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촉군(蜀郡)은 옛 중국 군현제상의 군으로, 지금의 청두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관할했다.

[편집]

원래는 고촉 왕국이 있던 곳으로, 진나라혜왕사마조 등을 보내 고촉 왕국을 병합하였으며, 주 난왕 원년(기원전 314년)에 공자 통(通)을 촉후로 봉하고 진장(陳壯)을 촉후의 재상[相]으로 삼으면서 파군과 촉군을 처음 세웠다. 첫 군수는 장약(張若)이 임명되었다. 군의 치소는 성도로, 주 난왕 5년(기원전 309년)에 장의와 장약이 고촉의 서울이었던 성도에 성을 쌓았다. 주나라가 망한 후, 진 효문왕이빙을 군수로 삼으면서 촉군은 매우 발전했다.[1]

[편집]

진나라가 망한 후, 항우의 제후왕 분봉에서 촉군은 파군 · 한중군과 함께 한왕 유방의 봉국에 속했다. 한왕 유방이 중국을 통일하고 전한의 첫 황제가 되면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촉군과 파군의 영역을 분할하여 광한군을 설치해 촉군의 영역은 줄어들었다.[1]

무제가 자사를 설치하면서 익주자사부에 속했다.

원광 4년(기원전 131년)에 촉군에 동 · 서 · 남 · 북 4부 도위를 설치했다.[1]

원정 6년(기원전 111년), 한 무제의 서남방 정벌의 결과로 촉군 남부를 광한군 서부와 함께 나누어 월수군을 설치했다. 또 촉군의 서쪽에 있는 공도(邛都)를 침려군으로, 북쪽에 있는 염(冉) · 방(駹)의 영역을 문산군으로 두었는데, 천한 4년(기원전 97년)에 침려군을 폐하고 촉군의 양부도위로 편입시켰다. 선제 지절 3년(기원전 67년)에 문산군을 폐하고 북부도위에 속하게 해 촉군의 영역이 더 넓어졌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68,279호, 1,245,929명을 관할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5현(9현 6도)이다.

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성도현 成都縣 청두시 군의 치소가 있었다. 76,256호가 있었다. 공관(工官)이 있었다.
비현 郫縣 청두시 피현 서쪽에 강타(江沱)가 있어 동으로 대강(大江)에 들어간다.
번현 繁縣 청두시 펑저우시
광도현 廣都縣 청두시 솽류구 남동
임공현 臨邛縣 청두시 충라이시 복천수{僕千水, 지금의 난허(중국어: 南河)}가 무양(武陽)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두 군(촉군·건위군)을 지나 (오)백 십리를 간다. 철관과 염관이 있다.
청의도 靑衣道 야안시 밍산구 《우공》의 몽산계(蒙山溪)다. 대도수{大渡水, 지금의 칭이 강(중국어: 青衣江)}가 남동으로 남안(南安)에 이르러 재수(渽水)로 들어간다.
강원현 江原縣 청두시 충저우시 수수(𨞪水)가 강수에서 갈려나와 남으로 무양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간다.
엄도 嚴道 야안시 잉징현 공래산(邛來山)이 있어 공수{邛水, 지금의 잉징 하(중국어: 荥经河)}가 나와 동으로 청의강에 들어간다. 목관(木官)이 있다.
면사도 緜虒道 아바티베트족창족자치주 원촨현 남서 옥루산(玉壘山)이 있어 전수(湔水)가 나와 남동으로 강양(江陽)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세 군(촉군·건위군·광한군)을 지나 1890리를 간다.
모우도 旄牛道 야안시 한위안현 남쪽 일대? 선수(鮮水)가 요외에서 나와 남으로 약수(若水)로 들어간다.

약수도 요외에서 나와 남으로 대작(大莋, 월수군의 속현)에 이르러 승수(繩水)로 들어가니, 두 군(촉군·건위군)을 지나 1600리를 간다.

사현 徙縣 야안시 톈취안현
전저도 湔氐道 아바티베트족창족자치주 쑹판현
문강도 汶江道 아바티베트족창족자치주 마오현
광유현 廣柔縣 아바티베트족창족자치주 원촨현 북
잠릉현 蠶陵縣 아바티베트족창족자치주 마오현 북

[2]

[편집]

왕망은 촉군의 이름을 고쳐 도강(導江)이라 했으며,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광도(廣都) 취도정(就都亭)
임공(臨邛) 감공(監邛)
강원(江原) 공원(邛原)
엄도(嚴道) 엄치(嚴治)
잠릉(蠶陵) 보창(步昌)

후한[편집]

11성, 300452호, 1350476명을 관할했다.

이름 종류 비고
성도(成都) 군의 치소가 있었다.
강원(江原)
비(郫)
번(繁)
광도(廣都)
임공(臨邛)
전저(湔氐)
문강(汶江)
팔릉(八陵)
광유(廣柔)
면사(緜虒)

연광 원년(기원전 122년)에 서부도위가 관할하던 지역을 촉군속국으로 따로 떼었다. 속국도위는 111568호, 475629명을 관할했다.

이름 종류 비고
한가(漢嘉) 청의현을 개명.
엄(嚴)
사(徙)
모우(旄牛)

[3]

영제 시기에 북부도위가 관할하던 문강 · 잠릉 · 광유 세 현을 떼어 문산군을 세웠다.[4][1] 또 《화양국지》에서는 영제 시기에 촉군속국을 한가군으로 독립시켰다고 한다.[1] 그러나 한가군은 대략 중평 5년(188년) 즈음에 다시 촉군에 병합되었다.

삼국[편집]

촉한 소열제의 장무 원년(221년), 촉군속국은 다시 한가군으로 독립했다. 촉군의 영역은 더 줄어들었다. 펑저우 시 동쪽에 있던 번현은 247년(연희 10년)에 펑저우 시 서남쪽으로 치소가 옮겨졌다.

서진[편집]

6현, 5만 호를 관할했다.

이름 종류 비고
성도(成都) 군의 치소가 있었다.
광도(廣都)
번(繁)
강원(江原)
임공(臨邛)
비(郫)

[4]

동진 · 성한[편집]

이웅이 촉군의 일부를 나누어 한원군(漢原郡)을 설치해, 촉군의 영역은 더 줄어들었다.[5]

동진 목제건위군의 속현인 우비(牛鞞)현을 촉군으로 옮겼다.[5]

[편집]

효건 2년(455년), 교호(僑戶)[6]들로 영창령(永昌令)을 두었다. 따라서 송대의 촉군은 다음 5현, 11902호, 60876명을 관할했다.

이름 종류 비고
성도(成都) 군의 치소가 있었다.
비(郫)
번현(繁縣)
비현(鞞縣)
영창(永昌)

[5]

역대 장관[편집]

각주[편집]

  1. 상거: 《화양국지》 권3 촉지
  2. 반고: 《한서》 권28 지리지 제8 상
  3. 사마표: 《후한서》 권23 지제13 군국 5
  4. 방현령 등: 《진서》 권14 지제4 지리 상
  5. 심약: 《송서》 권38 지제28 주군4
  6. 교(僑)란 본적지를 떠나 다른 곳에 사는 것을 의미한다.
  7. 23년까지는 신나라의 도강졸정, 23 ~ 25년에는 자칭 임시 한나라의 촉군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