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야계
보이기
![]() | |
---|---|
![]() 적색야계 수컷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닭목 |
과: | 꿩과 |
속: | 닭속 |
종: | 적색야계 |
학명 | |
Gallus gallus | |
[출처 필요] | |
적색야계의 분포 | |
![]() | |
보전상태 | |
|

적색야계(赤色野鷄, 영어: red junglefowl, 학명: Gallus gallus)는 닭목 꿩과 닭속에 속한 열대 조류이다. 동남아시아·일부 남아시아 지역의 열대우림에서 서식한다. 닭의 야생조상으로서, 가축화 과정에서 회색야계·실론야계·녹색야계 등의 유전자와도 교잡되어 현재의 닭이 되었다.[1][2] 처음 가축화된 시기가 정확히 언제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5000년 전 인더스 계곡의 고대문명에서 사육되고, 기원전 1500년경 유럽에 퍼지게 된 것은 분명하다.
습성과 특징
[편집]적색야계는 닭의 아종(정확히는 닭의 직계조상이 적색야계)이기에 많은 면을 공유한다. 흙을 긁어서 곤충과 씨앗이나 개구리, 쥐를 찾아먹고 연한 풀잎도 뜯어먹는다. 일부다처제이며 무리를 4~15마리 정도 지어 산다. 알은 한번에 10정도 낳고 품은지 21일이 지나면 부화한다. 소화를 모이주머니에서 도와주고 시력과 청각이 발달되어 있다. 수명은 12~20년 정도다. 언어가 발달되어서 24가지의 다양한 울음소리를 내어 대화한다.
천적
[편집]호랑이, 들개, 맹금류 등이 있다. 적색야계는 부리와 발톱으로 대항하거나 나무 위로 날아서 도망간다.
아종
[편집]적색야계의 아종은 6아종이 있으며, 기존에 아종으로 여겨지던 닭(학명: Gallus domesticus)은 별도의 종으로 분류한다.
- Gallus gallus gallus (Linnaeus, 1758) - 인도네시아, 인도
- Gallus gallus spadiceus (Bonnatere, 1791) - 중국 운남성
- Gallus gallus Jabouillei (Delacour & Kinner. 1928) - 베트남 북부
- Gallus gallus murghi (robinson & Kloss, 1920) - 인도, 네팔, 부탄
- Gallus gallus bankiva (Temminck 1813)-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
각주
[편집]- ↑ Lawal, R.A.; 외. (2020). “The wild species genome ancestry of domestic chickens”. 《BMC Biology》 18 (13): 13. doi:10.1186/s12915-020-0738-1. PMC 7014787. PMID 32050971.
- ↑ Eriksson, Jonas; Larson, Greger; Gunnarsson, Ulrika; Bed'hom, Bertrand; Tixier-Boichard, Michele; Strömstedt, Lina; Wright, Dominic; Jungerius, Annemieke; 외. (2008년 1월 23일), “Identification of the Yellow Skin Gene Reveals a Hybrid Origin of the Domestic Chicken”, 《PLOS Genetics》 4 (2): e10, doi:10.1371/journal.pgen.1000010, PMC 2265484, PMID 18454198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