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골어류 (Euteleostei 또는 Euteleosteomorpha)는 진골어류 에 속하는 조기어류 분류군의 하나이다.[1] [2] [3]
하위 분류 [ 편집 ]
레피도갈락시아스아군 (Lepidogalaxii)
원극기아군 (Protacanthopterygii)
앨퉁이아군 (Stomiati)
최신진골어아군 (Neoteleostei)
꼬리치하군 (Ateleopodia)
Eurypterygia 또는 Eurypterygii
홍메치목 (Aulopiformes)
샛비늘치목 (Myctophiformes)
이악어목 (Lampriformes)
측극기류 (Paracanthopterygii)
턱수염금눈돔목 (Polymixiiformes)
극기류 (Acanthopterygii)
계통 분류 [ 편집 ]
2016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2016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 Thomas J. Near; 외. (2012). “Resolution of ray-finned fish phylogeny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 《PNAS》. 13698–13703쪽. doi :10.1073/pnas.1206625109 .
↑ Betancur-R, Ricardo; 외. (2013).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PLOS Currents Tree of Life》 (Edition 1). doi :10.1371/currents.tol.53ba26640df0ccaee75bb165c8c26288 . 2013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Laurin, M.; Reisz, R.R. (1995). “A reevaluation of early amniote phylogeny”.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13 : 165–223. doi :10.1111/j.1096-3642.1995.tb00932.x .
↑ R. Betancur-R., E. Wiley, N. Bailly, A. Acero, M. Miya, G. Lecointre, G. Ortí: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2016)
↑ R. Betancur-R., E. Wiley, N. Bailly, A. Acero, M. Miya, G. Lecointre, G. Ortí; 외. (2016).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 《Deepfin》. 2020년 3월 12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