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
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
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
출생 1780년 12월 13일(1780-12-13)
바이로이트 후작령(Principality of Bayreuth), 호프
사망 1849년 3월 24일(1849-03-24)(68세)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예나
국적 벨기에
주요 업적 되베라이너의 삼원소
되베라이너의 램프
분야 미드필더
소속 예나 대학교

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Johann Wolfgang Döbereiner) (1780년 12월 13일 - 1849년 3월 24일)는 화학 원소의 주기율을 예시하고 되베라이너의 램프로 알려진 최초의 램프를 발명한 업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독일 화학자이다.[1] 그는 예나 대학교에서 화학 및 약학 교수로 재직했다.

생애와 업적[편집]

평민의 아들인 되베라이너는 공식적인 학교 교육 기회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그는 약사의 견습생으로 광범위한 독서와 과학 강좌 참석을 시작했다. 결국 1810년 예나 대학의 교수가되었고 스트라스부르에서 화학을 전공했다. 1829년에 출판 된 연구에서[2] 되베라이너는 선택된 원소 그룹의 특정한 속성의 경향을 보고했다. 예를 들어, 리튬칼륨의 평균 원자 질량은 나트륨의 원자 질량에 가깝다. 칼슘, 스트론튬, 바륨, , 셀레늄, 텔루륨, 염소, 브롬요오드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들 삼원소 중 일부의 밀도는 비슷한 패턴을 따랐다. 이러한 원소의 집합은 "되베라이너의 삼원소"로 알려졌다.[3][4]

되베라이너의 램프

되베라이너는 푸르푸랄(furfural)의 발견과[5] 백금을 촉매로 사용한 연구와, 되베라이너의 램프로 알려진 램프로도 알려져 있다. 이 램프는 1828년까지 슐라이츠(Schleiz)의 독일 제조업체 고트프리트 피글러(Gottfried Piegler)에 의해 수십만대가 대량 생산되었다.[6]

독일의 문호인 괴테는 되베라이너의 친구로 매주 강의에 참석했으며, 그의 유명한 1809년 소설인 《친화력》(독일어: Die Wahlverwandtschaften)의 기초로 화학적 친화력 이론을 사용했다.

저작물[편집]

  • Deutsches Apothekerbuch . Vol. 1-3. Balz, Stuttgart 1842-1848 뒤셀도르프 대학 및 주립 도서관 디지털 판

각주[편집]

  1. “Treasures: Table lighters ignite interest in collectors”. 《Independent.ie》. 2016년 11월 11일. 2017년 1월 27일에 확인함. 
  2. Döbereiner, Johann Wolfgang (1829). “An Attempt to Group Elementary Substances according to Their Analogies”. 《Annalen der Physik und Chemie15 (2): 301–307. doi:10.1002/andp.18290910217. 2019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an attempt which I made twelve years ago to group substances by their analogies. 
  3. “Johann Wolfgang Dobereiner”. 2016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4. “A Historic Overview: Mendeleev and the Periodic Table” (PDF). 2008년 3월 8일에 확인함. 
  5. J. W. Döbereiner (1832). “Ueber die medicinische und chemische Anwendung und die vortheilhafte Darstellung der Ameisensäure”. 《Berichte der Deutschen Chemischen Gesellschaft》 3 (2): 141–146. doi:10.1002/jlac.18320030206. 
  6. Thomas, John Meurig (2017). “The RSC Faraday prize lecture of 1989”. 《Chemical Communications》 53 (66): 9185–9197. doi:10.1039/C7CC90240A. 

추가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