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압메토어
사용 국가 |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
---|---|
사용 지역 | 서티모르, 오에쿠시 현 |
언어 인구 | 80만 명 (2009-2011년)[1][2]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티모르어군 우압메토어 |
언어 부호 | |
ISO 639-3 | 두 개: aoz – 우압메토어bkx – 바이케누어
|
글로톨로그 | uabm1237[3] |
우압메토어(Uab Meto) 또는 다완어(Dawan)는 서티모르의 아토니족 사람들이 말하는 언어이다. 동티모르의 오에쿠시 현에서 쓰이는 방언이 있으며 이는 바이케누어(Baikenu)라 한다.
음운론[편집]
우압메토어의 음소 목록은 다음과 같다.[4]
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무성 | p | t | k | ʔ |
유성 | b | ||||
비음 | m | n | |||
마찰음 | f | s | h | ||
설측음 | l |
무성 파열음 /p t k/은 어말에서 불파음 [p̚ t̚ k̚]로 실현될 수 있다..
전설 | 후설 | |
---|---|---|
고모음 | i | u |
중고모음 | e | o |
중저모음 | ɛ | ɔ |
저모음 | a |
각주[편집]
- ↑ Uab Meto, 에스놀로그 (18판, 2015년).
- ↑ Baikeno, 에스놀로그 (18판, 2015년).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2). 〈Uab Meto〉. 《Glottolog 4.6》.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Tata bahasa Dawan》. Tarno,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