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지진 정보
![]() | 이 틀은 루아를 사용합니다: |
특정 지진 관련 문서에 사용하는 정보 상자입니다.
사용법
다음 내용을 복사하여 문서 상단에 붙여넣기한 후 필요한 인수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기본
코멘트 있음 |
---|
{{지진 정보 | 이름 = <!-- 지진의 이름 --> | 그림 = <!-- 지진과 관련된 그림 파일 제목 --> | 그림크기 = <!-- 그림의 크기 설정. px 단위. --> | 그림설명 = <!-- 그림의 캡션 설명 --> | 위치지도 = <!-- 지진 진앙을 표시할 위치지도 이름 --> | 전진 = <!-- 전진의 횟수 --> | 최대전진 = <!-- 최대 규모, 진도의 전진 --> | 타임스탬프 = <!-- UTC 시각 표시. YYYY-MM-DD HH:MM:SS 형식으로 작성 --> | 1900년이전 = <!-- 1900년 이전에 발생한 지진인 경우 yes로 작성 --> | isc-event = <!-- ISC의 지진 기록 번호 --> | anss-url = <!-- USGS의 ANSS의 지진 분류 기호 --> | 현지일 = <!-- 지진이 발생한 현지 날짜 --> | 현지시간 = <!-- 지진이 발생한 현지 시각 --> | 규모종류 = <!-- 표기한 규모의 종류 --> | 규모 = <!-- 지진의 규모. 숫자로만 작성 --> | 규모기타 = <!-- 그 외 기타 지진 규모 --> | 진도종류 = <!-- 표기한 진도의 종류 --> | 진도 = <!-- 지진의 최대진도 --> | 진도지점 = <!-- 최대진도를 관측한 지점 --> | 최대지반가속도 = <!-- 지진의 PGA --> | 깊이 = <!-- 지진이 발생한 진원 깊이 --> | 진앙 = <!-- 지진의 진앙 위치 --> | 좌표 = <!-- 지진의 좌표. coord 틀을 이용해 작성 --> | 종류 = <!-- 지진의 종류 --> | 여진 = <!-- 발생한 여진 횟수 --> | 최대여진 = <!-- 발생한 최대 규모, 진도의 여진 --> | 사상자 = <!-- 지진으로 발생한 사상자수 --> | 피해지역 = <!-- 지진의 피해를 입은 지역 --> | 피해액 = <!-- 지진으로 발생한 재산 피해 금액 --> | 해일 = <!-- 지진으로 발생한 지진해일 여부 --> | 산사태 = <!-- 지진으로 발생한 산사태 여부 --> | 출처 = <!-- 기타 기록용 출처 --> }} |
코멘트 없음 |
{{지진 정보 | 이름 = | 그림 = | 그림크기 = | 그림설명 = | 위치지도 = | 전진 = | 최대전진 = | 타임스탬프 = | 1900년이전 = | isc-event = | anss-url = | 현지일 = | 현지시간 = | 규모종류 = | 규모 = | 규모기타 = | 진도종류 = | 진도 = | 진도지점 = | 최대지반가속도 = | 깊이 = | 진앙 = | 좌표 = | 종류 = | 여진 = | 최대여진 = | 사상자 = | 피해지역 = | 피해액 = | 해일 = | 산사태 = | 출처 = }} |
전체
{{지진 정보 | 이름 = | 현지이름 = | 현지이름언어 = | 그림 = | 그림크기 = | 대체설명 = | 설명 = | 지도 = | 지도크기 = | 지도대체설명 = | 그림이름 = | 위치지도 = | 위치지도라벨 = | 위치지도대체설명 = | 위치지도마크 = | 위치지도마크크기 = | 위치지도설명 = | 위치지도위치 = | 위치지도크기 = | 위치지도대체그림 = | 지도2 = | 전진 = | 최대전진 = | 1900년이전 = | 타임스탬프 = | 태그 = | isc-event = | anss-url = | 현지일 = | 현지시간 = | 지속시간 = | 규모종류 = | 규모 = | 규모2 = | 규모기타 = | 진도종류 = | 진도 = | 진도지점 = | 최대지반가속도 = | 최대지반속도 = | 깊이 = | 진앙 = | 좌표 = | 단층 = | 종류 = | 여진 = | 최대여진 = | 피해지역 = | 피해 = | 피해액 = | 해일 = | 산사태 = | 사상자 = | 최대규모 = | 평균깊이 = | 발생사건수 = | 출처 = | 기타 = | 연관주제 = }} |
다중지진의 경우
UTC 시각 | 이중지진: |
---|---|
A: 2011-02-21 23:51:42 | |
B: 2011-02-22 00:04:17 | |
ISC 지진번호 | |
