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영진
작가 정보
출생1916년 12월 9일(1916-12-09)
사망1974년 10월 29일(1974-10-29)(57세)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직업극작가
학력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오영진(吳泳鎭, 1916년 12월 9일 ~ 1974년 10월 29일)은 한국의 극작가이다. 호는 우천(又川)이고 평양에서 태어났으며, 민족지도자 오윤선(吳胤善)[1] 장로의 삼남매 중 막내이다.

생애[편집]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였다.

민족지도자의 한 사람인 그의 아버지 오윤선(吳胤善, 1871-1950)[1][2][3] 장로는 1922년 조만식과 함께 조선물산장려회(朝鮮物産奬勵會)를 조직하고 국산품장려운동을 벌이고, 해방 직후 1945년 8월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4] 부위원장, 인민정치위원회[5] 부위원장에 선출되기도 했다.

그도 해방 직후 조만식의 비서관을 지내기도 했다. 처음에는 공산주의 사상에 호의를 가지고, 1945년 10월 14일 평양의 김일성 장군 환영대회에도 참가했으며, 김일성 본인과도 몇 차례 만나고 약간의 친분까지 쌓았다. 하지만 소련군정과 그 앞잡이 김일성 일당들이 공산화를 위해 무력을 동원하여 주민들의 일방적 지지를 받던 조만식과 민족 진영 지도자들을 구금하고 벌이는 무지막지한 행동들에 좌절감을 느끼고 1947년 11월 7일 월남했다.

월남후인 1948년 7월 10일에는 서울에서 북한이 파견한 인물로 보이는 자의 총격을 받아 심한 부상을 당했으나 다행히 생명은 건졌다.

그의 아버지 오윤선은 6.25 전란 중인 1950년 10월 국군과 유엔군이 평양으로 진격할 때, 김일성 세력이 후퇴 직전 조만식 등 여러 민족 진영 지도자들과 함께 처형한 것으로 알려졌다.

6.25 전쟁 중인 1952년 북한에서 체험한 소련군정의 실상을 폭로하는 저서 "소군정하(蘇軍政下)의 북한(北韓) : 하나의 증언(證言)"을 펴냈다[6][7]. 이 책 속에 자신이 평양에서 체험했던 소련군정의 실상과 김일성에 대한 자세한 증언이 나온다. 여기에는 북한 김일성이 가짜임을 입증하는 중요한 증언이 들어 있다. 그의 처남의 장인이었던 김인욱(金仁旭, 1892- ?)은 일본육사 나온 사람으로 1937년 6월 4일 보천보 사건 직후 6월 30일에 벌어진 소위 간삼봉 전투에서 동북항일연군 6사장 김일성과 전투를 벌인 바 있다. 오영진이 해방 직후 평양에 온 북한 김일성과 당시 일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김일성은 김인욱이 아니라 그와 일본 육사 동기인 김석원(金錫源, 1893~1978)이 당사자인 것처럼 잘못 말하는 것을 듣고, 그의 진실성을 의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오영진은 김인욱 본인의 말을 정확히 전해 들을 수 있었던 사람이다. 그에 의하면 당시 6사장 김일성은 김인욱을 직접 만나 담판을 벌인 적도 있기 때문에 김석원으로 이름을 잘못 알 수가 없다고 했다. 김인욱은 평안남도 용강군(平安南道 龍岡郡) 출신으로 해방 전 예편하고, 고향에서 살다가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에 끌려간 후 소식을 모른다고 한다.[8]

소위 간삼봉 전투에서 동북항일연군 6사장 김일성 부대와 맞붙었던 일본군을 실제로 지휘한 사람은 서울 용산연대의 김석원이 아니라, 그와 일본 육사 동기로 함흥연대 소속이었던 김인욱(金仁旭, 1892- ?) 소좌였다는 것은 당시 신문 기사에서도 확인이 되며,[9] 여러 사람들의 연구에 의해서도 잘 밝혀져 있다.[10] 북한 측이 이 사안과 관련하여 김인욱 아닌 김석원을 자꾸 거론하는 것은 북한 김일성이 보천보 사건과 간삼봉 전투 당사자인 6사장 김일성이 아니라 가짜라는 증거일 뿐이다. 6사장 김일성은 1937년 11월 13일 전사했고, 북한 김일성은 같은 이름을 쓰며 자신이 6사장인양 행동하여 그 공을 가로챘다.


그의 희곡, 맹진사댁 경사대한민국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상)에 실려 있다.

주요작품으로는 《배뱅이굿》, 《맹 진사 댁 경사》, 《시집 가는 날》이 있다. 한국적인 해학을 담은 향토적인 소재의 작품을 썼다.

1969년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지도위원으로 참여하였다.

가족관계[2][편집]

  • 조부 : 오치린
  • 부친 : 오윤선(吳胤善, 1871-1950)
  • 숙부 : 오형선(吳亨善, 1875~1944),
  • 숙부 : 오원선(吳元善)

각주[편집]

  1. 朝鮮人本位(조선인본위) 金融機關要求(금융기관요구) 商業界(상업계) 吳胤善氏談(오윤선씨담) 1936.06.03. 동아일보 3면
    言論機關(언론기관)과 中心團體必要(중심단체필요) 社會側(사회측) 曺晩植氏(조만식씨) 談(담) 1936.06.03. 동아일보 3면
  2. [장로] 믿음의 선진, 삼형제이야기 오윤선•오형선•오원선 장로 (1) - 오윤선 장로<1871-1950(?)>(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장로신문 제1606호] 2018년 8월 11일
  3. 산정현 교회 오윤선 장로 네이버 블로그
  4. 박명수,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와 조만식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41호, 2014.9, 37-76
  5. 북한연표 해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
  6. 蘇軍政下의 北韓 : 하나의 證言 / 吳泳鎭 著 서울: 國民思想指導院, 단기4285 [1952] / 복간 1983년 국토통일원
  7. 하나의 證言: 作家의 手記 서울 : 中央文化社, 1952
  8. 오영진(吳泳鎭, 1916-1974), 『蘇軍政下의 北韓 - 하나의 證言 -』, 서울, 중앙문화사(中央文化社, 1952. 06. 10). 국토통일원이 1983년 재발간 : 재간본 pp.90~91, pp.98~100
  9. 王公族附武官 李王垠 附屬步兵 少佐 金仁旭 補 步兵第七十四聯隊附 (咸興) 동아일보 1935-08-02 조간 1면 13단
    金仁旭少佐 驍勇은 聯隊의 誇이다 : 新乫坡對岸의 討匪壯烈戰과 咸興聯隊當局者談 Archived 2017년 4월 6일 - 웨이백 머신 매일신보(每日申報) 1937년 7월 3일 면수:06 단수:15
    今日 卒業한 日本士官學校 第27期 매일신보(每日申報) 1915.6.18
  10. 이명영(李命英, 1928-2000), 『金日成列傳』 (新文化社, 1974) pp.261~264


참고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