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밀양 당씨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아직 명확하지 않은 당씨성의 시작[편집]

현재 기재되어 있는 정보는 기존에 나와 있던 정보와 매우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 정보의 출처는 없고 당연히 내려지는 결론으로 논리적 오류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의 당씨성 시작에 대한 이론

--밀양 당씨 세보로 부터 나온 정보인듯-- ""당씨(唐氏)는 중국 진 양(晋陽 : 산서성 기영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로서 본래 도당씨(陶唐氏 : 제요를 일컫음)의 후예(後裔)가 당(唐)나라 제후(諸侯)에 봉해져서 나라 이름을 성(姓)으로 삼은 것이 시초(始初)가 된다고 한다.「밀양당씨세보(密陽唐氏世譜)」에 의하면 우리나라 당씨(唐氏)는 위(魏)나라 때 대부(大夫)였던 당 저(唐雎)의 후손으로, 송(宋)나라 휘종조(徽宗朝 : 북송의 8대 임금, 제위기간 : 1101~1125)에서 승상(丞相)에 올랐던 당 각(唐 恪)의 7세손 당 성(唐 誠)이 절강성(浙江省) 명주(明州) 출신으로 원(元)나라 말기에 동래(東來)하여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그 후 그는 조선개국(朝鮮開國) 초에 공조전서(工曹典書)로서 외 교문서(外交文書)를 전담관장(傳擔管掌)하였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되어 녹권(錄券)과 상전(賞田) 15결(結)을 하사(下賜)받았으며, 가선대부(嘉善大夫)로 개성 유수(開城留守)를 거쳐 공안부윤(恭安府尹)에 이르러 밀양(密陽)을 사적(賜 籍)받아 본적(本籍)을 밀양으로 하게 되었다. 특히 당 성(唐 誠)은 학문에 정통(精通)하여 문명을 떨쳤으며, 야사(野史)의 기 록에는 태종(太宗) 때 영의정(領議政)에 오른 성석린(成石璘)을 위기에서 구해준 일화가 다음과 같이 전한다.""

@@현 기재되어 있는 이론

""시조(始祖) 당성(唐誠)은 고려 말 예부상서(禮部尙書-고려 말 예부(禮部)의 으뜸 벼슬로서 품계는 정3품, 현대의 외교부장관 겸 교육부장관) 박정수(朴廷秀)의 혼외자(婚外子)로서 재물(財物)을 상속(相續)받기 위해 혼외자(婚外子)라는 신분(身分)을 감추고 예부상서(禮部尙書) 박정수(朴廷秀)의 손녀딸의 데릴사위로 들어가면서 ‘다죽리[茶竹里,본래 예전 지명은 다원리(茶阮里)]’ 마을의 발음과 유사한 ‘당(唐)’이라는 성(姓)을 쓰기 시작했다는 설과 ‘다죽리[茶竹里,본래 예전 지명은 다원리(茶阮里)]’ 마을의 재능있고 총명(聰明)한 평민(平民)이 예부상서(禮部尙書) 박정수(朴廷秀)의 손녀딸의 데릴사위로 들어가면서 출신(出身)을 감추기 위해 ‘당(唐)’이라는 성(姓)을 쓰기 시작했다는 설,........... 그러므로 시조(始祖) 당성(唐誠)의 조선시대 행적(行跡)과 고려 말 조선 초 격변기(激變期)의 정황(政況)을 볼 때 당성(唐誠)은 예부상서(禮部尙書) 박정수(朴廷秀)의 후손(後孫)으로 혼외자(婚外子)가 명확(明確)하고, ...""

위 내용의 출처가 미흡함에도 불과하고 주어진 여러 의견중 한 의견이 가장 합리적이다는 기술자의 개인적 의견으로 선택되어져 수용되어지고 있다. 당시 상황이 신분을 속인다 해도 성을 구지 지명의 발음을 따라 존재하지도 않았던 "당"씨 성으로 바꾸어 아버지의 손녀와 결혼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앞뒤가 잘 안 맞는듯 하다. 더군다나 기술자가 각주로 달아놓은 "한국 민족 대백과 사전"에는 당씨성의 유래가 다르게 기재되어 있으며 그 기존 정보에 대한 출처로 조선 왕조 실록과 밀양당씨세보가 표기되어 있다. 비록 마지막 임지와 관련있겠지만 당성의 묘는 개성지역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당씨는 분단 이전에는 이북 지역에 더 많았다고 하며 결혼한 부인의 고향을 제외하면 경상도 지역과의 인연의 흔적은 잘 보이지 않는다. 70, 80년대 당씨성 사람들은 두부류가 있는 것으로 들었으며 그 두 부류는 이북 지역에서 해방후 분단 혼란기에 내려온 사람들과 수원지역에서 살고 있던 사람들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므로 밀양의 지역적 연고는 실질적으로 처가와 가깝고 임금에 의해 본으로 지정 되었다는 것 외에는 없어보인다. 실예로 원주 변씨의 경우도 그 본인 원주는 변씨가 원주출신 부인을 맞이한 후 공민왕에 의해 원주라는 본이 사적(賜 籍)된 적이 있다. "사적"은 고려말과 조선 초 외국에서 이주온 자들이 공을 세우고나서 임금으로부터 본을 하사받는 방법중의 하나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