A: 16168897 | |
B: 16461282 | |
현지일 | 2011년 2월 11일 |
현지시간 | |
A: 13:54 a.m | |
B: 14:05 p.m. | |
규모 | |
A: 6.1 | |
B: 5.5 |
이중지진 등 다중지진의 경우 |timestamp=doublet
("triplet" 혹은 "multiplet"도 가능)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분류:이중지진이 삽입되며, 또한 각 다중지진에 해당하는 지진 데이터를 틀 안에 채워넣을 수 있습니다. 여러 개를 채워넣을 수 있는 변수는 '타임스탬프', 'isc-event', 'anss-url', '현지일', '현지시간', '규모종류', '규모', '규모2', '규모기타', '깊이'가 이에 해당하며 변수 뒤에 A, B, C, D, E를 붙어서 '타임스탬프-A', '규모-E'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라벨을 서로 구분해서 사용하러면 |tags=y
를 통해 구분선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포맷
이 틀에 의해 생성된 HTML 마크업 (영어)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벤트 정보를 쉽게 분석할 수 있게 하는 hCalendar 마이크로포맷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문서의 카탈로그화 및 데이터베이스 유지 보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위키백과 내 마이크로포맷의 사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마이크로포맷 위키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십시오.- 클래스 사용
해당 마이크로포맷을 사용한 HTML 속성들에 포함된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attendee
- contact
- description
- dtend
- dtstart
- location
- organiser
- summary
- url
- vevent
클래스를 사용한 내포된 요소들을 임의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추적용 분류
- 분류:이중지진 - A~E를 사용하여 다중지진으로 체크된 경우
아래는 문제가 있는 방식으로 지진 정보 틀을 사용한 경우 나타나는 추적용 분류입니다.
- 분류:지진 정보 틀의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하는 문서 - 위에서 나타난 변수 외에 다른 변수를 사용했을 경우
- 분류:UTC 타임스탬프에 문제가 있는 지진 문서 - '타임스탬프' 변수의 값이 문제가 있는 경우
- 분류:UTC 필요 지진 문서 - '타임스탬프' 변수가 비어 있는 경우
- 분류:ISC ID가 'n/a'인 지진 문서 - 'isc-event' 변수가 'n/a' 값인 경우
- 분류:ISC event ID가 필요한 지진 문서 - 'isc-event' 변수가 비어 있는 경우
- 분류:ANSS가 'n/a'인 지진 문서 - 'anss-url' 변수가 'n/a' 값인 경우
- 분류:ANSS 필요 지진 문서 - 'anss-url' 변수가 비어 있는 경우
- 분류:'날짜' 또는 '시간'을 사용하는 지진 문서 (사용하지 않음) -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날짜', '시간'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 분류:'진원시간'을 사용하는 지진 문서 (사용하지 않음) -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진원시간'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 분류:'현지일'이 필요한 지진 문서 - '현지일' 변수가 비어 있는 경우
- 분류:'현지시간'이 필요한 지진 문서 - '현지시간' 변수가 비어 있는 경우
틀데이터
지진의 주요 데이터를 일관되고 표준화된 형식으로 작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기록하길 추천합니다.
