훅의 법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2+) (로봇이 바꿈: tr:Hooke yasası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출처 필요}}
{{출처 필요}}
'''훅의 법칙'''(<small>[[영어]]:</small> Hooke's law)은 [[용수철]]과 같이 탄성이 있는 물체가 외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등 변형되었을 때 자신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려고 반항하는 '복원력'의 크기와 변형의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 법칙이다.
''' 법칙'''(<small>[[영어]]:</small> Hooke's law)은 [[용수철]]과 같이 탄성이 있는 물체가 외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등 변형되었을 때 자신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려고 반항하는 '복원력'의 크기와 변형의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 법칙이다.


금속 용수철이나 고무봉 등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고유의 모양, 1차원적으로만 한정해 보면 자연적인 길이를 갖는다. 이런 자연스러운 길이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런 성질을 [[탄성 (물리)|탄성]]이라고 하며, 이런 성질이 강한 물체를 탄성체라고 부른다.
금속 용수철이나 고무봉 등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고유의 모양, 1차원적으로만 한정해 보면 자연적인 길이를 갖는다. 이런 자연스러운 길이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런 성질을 [[탄성 (물리)|탄성]]이라고 하며, 이런 성질이 강한 물체를 탄성체라고 부른다.


많은 탄성체에서는 변형의 정도가 작을 때 복원력과 변형량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한다. 이것을 그 발견자인 17 세기 영국 물리학자 [[로버트 훅]]의 이름을 기념하여 '''훅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훅의 법칙은 판이나 봉의 휨 같은 다차원적인 변형에서도 똑같이 성립된다.
많은 탄성체에서는 변형의 정도가 작을 때 복원력과 변형량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한다. 이것을 그 발견자인 17 세기 영국 물리학자 [[로버트 훅]]의 이름을 기념하여 ''' 법칙'''이라고 부른다. 훅의 법칙은 판이나 봉의 휨 같은 다차원적인 변형에서도 똑같이 성립된다.


매끈하고 수평인 마루 위에 용수철을 둔다. 용수철의 오른쪽 방향을 양의 x 축이라고 하자. 용수철 왼쪽 끝을 고정하고 외력이 없을 때 오른쪽 끝의 위치를 x 의 원점으로 잡자. 용수철 길이가 변했을 때, 오른쪽 끝의 x [[좌표]]로 변형 상태를 나타내기로 한다. x > 0 이면 늘어난 것이고, x < 0 이면 줄어든 것이다. 용수철 길이의 변화가 x 일 때의 복원력을 F 로 하자. 힘이 오른쪽 방향이면 F > 0 이고, 왼쪽 방향이면 F < 0 이라 한다. 이 때, 훅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매끈하고 수평인 마루 위에 용수철을 둔다. 용수철의 오른쪽 방향을 양의 x 축이라고 하자. 용수철 왼쪽 끝을 고정하고 외력이 없을 때 오른쪽 끝의 위치를 x 의 원점으로 잡자. 용수철 길이가 변했을 때, 오른쪽 끝의 x [[좌표]]로 변형 상태를 나타내기로 한다. x > 0 이면 늘어난 것이고, x < 0 이면 줄어든 것이다. 용수철 길이의 변화가 x 일 때의 복원력을 F 로 하자. 힘이 오른쪽 방향이면 F > 0 이고, 왼쪽 방향이면 F < 0 이라 한다. 이 때, 법칙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 F = - kx </math>
:<math> F = - kx </math>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위 식이 성립하는 것은 x 가 비교적 작은 경우이다. 현실의 재료를 길이를 x 만 잡아늘였을 때, 그림 1-2 에 나타내도록(듯이),x 가 커지는 것에 따라 x 와 복원력 F 의 비례 관계가 무너져 간다.훅의 법칙이 성립되는 한계의 것 x 한 값을비례 한계 라고 부른다.x 하지만 비례 한계를 바꾸어도탄성한계 (으)로 불리는 값을 넘지 않으면 힘을 작게 했을 때 같은 곡선을 거치고 원점에 돌아온다.탄성한계를 넘어 늘리면 힘을 제외했을 때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고, 영구 폐해로 불리는 길이만 성장이 남는다.한층 더 x 를 늘리면 힘이 일정한 까지 성장이 계속한다.이 때의 것 F 한 값을 항복치라고 한다.
위 식이 성립하는 것은 x 가 비교적 작은 경우이다. 현실의 재료를 길이를 x 만 잡아늘였을 때, 그림 1-2 에 나타내도록(듯이),x 가 커지는 것에 따라 x 와 복원력 F 의 비례 관계가 무너져 간다. 법칙이 성립되는 한계의 것 x 한 값을비례 한계 라고 부른다.x 하지만 비례 한계를 바꾸어도탄성한계 (으)로 불리는 값을 넘지 않으면 힘을 작게 했을 때 같은 곡선을 거치고 원점에 돌아온다.탄성한계를 넘어 늘리면 힘을 제외했을 때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고, 영구 폐해로 불리는 길이만 성장이 남는다.한층 더 x 를 늘리면 힘이 일정한 까지 성장이 계속한다.이 때의 것 F 한 값을 항복치라고 한다.


