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세포 과돌연변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세포 과돌연변이(體細胞過突然變異, 영어: somatic hypermutation, SHM)는 면역글로불린 종류 변환 중에 볼 수 있듯이 면역계가 직면한 새로운 외부 요소(예: 미생물)에 적응하는 세포 메커니즘이다. 친화성 성숙 과정의 주요 구성 요소인 체세포 과돌연변이는 외부 요소(항원)를 인식하는 데 사용되는 B 세포 수용체를 다양화하고 면역계가 새로운 위협에 대한 반응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1] 체세포 과돌연변이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가변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화된 돌연변이 과정을 포함한다. 생식세포 돌연변이와 달리 체세포 과돌연변이는 생물의 개별 면역 세포에만 영향을 미치며 돌연변이는 자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2] 이 메커니즘은 단지 선택적일 뿐이고 정확하게 표적화되지 않기 때문에 체세포 과돌연변이는 B 세포 림프종[3] 및 여러 의 발생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4][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Janeway, C.A.; Travers, P.; Walport, M.; Shlomchik, M.J. (2005). 《Immunobiology》 6판. Garland Science. ISBN 978-0-8153-4101-7. 
  2. Oprea, M. (1999) Antibody Repertoires and Pathogen Recognition: 보관됨 2008-09-06 - 웨이백 머신 The Role of Germline Diversity and Somatic Hypermutation (Thesis) University of Leeds.
  3. Odegard V.H.; Schatz D.G. (2006). “Targeting of somatic hypermutation”. 《Nat. Rev. Immunol.》 6 (8): 573–583. doi:10.1038/nri1896. PMID 16868548. S2CID 6477436. 
  4. Steele, E.J.; Lindley, R.A. (2010). “Somatic mutation patterns in non-lymphoid cancers resemble the strand biased somatic hypermutation spectra of antibody genes” (PDF). 《DNA Repair》 9 (6): 600–603. doi:10.1016/j.dnarep.2010.03.007. PMID 20418189. 
  5. Lindley, R.A.; Steele, E.J. (2013). “Critical analysis of strand-biased somatic mutation signatures in TP53 versus Ig genes, in genome -wide data and the etiology of cancer”. 《ISRN Genomics》. 2013 Article ID 921418: 18 pages. 

참고 문헌[편집]

  • Franklin, A.; Milburn, P. J.; Blanden, R.V.; Steele, E. J. (2004). "Human DNA polymerase-eta an A-T mutator in somatic hypermutation of rearranged immunoglobulin genes, is a reverse transcriptase". Immunol. Cell Biol. 82 (2): 219–225. doi:10.1046/j.0818-9641.2004.01221.x. PMID 15061777. S2CID 2437018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