변수 | 설명 | 형식 | 상태 | |
---|---|---|---|---|
name | name 이름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title | title 제목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native_name | native_name 현지이름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native_name_lang | native_name_lang 현지이름언어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image | image 그림 | 파일 이름만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image_size | image_size 그림크기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alt | alt 대체설명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image alt | image alt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caption | caption 설명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imagecaption | imagecaption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p | map 지도 | 파일 이름만 작성. 보통 USGS에서 발표하는 Shakemap 진도지도를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 | 알 수 없음 | 제안 |
map_size | map_size 지도크기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psize | mapsiz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p_alt | map_alt 지도대체설명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map_caption | map_caption 지도설명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image name | image nam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map | pushpin_map 위치지도 | [[틀:위치 지도]]에 사용될 위치 지도 이름을 입력. 좌표를 입력했을 경우 위치지도 변수에 사용할 지도만 추가하면 자동으로 위치 지도가 추가됨.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label | pushpin_label 위치지도라벨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map_alt | pushpin_map_alt 위치지도대체설명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coordinates | coordinates 좌표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tion | location 좌표 | {{coord|XXXXX|region:XX_type:event|display=inline,title}} 형식으로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pushpin_mark | pushpin_mark 위치지도마크 | 위치지도에 사용할 마크 파일 선택. 기본값은 File:Bullseye1.png ( Bullseye1.png ).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marksize | pushpin_marksize 위치지도마크크기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map_caption | pushpin_map_caption 위치지도설명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label_position | pushpin_label_position 위치지도라벨위치 | 위치지도라벨의 위치를 선택. 기본값은 가운데 정렬.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mapsize | pushpin_mapsize 위치지도크기 | \"px\"를 제외한 숫자로 위치지도의 그림 크기를 지정. 변수를 채우지 않거나 빈 값일 경우 기본적으로 220으로 세팅됨.
| 숫자 | 선택 사항 |
pushpin_relief | pushpin_relief | Any non-blank value (yes, 1, etc.) will cause the template to display a relief map image, where available (see example 1). For additional information, see Template:Location map#Relief parameter.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pushpin_image | pushpin_image 위치지도대체그림 | 위치 지도 틀에 쓸 대체 그림 파일을 작성.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p2 | map2 지도2 | 틀:위치지도+ 등을 이용할 경우 사용 | 알 수 없음 | 제안 |
timestamp | timestamp 타임스탬프 | UTC 기준 날짜와 시각을 yyyy-mm-dd hh:mm:[ss] 형식으로 기록
| 알 수 없음 | 제안 |
pre-1900 | pre-1900 1900년이전 | 1900년 1월 1일 이전에 발생한 지진일 경우 'yes' 값을 기록. 1900년 이전 지진은 자동으로 역사지진으로 인식됨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timestamp-A | timestamp-A 타임스탬프-A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tags | tags 태그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timestamp-B | timestamp-B 타임스탬프-B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timestamp-C | timestamp-C 타임스탬프-C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timestamp-D | timestamp-D 타임스탬프-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timestamp-E | timestamp-E 타임스탬프-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isc-event | isc-event | ISC의 지진사건번호를 적는 곳. 지진 번호를 적으면 자동으로 링크가 연결됩니다. 크거나 중요하지 않은 대부분의 지진은 발생 몇 달 후에야 추가되므로 찾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알 수 없음 | 제안 |
isc-event-A | isc-event-A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isc-event-B | isc-event-B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isc-event-C | isc-event-C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isc-event-D | isc-event-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isc-event-E | isc-event-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USGS-ANSS | anss-url ANSS | USGS-ANSS 지진 페이지로 연결하는 url을 입력. '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 뒤에 있는 일련번호만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anss-url-A | anss-url-A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anss-url-B | anss-url-B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anss-url-C | anss-url-C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anss-url-D | anss-url-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anss-url-E | anss-url-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date | local-date 현지일 | 지진이 일어난 현지 날짜를 입력. YYYY-MM-DD 형태로 입력. | 날짜 | 제안 |
local-date-A | local-date-A 현지일-A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date-B | local-date-B 현지일-B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date-C | local-date-C 현지일-C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date-D | local-date-D 현지일-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date-E | local-date-E 현지일-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time | local-time 현지시간 | 지진이 일어난 현지의 시각을 입력. hh:mm:ss [[timezone]] ([[UTC±x]]) 형식으로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local-time-A | local-time-A 현지시간-A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time-B | local-time-B 현지시간-B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time-C | local-time-C 현지시간-C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time-D | local-time-D 현지시간-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local-time-E | local-time-E 현지시간-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duration | duration 지속시간 | 지진이 지속된 시간을 기록 | 알 수 없음 | 제안 |
지진규모 | 지진규모 | [[지진 규모]]의 종류를 입력.
