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푸나다
보이기
키푸나다
| |
---|---|
![]() 키푸나다의 동전. 서기 335-350년경. 앞면: 왼쪽에 서서 제단 위에 제물을 바치는 키푸나다. 오른쪽에는 모노그램 형식의 브라흐미 문자로 세로로 이름이 적혀 있다: 키-푸-나 ![]() ![]() ![]() 통치자의 팔 아래: 바차르나타 ![]() ![]() ![]() ![]() ![]() 뒷면: "왕좌에 앉은 아르독쇼가 의식용 화환과 코르누코피아를 들고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1] | |
쿠샨 황제 | |
재위 | 335년 ~ 350년[2] |
전임 | 샤카 1세 |
후임 | (폐지) |
신상정보 | |
왕조 | 쿠샨 |
키푸나다(브라흐미 문자 :)는 아마도 서기 335~350년경 쿠샨 제국의 마지막 통치자였을 것이다. 그는 금화 주조로 유명하다.[3] 그는 샤카 1세의 후계자였다. 그는 아마도 펀자브 서부의 탁실라 지역의 통치자였을 것이며, 굽타 황제 사무드라굽타의 봉신이었을 가능성이 있다.[4]
굽타와 키다라의 후계자
[편집]중서부 펀자브의 키푸나다 주화에 이어 펀자브 현지에서 주조된 특이한 주화에는 굽타 제국의 통치자 사무드라굽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무드라"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다(굽타 문자 :).[5][6] 얼마 지나지 않아 키라다, 페로즈, 그리고 쿠샨족이 점령했던 영토를 차지했던 유명한 키다라로 알려진 키다라 훈족 통치자들이 펀자브에서 주화를 발행했다.[5][6][7]
각주
[편집]- ↑ CNG Coins
- ↑ Cribb, Joe; Donovan, Peter (2014). 《Kushan, Kushano-Sasanian, and Kidarite Coins A Catalogue of Coins From the American Numismatic Society by David Jongeward and Joe Cribb with Peter Donovan》 (영어). 4쪽.
- ↑ 《Heritage World Coin Auctions Long Beach Signature Auction Catalog #378》. Ivy Press. May 2005. 15쪽. ISBN 978-1-932899-79-5.
- ↑ Rezakhani, Khodadad (2017). 《From the Kushans to the Western Turks》 (영어). 203쪽.
- ↑ 가 나 다 라 Cribb, Joe. “The Kidarites, the numismatic evidence.pdf”. 《Coins, Art and Chronology II, Edited by M. Alram et Al.》 (영어): 101.
- ↑ 가 나 다 라 "In the Punjab the stylistic progression of the gold series from Kushan to Kidarite is clear: imitation staters were issued first in the name of Samudragupta, then by Kirada, 'Peroz' and finally Kidara" in Errington, Elizabeth; Curtis, Vesta Sarkhosh (2007). 《From Persepolis to the Punjab: Exploring Ancient Iran, Afghanistan and Pakistan》 (영어). British Museum Press. 88쪽. ISBN 978-0-7141-1165-0.
- ↑ Rezakhani, Khodadad (2017). 《ReOrienting the Sasanians: East Iran in Late Antiquity》 (영어). Edinburgh University Press. 85쪽. ISBN 978-1-4744-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