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토론:삭제 토론/김진왕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삭제 강력히 추천합니다.우선 작성자가 한국 외 싸이트라고 링크해논 대한민국외 카테고리를 보면 *세계유명병원 이 코너는 세계유명병원이란 뜻의 러시아어가 아니라.. 그냥 의학 논문을 인터넷으로 볼수있다고 해서 올려논것입니다. 유명이랑 논문을 볼수있다는것은 다릅니다. 그리고 세계레이저의학갤러리 이부분을 보면 도메인이 NU입니다. 뉴질렌드 령인 니우에입니다. 니우에의 공신력 없는 기관(솔직히 뭐하는 곳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에서 레이저의학계의 유명인사라고 올린게 과연 공신력이 있습니까? 세계레이저학술원] 이곳은 이름은 세계 레이저 아카데미가 맞습니다. 어떤 공신력을 가진 기관과 연개된것이 아닌...김진왕 교수가 대표로 있는 국제레이저의학회라는 기관소속입니다. 국제아태레이저의학회,세계레이저의학회-세계성형외과학회여기는 김진왕 교수 본인이 대표로 있는 곳입니다. 중립성이 훼손되겠죠. 그리고 하단에 보면 사업자 번호까지 있습니다. 이익을 목적으로하는 기관지 학문을 위한 비영리 기관은 아닌것 같습니다. "미국 레이저 성형 전문의 자격증"란 단어를 작성자가 사용했는데 그게 무엇인지 진짜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있기로 미국정부기관이 인정하는 그런 자격증은 없습니다.[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medical_specialty_colleges_in_the_United_States 미국 전문의 종류목록을 보실수있습니다.


제목[편집]

 삭제요청 대한 반론 

세계유명병원사이트를 보시면 위쪽은 논문뿐만아니라 세계유명학회소개 그리고 바를 내리시면 세계유명병원( Hospital)이 나타납니다. 맞는 내용을 왜 굳이 왜곡하시는지 제가보기에는 너무성급하게 글을 쓰시느라 사이트의 아래쪽 내용을 확인하지 못하시고 글을 올리신것 같습니다. 이사이트는 전세계모든나라의 언어로 되어 있어 국내에서도 똑같은 내용의 링크사이트가 매우 많습니다.뉴질랜드이야기를 하셨는데 뉴질랜드를 가보셨나 모르겠습니다. 뉴질랜드는 레이저교수님 또는 성형외과교수님중 매우 유명한 교수님들이 많은곳이지요 유명한 성형외과 Gilles 교수님도 결국 정년을 뉴질랜드에서 마치셨다고해요. 뉴질랜드의 오타고 대학은 매우 유명한 대학이랍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레이저관련학회는 95개학회가 있습니다. 김진왕선생님은 95개학회를 통합하는 세계레이저의학회(19th ISLMS) 회장님으로 선출되셨으니 인정을 안할수가 없지요 레이저를 하시는 분들은 김진왕 선생님을 잘압니다.모를수가 없지요(세계레이저의학회1975년 1회부터 2011년 19회까지 회장님이 명단이 다나와 있는데 누가생각해도 개인적으로 할수있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굳이 세계학회까지 이야기하지않아도 대한의학레이저학회지, 대한성형외과학회지, 대한광역학학회지 등에 많은 논문을 쓰신 저명한 교수님이셨으니까요 사업자번호가 있다고해서 중립성이 회손된다는 이야기는 더더욱 납득이 잘가지 않아요 왜냐하면 잘아시는것처럼 대한민국의 합법적인 모든 정식 학회는 대한민국 국세청 감시 감독하에 사업자 번호가 있어야 하고 그래서 세금을 내야하기 때문이죠.만일 없다면 당연히 합번적인 정식학회가 아니죠 제가 알고 있기로 국제아태레이저의학회는 한국과총의 정식후원학회로 되어 있고 매우 많은 국내외 과학자 의사들이 참석하였던 학회입니다. 회장은 있어도 개인 학회는 있을 수가 없는 것이지요.후원도 대한의학레이저학회, 대한의사협회였고요. 미국레이저성형전문의 자격증에 대해서 언급하셨는데 미국레이저전문의협회[1]에 가 보시면 잘 알수 있습니다.자격증 샘플도 다 나와 있고요 진짜궁금하시면 미국레이저전문협회 링크 싸이트로 직접방문해보시면 영어를 잘모르셔도 알수있지않을까요? 어떻게 왜 만들어졌고 미국 법률에 근거하여 원서도 받고 자격심사도 철저히 하고 통과자에 한하여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을 본다는 이야기가 잘나와 있습니다.레이저에관한 전문자격증은 이미 세계학회에서도 언급이되어 실시가되고 있는 자격증(Certification)이랍니다. 흔히 전문의 자격하면 제시하신 카테고리만 아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저를 만드셨던분들이나 노벨상을 받으셨던분들 중에서는 아시는 카테고리에 없는경우도 있지요 그래서 미국레이저전문협회(American Board of Laser Surgery) 에서는 선을 명백히 하여 전문 분야등을 고려하여 자격증을 주게 됩니다. 예를들어 김진왕선생님께서 세계성형외과학회명예고문( Honoary Advisory Board of IPRAS )이신것은 전세계 모든 사람이 다아는 상황이고 대한민국성형외과전문의 입니다. 사실이고요[2]이럴경우 세계성형외과학회 (Internatioanl Society of Plastic ,Reconstrutive& Aeshetic Surgery)의 추천을 받아 미국의 법적 공신력있는 기관인 미국레이저전문의협회[3]에서 시험을 보고 자격증을 부여하는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도를 하고는 있지만 아무나 할수 있는 일은 아니지요. 왜 학회에 정부가 관여를 합니까? 세계레이저학술원 [4]는 홈페이지를 방문해보시면 전세계 레이저의학의 근원을 이루는 학자분들이 몸을 담고 있는곳입니다.이곳은 김진왕회장님의 세계레이저의학회소속이 아닌 별도의 독립된 세계레이저학술원(world Academy of Laser Application)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장하시는것처럼 한개인을 대표하는 또 중립성이 없다는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Joungok (토론) 2009년 1월 24일 (토) 21:19 (KST)

토론은 여기서 하지 마시고 삭제 토론 해당 페이지에 가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Nt (토론) (토론) 2009년 1월 24일 (토) 22:18 (KST)

여기가 삭제토론이 아니기때문에 삭제토론장으로 옮기겠습니다. [5] 으로 오셔서 참여하시면 됩니다. Meuniers (토론) 2009년 1월 24일 (토) 22:5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