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발렌타리아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 ||||||||||
생물 분류![]() | ||||||||||
---|---|---|---|---|---|---|---|---|---|---|
| ||||||||||
목 | ||||||||||
|
오발렌타리아류(Ovalentaria 또는 Ovalentariae)는 조기어류 분류군의 하나이다. 키클라목 등 7개 어류 목을 포함하고 있다. "달걀[卵] 형태의" 또는 "타원형"(楕圓形) 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오바"(ova)와 "점착성(접착성)의"라는 의미의 "렌타"(lenta)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
하위 분류[편집]
- 미분류 목
- 키클라상목 (Cichlomorphae)
- 키클라목 (Cichliformes)
- 색줄멸상목 (Atherinomorphae)
- 숭어상목 (Mugilomorphae)
- 숭어목 (Mugiliformes)
- 베도라치상목 (Blenniimorphae)
계통 분류[편집]
2016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
극기류 |
| ||||||||||||||||||||||||||||||||||||||||||||||||||||||||||||||||||||||||||||||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2]
오발렌타리아류 |
| ||||||||||||||||||||||||||||||||||||||||||||||||||||||||||||||||||||||||||||||||||||||||||||||||
각주[편집]
- ↑ R. Betancur-R., E. Wiley, N. Bailly, A. Acero, M. Miya, G. Lecointre, G. Ortí; 외. (2016).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Deepfin》. 2020년 3월 12일에 확인함.
- ↑ Ricardo Betancur-R, Edward O. Wiley, Gloria Arratia, Arturo Acero, Nicolas Bailly, Masaki Miya, Guillaume Lecointre and Guillermo Ortí: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BMC Evolutionary Biology, BMC series – Juli 2017, DOI: 10.1186/s12862-017-0958-3
![]() |
이 글은 물고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