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슴벌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0.113.224.60(토론)의 36706885판 편집을 되돌림
으애으애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번째 줄:
하하하하하하하하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생물 분류
|이름=사슴벌레
|그림=Lucanus70.JPG
|그림_크기=250px
|색=동물
|계=[[동물|동물계]]
|문=[[절지동물|절지동물문]]
|강=[[곤충|곤충강]]
|목=[[딱정벌레목]]
|과=[[사슴벌레과]]
|아과=[[사슴벌레아과]]
|속=[[사슴벌레속]]
|종='''사슴벌레'''
|삼명법=''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ref name="nibir">{{한반도의 생물다양성|120000017684}}</ref>
|삼명법_명명=Parry, 1887
|하위_링크=아종
|하위=본문 참조

|향명_ko=사슴벌레<ref name="nibir"/>
|향명_ja=ミヤマクワガタ
|향명_en=Miyama Stag Beetle
}}
{{위키스피시즈|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
'''사슴벌레'''({{학명|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는 [[사슴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이다.<ref>{{웹 인용 |url=http://www.bugsvill.co.kr/story2.php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2-09-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006072008/http://www.bugsvill.co.kr/story2.php |보존날짜=2014-10-06 |url-status=dead }}</ref> 큰턱을 포함한 수컷의 몸길이는 50~80mm이고, 암컷의 몸길이는 25~42mm이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대만에 분포하며 성충은 늦은 봄부터 초가을까지 볼 수 있다. 주로 참나무가 많은 곳에서 생활하며 주로 나무의 수액을 먹는다. 사슴벌레속(Genus ''Lucanus'')의 유일한 한국 서식종이며 [[홍다리사슴벌레]]와 마찬가지로 [[저온]] 지역을 좋아하는 고산성 종이다.<ref>{{웹 인용 |url=http://bric.postech.ac.kr/myboard/read.php?id=212162&Page=&Board=news&SOURCE=6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2-09-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1006105431/http://bric.postech.ac.kr/myboard/read.php?id=212162&Page=&Board=news&SOURCE=6 |보존날짜=2014-10-06 |url-status=dead }}</ref> 한국에 사는 다른 사슴벌레 종류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마치 코끼리의 귀처럼 돌출되어 있는 수컷의 머리 뒤 부분이다. 유충은 몸의 색이 하얀색이며 잘 썩은 참나무류의 고목과 같이 습한 곳에 서식한다. 유충이 성충이 되는 데는 약 2~3년이 걸린다. 성충은 5~9월까지 볼 수 있으며, 참나무류의 수액에 모여든다. 밤에는 불빛에 날아든다.
참고로 수명은 톱사슴벌레와 비슷하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44104]</ref><ref>{{웹 인용 |url=https://www.nibr.go.kr/species/mobile/home/cls/cls01003v_1.jsp?cls_id=96645 |제목=한반도 생물자원포털 |확인날짜=2016-12-2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26215748/https://www.nibr.go.kr/species/mobile/home/cls/cls01003v_1.jsp?cls_id=96645 |보존날짜=2016-12-26 |url-status=dead }}</ref> 2013년 Huang & Chen은 서적 <Stag Beetles of China Ⅱ>에서, ''dybowskyi'' 아종을 종으로 변경하고, ''taiwanus'', ''lhasaensis'' 아종을 추가하였으나, 아직 학자들 간의 의견이 분분하다.<ref>Huang, H.; Chen, C.-C. 2013: Stag beetles of China Ⅱ</ref>


== 아종 ==
== 아종 ==

2024년 4월월 18일 (목) 09:17 판

하하하하하하하하

아종

일본 아종 L. m. maculifemoratus
  • 사슴벌레 (L. maculifemoratus)
    • Lucanus maculifemoratus adachii - 일본 아종.
    • Lucanus maculifemoratus boileaui 또는 Lucanus dybowskyi boileaui - 중국 티베트 아종.
    • 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 또는 Lucanus dybowskyi dybowskyi - 한국 아종.
    • Lucanus maculifemoratus ferriei - 일본 아종.
    • Lucanus maculifemoratus jilinensis - 중국 지린성 아종
    • Lucanus maculifemoratus maculifemoratus - 일본 아종, 원명아종, 모식종
    • Lucanus maculifemoratus taiwanus 또는 Lucanus dybowskyi taiwanus - 대만 아종.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