| 알 수 없음 | 제안 |
magnitude | magnitude 규모 | 지진의 규모를 기록. 단순히 숫자만 입력
| 숫자 | 제안 |
규모2 | 규모2 | 앞 규모가 특정 값 범위일 경우, 그 뒤의 값을 입력. 예를 들어 규모에는 '9.0'을, 여기에는 '-9.1'을 입력할 경우 실제 규모는 '9.0-9.1'로 표기됨.
| 알 수 없음 | 제안 |
규모기타 | 규모기타 | 규모에 작성한 지진 규모 외에 발표된 다른 규모가 있을 경우 입력.
| 알 수 없음 | 제안 |
magnitude-A | magnitude-A 규모-A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gnitude-B | magnitude-B 규모-B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gnitude-C | magnitude-C 규모-C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gnitude-D | magnitude-D 규모-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agnitude-E | magnitude-E 규모-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depth | depth 깊이 | [[진원 깊이]]를 기록. 단위는 km로 자동 기입됨
| 숫자 | 제안 |
depth-A | depth-A 깊이-A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depth-B | depth-B 깊이-B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depth-C | depth-C 깊이-C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depth-D | depth-D 깊이-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depth-E | depth-E 깊이-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fault | fault 단층 | 지진을 일으킨 단층, 혹은 판을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type | type 종류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affected | affected 피해지역 | 피해지역을 기록 | 알 수 없음 | 제안 |
countries affected | countries affecte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damages | damages 피해액 | 피해를 입은 금액을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damage | damage 피해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진도종류 | 진도종류 | 기록된 진도의 종류를 작성. 통상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JMA 계급) 혹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MMI)를 사용
| 알 수 없음 | 제안 |
intensity | intensity 진도 | 진도를 기록. MMI과 JMA 진도 계급 양 쪽 모두 숫자 혹은 로마자로만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진도지점 | 진도지점 | 최대진도를 관측한 지점을 기록
| 알 수 없음 | 제안 |
pga | pga 최대지반가속도 | 최대지반가속도(PGA)를 작성. 단위는 NN ''[[최대 지반 가속도|g]]'' 혹은 NN [[갈 (단위)|gal]]
| 알 수 없음 | 제안 |
pgv | pgv 최대지반속도 | 최대지반속도(PGV)를 작성. 단위는 NN cm/s
| 알 수 없음 | 제안 |
tsunami | tsunami 해일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landslide | landslide 산사태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foreshocks | foreshocks 전진 | 본진 이전 발생한 전진의 횟수를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최대전진 | 최대전진 | 본진 이전에 발생한 전진 중 가장 큰 규모, 진도로 발생한 지진을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aftershocks | aftershocks 여진 | 본진 이후 발생한 여진의 횟수를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최대여진 | 최대여진 | 본진으로 발생한 여진 중 가장 큰 규모, 진도로 발생한 지진을 작성
| 알 수 없음 | 제안 |
casualties | casualties 사상자 | 사망자수와 부상자수를 기록.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인용해야 함.
| 알 수 없음 | 제안 |
maxmagnitude | maxmagnitude 최대규모 | 지진군에만 사용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eandepth | meandepth 평균깊이 | 지진군에만 사용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events | events 발생사건수 | 지진군에만 사용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odule | module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embedded | embedded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misc | misc 기타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
citations | citations 출처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제안 |
related | related 연관주제 | 설명 없음 | 알 수 없음 | 선택 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