멧부다라는 별은 사자의 다리였다. 메브슈타(Mabsuta)는 뻗은 앞발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했다. 국제천문학연합은 2016년 별 이름에 관한 실무그룹(WGSN)을 조직해 별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했다. 이때, 이 별의 고유 이름인 메브슈타가 포함되어 있었다.[7][8]
중국 별자리로는 정수 별자리에 속해 있다.[9]井宿五 (Jǐng Su wǔ, the Fifth Star of Well.)[10]
속성
[편집]이 별의 스펙트럼은 G8Ib의 항성 분류와 일치하며 Ib의 광도 분류는 이것이 더 낮은 광도의 초거성임을 나타낸다. 혹은 점근적 가지 단계를 통과하여 분리된 행성상 성운을 가지고 있는 별일 수 있다. 이 별의 추정 질량은 태양의 19배 이상이다. 1943년 이래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이 분류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기능해 왔다.[3][11]
쌍둥이자리 엡실론은 표면온도 4662K로 태양 외기의 약 8500배의 광도를 방사하고 있다. 이 온도가 G형 별의 노랗게 빛나는 것이다.[12][13]
엄폐
[편집]쌍둥이자리 엡실론은 황도 근처에 있기 때문에 달과 행성에 의해 엄폐될 수 있다. 이 같은 엄폐는 1976년 4월 8일 화성에 의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화성 외기의 양극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쌍둥이자리 엡실론은 1940년 6월 10일 수성에 의해, 2015년 9월 3일 소행성 이피게니아에 의해 엄폐되었다.
문화
[편집]USS Melucta(AK-131)는 이 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미 해군 크레이터급 화물선이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loor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v1,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Note: see VizieR catalogue I/311.
- ↑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0. Bibcode:2002yCat.2237....0D.
- ↑ 가 나 Nordgren, Tyler E.; 외. (December 1999), “Stellar Angular Diameters of Late-Type Giants and Supergiants Measured with the Navy Prototype Optical Interferometer”, 《The Astronomical Journal》 118 (6): 3032–3038, Bibcode:1999AJ....118.3032N, doi:10.1086/301114
- ↑ 가 나 Wu, Yue; 외. (January 2011), “Coudé-feed stellar spectral library - atmospheric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5: A71, arXiv:1009.1491, Bibcode:2011A&A...525A..71W, doi:10.1051/0004-6361/201015014, S2CID 53480665
- ↑ Davis, George A. (1944). “The pronunciations, derivations, and meanings of a selected list of star names”. 《Popular Astronomy》 52: 8–30. Bibcode:1944PA.....52....8D.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1월 30, 2011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 ↑ Garrison, R. F. (December 1993), “Anchor Points for the MK System of Spectral Classific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5: 1319, Bibcode:1993AAS...183.1710G, 2019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4일에 확인함
- ↑ Können, G. P.; Van Maanen, J. (1981), “Planetary occultations of bright stars”,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91: 148–157, Bibcode:1981JBAA...91..148K.
- ↑ 《Steve's Asteroid Occultations》,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