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쌍둥이자리 엡실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쌍둥이자리 엡실론
쌍둥이자리에서의 쌍둥이자리 엡실론의 위치
쌍둥이자리에서의 쌍둥이자리 엡실론의 위치
명칭
다른 이름 Epsilon Gem, ε Gem, 27 Geminorum, FK5 254, HD 48329, HIP 32246, HR 2473, SAO 78682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쌍둥이자리
적경(α) 06h 43m 55.92626s[1]
적위(δ) +25° 07′ 52.0515″[1]
겉보기등급(m) 3.06[2]
절대등급(M) -3.90<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3.86 ± 0.17 밀리초각[1]
성질
광도 8,500 L
나이 8.3±0.1 억년
분광형 G8 Ib[3]
추가 사항
질량 19.2±0.1 M
표면온도 4,662±36 K
중원소 함량 (Fe/H) 0.15±0.07[4]
표면 중력 (log g) 0.88±0.05[4]
자전 속도 8.7±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쌍둥이자리 엡실론 또는 메브수타/mɛbˈstə/,[5][6] 쌍둥이자리의 항성이며, 카스트로의 오른쪽 다리의 뻗어 있는 부분에 위치해있다. 겉보기 등급은 +3.06으로 이 별자리에서 밝은 항성 중의 하나이다. 이 별까지의 거리는 연주시차에 의해 840㎛(260㎛)로 측정되었으며, 오차범위는 40%(12pc)이다.[1]

명명법

[편집]

쌍둥이자리 엡실론(라틴 문자로 Epsilon Geminorum)은 이 별의 바이얼 명명법 이름이다. 전통적인 이름은 메부스타, 멜부라 또는 멜쿠타이다. 멧부사의 어원은 고대 아랍어였고 멧부다라는 별은 사자의 다리였다. 메브슈타(Mabsuta)는 뻗은 앞발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했다. 국제천문학연합은 2016년 별 이름에 관한 실무그룹(WGSN)을 조직해 별의 고유 명칭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했다. 이때, 이 별의 고유 이름인 메브슈타가 포함되어 있었다.[7][8]

중국 별자리로는 정수 별자리에 속해 있다.[9]井宿五 (Jǐng Su wǔ, the Fifth Star of Well.)[10]

속성

[편집]

이 별의 스펙트럼은 G8Ib의 항성 분류와 일치하며 Ib의 광도 분류는 이것이 더 낮은 광도의 초거성임을 나타낸다. 혹은 점근적 가지 단계를 통과하여 분리된 행성상 성운을 가지고 있는 별일 수 있다. 이 별의 추정 질량은 태양의 19배 이상이다. 1943년 이래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이 분류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기능해 왔다.[3][11]

쌍둥이자리 엡실론은 표면온도 4662K로 태양 외기의 약 8500배의 광도를 방사하고 있다. 이 온도가 G형 별의 노랗게 빛나는 것이다.[12][13]

엄폐

[편집]

쌍둥이자리 엡실론은 황도 근처에 있기 때문에 달과 행성에 의해 엄폐될 수 있다. 이 같은 엄폐는 1976년 4월 8일 화성에 의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화성 외기의 양극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쌍둥이자리 엡실론은 1940년 6월 10일 수성에 의해, 2015년 9월 3일 소행성 이피게니아에 의해 엄폐되었다.

문화

[편집]

USS Melucta(AK-131)는 이 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미 해군 크레이터급 화물선이다.

각주

[편집]
  1. van Leeuwen, Floor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v1,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Note: see VizieR catalogue I/311.
  2.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0. Bibcode:2002yCat.2237....0D. 
  3. Nordgren, Tyler E.; 외. (December 1999), “Stellar Angular Diameters of Late-Type Giants and Supergiants Measured with the Navy Prototype Optical Interferometer”, 《The Astronomical Journal》 118 (6): 3032–3038, Bibcode:1999AJ....118.3032N, doi:10.1086/301114 
  4. Wu, Yue; 외. (January 2011), “Coudé-feed stellar spectral library - atmospheric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5: A71, arXiv:1009.1491, Bibcode:2011A&A...525A..71W, doi:10.1051/0004-6361/201015014, S2CID 53480665 
  5. Davis, George A. (1944). “The pronunciations, derivations, and meanings of a selected list of star names”. 《Popular Astronomy》 52: 8–30. Bibcode:1944PA.....52....8D. 
  6.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7.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8.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9.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10.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1월 30, 2011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11. Garrison, R. F. (December 1993), “Anchor Points for the MK System of Spectral Classific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5: 1319, Bibcode:1993AAS...183.1710G, 2019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4일에 확인함 
  12. Können, G. P.; Van Maanen, J. (1981), “Planetary occultations of bright stars”,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91: 148–157, Bibcode:1981JBAA...91..148K. 
  13. 《Steve's Asteroid Occultations》,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