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회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가(cost)는 특정물품이나 서비스와 같은 특정자원을 얻는 데 소멸된 재화나 용역의 가치를 화폐액으로 측정한 것이다[1][2].

특히 회계에서 재고자산평가나 경영자의 의사결정 등과 같이 원가정보의 이용목적을 위해서 소비된 원재료, 노동력 등의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자원을 모든 자원의 경제적 비용을 측정할 수 있는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출처 필요]

취득원가와 제조원가[편집]

흔히 물건을 원가에 판다는 말은 취득원가 또는 제조원가에 판다는 말이다.

취득원가(Acquisition Cost): 제조업체나 도매상에서 재고나 설비 등을 사온 당시에 지불한 자원의 가격. 각종 부대비용(운송료, 부가세 등)은 취득원가에 포함함.

제조원가(Manufacturing Cost): 물건을 만들 때 든 돈. 임대료, 전기수도료, 종업원 급여도 제조원가에 포함됨. 직접 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로 나누어진다[3]

제조원가의 3요소[편집]

제조원가요소는 직접재료비(=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비(=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비로 세 요소로 분류하거나, 재료비(-재료원가), 노무비(=노무원가), 제조경비 세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4] 1

기초원가와 가공비[편집]

제조원가의 구성요소에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가 가장 기초적인 제조원가이므로 기초원가(prime cost)라고 부른다.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는 직접재료를 가공하는 원가이므로 가공비(전환원가 conversion cost)[5]라고 부른다[6].

이와 같이 발생한 원가 중 미래적 경제적 효익을 가져오는, 기업의 수익획득에 아직 사용되지 않은 미소멸원가는 자산으로, 수익획득에 사용된 소멸원가는 비용으로 재무제표에 계상되며 수익획득에 기여하지 못한 소멸원가는 손실로 계상된다. 예를 들면 기업이 제품을 제조하면서 지출한 금액 중 아직 판매되지 않은 제품의 제조원가는 재고자산(자산)으로, 판매된 제품의 제조원가는 매출원가는 매출원가(비용)으로 계상되며 판매와 관계없이 소멸된 제품의 제조원가는 재고자산감모손실(손실)로 계상된다는 것이다.[7][8]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IFRS 이윤호 회계학 2: 원가회계, 2012, 이윤호, p.17》
  2. 《2015 원가관리회계, 삼일인포마인, p.27 》
  3. 《원가관리회계 제5판, 백태영, p.41》
  4. 원가계산준칙 (회계기준위원회, 2002. 8. 25) 제7조【제조원가요소의 분류】
  5. 《2015 원가관리회계, 삼일인포마인, p.36》
  6. 《원가관리회계 제5판, 백태영, p.50》
  7. 2015 원가관리회계, 삼일인포마인, p.27
  8. 2012 IFRS 이윤호 회계학 2.원가회계,박문각, p.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