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염비브리오균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세균 |
문: | 프로테오박테리아문 |
강: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
목: | 비브리오목 |
과: | 비브리오과 |
속: | 비브리오속 |
종: | 장염비브리오균 (V. parahaemolyticus) |
학명 | |
'Vibrio parahaemolyticus' | |
(Fujino et al. 1951) Sakazaki et al. 1963 |
장염비브리오균은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과 함께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3대 식중독균 가운데 하나이다.
발생 환경[편집]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 잘 자라는 장염비브리오는 연안 해수에 있는 세균으로 섭씨 20도~37도에서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에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는 6~10월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는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식중독 1200여 건 가운데 장염비브리오로 인한 식중독은 55건이었고, 이 가운데 80%가 넘는 45건이 7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했다. 2014년 크라운제과 진천 공장의 웨하스에서 검출되기도 했다.[1]
발생 원인[편집]
어패류, 연체동물 등의 표피, 내장, 아가미 등에 있는 장염비브리오균이 칼, 도마 등을 통해 음식으로 전염된다.
예방[편집]
조리를 하기 전에 어패류와 조리기구는 수돗물로 충분히 세척하고 완전히 익혀 섭취하고 어패류를 취급하는 업소에서는 수족관 물을 자주 교체하고, 한 번 사용한 무채나 천사채 등은 다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2]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