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의 행정 구역
보이기
영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천시의 면적은 920.29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1], 인구는 2011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44,789세대 102,302명이다.[2]
지도
[편집]행정 구역
[편집]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법정리 |
---|---|---|---|---|---|
금호읍 | 琴湖邑 | 5,991 | 12,488 | 51.55 | 교대리, 냉천리, 대곡리, 오계리, 어은리, 관정리, 남성리, 대미리, 봉죽리, 구암리, 약남리, 삼호리, 덕성리, 석섬리, 성천리, 신대리, 신월리, 원기리, 원제리, 호남리, 황정리 |
청통면 | 淸通面 | 2,148 | 4,681 | 67.26 | 호당리, 우천리, 보성리, 신덕리, 대평리, 죽정리, 송천리, 원촌리, 신학리, 치일리, 애련리, 계포리, 계지리, 신원리, 용천리 |
신녕면 | 新寧面 | 2,186 | 4,553 | 81.09 | 치산리, 화남리, 부산리, 화서리, 왕산리, 화성리, 매양리, 가천리, 연정리, 신덕리, 완전리 |
화산면 | 花山面 | 1,648 | 3,659 | 53.48 | 연계리, 연계리, 덕암리, 대안리, 효정리, 당지리, 화산리, 가상리, 대기리, 암기리, 삼부리, 석촌리, 당곡리, 유성리, 부계리, 용평리 |
화북면 | 華北面 | 1,202 | 2,415 | 87.26 | 자천리, 옥계리, 입석리, 용소리, 법화리, 하송리, 상송리, 죽전리, 정각리, 횡계리, 공덕리, 오산리, 오동리 |
화남면 | 華南面 | 1,614 | 3,265 | 79.34 | 금호리, 죽곡리, 신호리, 사천리, 대천리, 선천리, 삼창리, 귀호리, 안천리, 온천리, 구전리, 용계리, 월곡리 |
자양면 | 紫陽面 | 636 | 1,181 | 89.44 | 보현리, 도일리, 충효리, 삼귀리, 용산리, 신방리, 노항리, 성곡리, 용화리, |
임고면 | 臨皐面 | 2,038 | 4,327 | 88.15 | 양항리, 선원리, 덕연리, 삼매리, 평천리, 황강리, 효리, 금대리, 사리, 수성리, 우항리, 고천리, 매호리, 양평리 |
고경면 | 古鏡面 | 2,910 | 6,539 | 120.57 | 단포리, 창하리, 창상리, 대의리, 대성리, 오류리, 고도리, 부리, 용전리, 도암리, 상리리, 학리, 해선리, 전사리, 동도리, 차당리, 삼귀리, 초일리, 상덕리, 가수리, 석계리, 삼산리, 삼포리, 오룡리, 덕암리, 청정리, 파계리, 칠전리, 덕정리, 논실리 |
북안면 | 北安面 | 2,286 | 4,773 | 71.19 | 상리, 당리, 북리, 도유리, 명주리, 용계리, 신대리, 신리, 효리, 도천리, 옥천리, 서당리, 고지리, 임포리, 반계리, 자포리, 신촌리, 관리, 원당리, 내포리, 반정리, 송포리, 유하리, 유상리 |
대창면 | 大昌面 | 1,550 | 3,223 | 50.93 | 직천리, 운천리, 용전리, 어방리, 오길리, 용호리, 신광리, 조곡리, 대재리, 구지리, 사리리, 대창리, 강회리, 병암리 |
동부동 | 東部洞 | 9,845 | 26,258 | 10.76 | 조교동, 망정동, 야사동, 언하동, 신기동 |
중앙동 | 中央洞 | 3,888 | 10,021 | 20.44 | 문내동, 문외동, 창구동, 과전동, 오미동, 녹전동, 도림동, 매산동 |
서부동 | 西部洞 | 2,708 | 6,058 | 16.64 | 성내동, 화룡동, 교촌동, 오수동, 쌍계동, 대전동, 서산동 |
완산동 | 完山洞 | 2,246 | 4,956 | 5.07 | 완산동 |
남부동 | 南部洞 | 1,893 | 3,905 | 27.17 | 도동, 금노동, 범어동, 작산동, 봉동, 도남동, 본촌동, 채신동, 괴연동 |
역사
[편집]- 1914년 4월 1일 영천군, 신녕군을 영천군으로 통폐합하였다.(14면)[3][4]
- 1934년 4월 1일 지곡면·신촌면이 화북면으로, 고촌면·청경면이 고경면으로 합면하였다. 화동면은 영천면·화북면에 분할 편입하였다.[5]
- 1937년 7월 1일 영천면이 영천읍으로 승격하였다.[6] (1읍 10면)
- 1971년 6월 1일 화북면에 삼창출장소를 설치하였다.[7]
- 1973년 7월 1일 금호면이 금호읍으로 승격하였다.[8] (2읍 9면)
- 1979년 5월 1일 영천읍에 동부·남부·북부출장소를 설치하였다.[9]
- 1981년 7월 1일 영천읍 일원을 관할로 영천시가 설치되었다.[10] (1읍 9면 9동)
- 9행정동 - 동부동, 중앙동, 명산동, 대전동, 교동, 완산동, 주남동, 봉작동, 영도동
- 1983년 2월 15일 금호읍 도남동, 청통면 오수·쌍계동, 화산면 매산동이 영천시에 편입되었다.[11] 도남동은 봉작동에, 오수·쌍계동은 교동에, 매산동은 명산동 관할에 넣었다.[12]
- 1984년 8월 30일 시청사를 완산동에서 문외동으로 이전하였다.[13]
- 1986년 4월 1일 화북면 삼창출장소가 화산면 귀호동을 편입하여 화남면으로 승격하였다.(1읍 10면 9동)[14]
- 1987년 1월 1일 임고면 언하·신기동이 영천시에 편입되고,[15] 동부동 관할에 넣었다.[16]
- 1988년 5월 3일 읍·면 내 동이 리로 개칭하였다.
- 1989년 1월 1일 청통면 서산리가 영천시에, 화북면 용계·월곡리가 화남면에 편입되었다.[17][18] 서산동은 대전동 관할에 넣었다.[19]
- 1995년 1월 1일 영천시 일원과 영천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영천시가 설치되었다.[20]
- 1998년 10월 20일 교동·대전동 일부(대전·서산)를 서부동으로, 명산동·대전동 일부(오미)를 중앙동에, 주남·봉작·영도동을 남부동으로 합동하였다.[21] (1읍 10면 5동)
각주
[편집]- ↑ 영천시의 행정 구역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28일 확인
- ↑ 영천시의 인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 7월 28일 확인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도령 제2호 (1914년 3월 16일)
- ↑ 도령 제83호 (1933년 10월 6일) (11면)
- ↑ 조선총독부령 제80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37년 6월 28일)
- ↑ 군조례 제194호 (1971년 6월 2일)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군조례 제567호 (1979년 4월 30일)
- ↑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년 1월 10일)
- ↑ 시조례 제197호 (1983년 2월 8일)
- ↑ 시조례 제281호 (1984년 8월 30일)
- ↑ 대통령령 제11874호 경기도남양주군조안면등면설치와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6년 3월 27일)
- ↑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년 12월 23일)
- ↑ 시조례 제364호 (1986년 12월 31일)
- ↑ 대통령령 제12557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8년 12월 22일)
- ↑ 군조례 제1092호 (1988년 12월 31일)
- ↑ 시조례 제470호 (1988년 12월 31일)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 ↑ 시조례 제211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에관한조례 (1998년 10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