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백운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정
잔글 Sangjinhwa님이 백운출 문서를 초안:백운출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23년 2월 21일 (화) 17:30 판

  • 백운출(白雲出, 1934년 ~ 2011년) : 과학자, 경남 진주 출생. 학력: UC버클리대학 응용물리학 박사. 전 광주과학기술원(GIST) 부원장, 명예교수, 광주과학기술원 1호 교수, 미국 국립 학술원(NAE) 회원, 한국 과학기술한림원 부원장/회원심사위원장[1], 광통신분야 세계적인 석학이며 우리나라 광산업 발전의 아버지이다.


광(光)섬유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백운출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경남 진주생으로 미국 버클리대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70년대부터 광통신 핵심기술인 광섬유 기술개발에 공헌한 세계적인 석학으로, 현재 세계의 광섬유 생산현장에서 사용되는 인출시스템은 그가 1981년 개발한 고속인출공법에서 비롯됐다. 그는 미국 AT&T벨연구소 연구원과 펠로를 거쳐 1994년 광주과학기술원 1호 교수로 영입됐다. 1998년 미국 학술원 회원으로 추대됐고,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부원장 겸 회원심사위원장으로 활동했다.[2]

GIST(광주과학기술원) 제1호 교수이자 석좌교수이며 ‘광주광산업 아버지’로 불리던 백운출 교수가 지난 2011년 5월 3일 별세했다. 향년 77세.

광통신 분야의 핵심기술인 광섬유 기술개발에 혁신적인 공헌을 한 백운출 교수는 지난 98년 광주 전략산으로 ‘광산업’ 아이디어를 제공해 광주 첨단산업의 뿌리를 내린 장본인으로 불리고 있다.[3]

  1. 한, 원택. “백운출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3년 2월 21일에 확인함. 
  2. 조선일보 (2020년 8월 1일). “[부음] 광섬유 세계권위 백운출 교수 외”. 2023년 2월 21일에 확인함. 
  3. www.etnews.com (2011년 5월 4일). “`광산업 아버지` 백운출교수 별세”. 2023년 2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