---->
---->


== 훅의 법칙의 텐서 표현 ==
== 법칙의 텐서 표현 ==
어떤 삼차원 물체가 변형되는 것을 표현할 때, 훅의 법칙의 텐서 표현을 사용해 이를 표현할 수 있다. 훅의 법칙의 텐서 표현은 [[변형력텐서]] <math>\sigma_{ij}</math>와 [[변형텐서]] <math>\epsilon_{ij}</math>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법칙으로, 다음과 같이 4계 텐서인 [[탄성상수텐서]] <math>C_{ijkl}</math>를 사용해 두 텐서의 관계를 연결해 준다.
어떤 삼차원 물체가 변형되는 것을 표현할 때, 법칙의 텐서 표현을 사용해 이를 표현할 수 있다. 법칙의 텐서 표현은 [[변형력텐서]] <math>\sigma_{ij}</math>와 [[변형텐서]] <math>\epsilon_{ij}</math>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법칙으로, 다음과 같이 4계 텐서인 [[탄성상수텐서]] <math>C_{ijkl}</math>를 사용해 두 텐서의 관계를 연결해 준다.
:<math>\sigma_{ij} = C_{ijkl} \epsilon_{kl}</math>
:<math>\sigma_{ij} = C_{ijkl} \epsilon_{kl}</math>
여기서 [[아인슈타인 표기법]]이 쓰였다.
여기서 [[아인슈타인 표기법]]이 쓰였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고체 역학]]
* [[고체역학]]


{{토막글|물리학}}
{{토막글|물리학}}


[[분류:역학]]
[[분류:1660년 과학]]
[[분류:용수철]]
[[분류:탄성]]
[[분류:고체역학]]
[[분류:사람 이름을 딴 낱말]]
[[분류:사람 이름을 딴 낱말]]



2012년 8월 3일 (금) 15:00 판

훅 법칙(영어: Hooke's law)은 용수철과 같이 탄성이 있는 물체가 외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등 변형되었을 때 자신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려고 반항하는 '복원력'의 크기와 변형의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 법칙이다.

금속 용수철이나 고무봉 등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고유의 모양, 1차원적으로만 한정해 보면 자연적인 길이를 갖는다. 이런 자연스러운 길이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런 성질을 탄성이라고 하며, 이런 성질이 강한 물체를 탄성체라고 부른다.

많은 탄성체에서는 변형의 정도가 작을 때 복원력과 변형량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한다. 이것을 그 발견자인 17 세기 영국 물리학자 로버트 훅의 이름을 기념하여 훅 법칙이라고 부른다. 훅의 법칙은 판이나 봉의 휨 같은 다차원적인 변형에서도 똑같이 성립된다.

매끈하고 수평인 마루 위에 용수철을 둔다. 용수철의 오른쪽 방향을 양의 x 축이라고 하자. 용수철 왼쪽 끝을 고정하고 외력이 없을 때 오른쪽 끝의 위치를 x 의 원점으로 잡자. 용수철 길이가 변했을 때, 오른쪽 끝의 x 좌표로 변형 상태를 나타내기로 한다. x > 0 이면 늘어난 것이고, x < 0 이면 줄어든 것이다. 용수철 길이의 변화가 x 일 때의 복원력을 F 로 하자. 힘이 오른쪽 방향이면 F > 0 이고, 왼쪽 방향이면 F < 0 이라 한다. 이 때, 훅 법칙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k 를 용수철 상수라고 부른다. 용수철 상수는 용수철의 힘 혹은 유연한 정도를 나타내는 상수로 각각의 용수철마다 다른 값을 갖는다.


훅 법칙의 텐서 표현

어떤 삼차원 물체가 변형되는 것을 표현할 때, 훅 법칙의 텐서 표현을 사용해 이를 표현할 수 있다. 훅 법칙의 텐서 표현은 변형력텐서 변형텐서 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법칙으로, 다음과 같이 4계 텐서인 탄성상수텐서 를 사용해 두 텐서의 관계를 연결해 준다.

여기서 아인슈타인 표기법이 쓰였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