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 (체액)
양수 | |
---|---|
정보 | |
식별자 | |
라틴어 | liquor amnii |
영어 | amniotic fluid |
MeSH | D000653 |
양수(羊水, amniotic fluid)는 임신한 양막류 동물에 존재하는 구조물인 양막낭에 들어 있는 액체로, 안의 태아를 보호한다. 또한 모체와 태아 간에 영양소, 물, 생화학적 산물을 교환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발달
[편집]양수는 임신낭이 만들어질 때부터 존재하며 양막낭 안에 들어 있다. 모체의 혈장으로부터 만들어져 삼투압과 정수압에 의해 태아막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태아의 콩팥이 16주경에 기능을 시작하면 태아의 소변 역시 양수 유지에 기여한다.[1] 태아의 소변만으로 양수가 구성된다고 생각되었던 시기도 있었으나 현재는 부정되었다.
양수는 태아의 조직과 피부로 흡수된다.[2] 임신 22주에서 25주경 태아의 각질화가 일어난다. 이 과정이 임신 25주경 완료되면[2] 피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 양수는 남은 임신 기간 동안 주로 태아의 창자를 통해 흡수된다.[1]
부피
[편집]양수의 부피는 태아가 성장하면서 달라진다. 10주에서 20주경 양수의 부피는 대략 25mL에서 400mL로 늘어난다.[3] 10주에서 11주경 태아의 호흡과 삼키기로 인해 양수의 양이 약간 줄어든다. 피부의 각질화가 완료되는 25주가 되기 전 소변 배설이나 삼키기는 모두 양수 양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피부의 각질화가 끝나면 태아의 성장과 양수의 부피 간의 증가 관계가 끝나게 된다. 재태연령 28주경 양수의 부피는 최대치인 약 800mL에 도달하고, 42주에는 약 400mL까지 줄어든다.[3] 일부 문헌에서는 출생 시의 양수 부피는 500~1000mL로 기술한다.[1][4]
임상적 중요성
[편집]양수천자
[편집]양수천자는 산전진단, 즉 산모나 아기에게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 중 하나로 주로 아기의 유전병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5] 태아의 감염 여부나 폐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도 시행할 수 있다.[6] 검사를 위해 산모의 복부에 가는 바늘을 찔러 넣어,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막인 양막을 뚫고 양수를 얻는다.[7] 양수 안에는 태아의 세포가 들어가 있으므로[7] 유전적 이상을 검색하기 위해 핵형 검사나 DNA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5] 일반적으로 임신 15주에서 20주 사이의 제2삼분기에 실시한다.[8]
분석
[편집]양수 분석은 아기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재태연령, 생존 가능성 등 많은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는 양수 안에 아기가 대사 후에 내보낸 노폐물이나 재태연령, 폐 성숙도를 평가하는 데에 이용하는 여러 물질들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태아의 세포도 양수 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전적 이상을 검사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양수의 pH는 정상적으로 7.0에서 7.5 사이이다.[9] 상부 질의 pH는 보통 3.8~4.5로 산성이므로, 임신 시 투명한 질액이 나오는데 질 pH 검사에서 4.5보다 높다는 결과가 나올 경우 양막파열을 보다 강하게 의심해 볼 수 있다.[9] 또 다른 검사로는 조기양막파열을 진단하기 위한 니트라진 검사나 양치형성검사가 있다.[10]
줄기세포 연구
[편집]여러 연구들에서 양수 안에 상당한 양의 줄기세포가 들어 있다는 것을 밝혀낸 바 있다.[11] 이러한 양수줄기세포[12][13]는 다능성을 보여 여러 가지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데, 이는 향후 인간의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14][15][16]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양수가 비배아성 줄기세포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7] 비배아성 줄기세포는 뇌, 간, 뼈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Larsen, William J. (2001). 《Human embryology》 3.판. Philadelphia, Pa.: Churchill Livingstone. 490쪽. ISBN 978-0443065835.
- ↑ 가 나 Underwood, Mark A.; Gilbert, William M.; Sherman, Michael P. (May 2005). “Amniotic Fluid: Not Just Fetal Urine Anymore - Journal of Perinatology”. 《Journal of Perinatology》 25 (5): 341–348. doi:10.1038/sj.jp.7211290. PMID 15861199. S2CID 1302607. 2020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Underwood, Mark A; Gilbert, William M; Sherman, Michael P (2005년 3월 24일). “Amniotic Fluid: Not Just Fetal Urine Anymore”. 《Journal of Perinatology》 25 (5): 341–348. doi:10.1038/sj.jp.7211290. PMID 15861199.
- ↑ Caroline, Nancy L. (1977년 1월 3일). “Medical Care in the Streets”.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37 (1): 43–6. doi:10.1001/jama.1977.03270280045020. ISSN 0098-7484. PMID 576129.
- ↑ 가 나 Jindal A, Sharma M, Chaudhary C (2020). 〈Amniocentesis〉. 《StatPearls》. StatPearls. PMID 32644673.
- ↑ Ghi T, Sotiriadis A, Calda P, Da Silva Costa F, Raine-Fenning N, Alfirevic Z, McGillivray G (August 2016). “ISUOG Practice Guidelines: invasive procedures for prenatal diagnosis”. 《Ultrasound in Obstetrics & Gynecology》 48 (2): 256–268. doi:10.1002/uog.15945. PMID 27485589. S2CID 35587941.
- ↑ 가 나 Cruz-Lemini M, Parra-Saavedra M, Borobio V, Bennasar M, Goncé A, Martínez JM, Borrell A (December 2014). “How to perform an amniocentesis”. 《Ultrasound in Obstetrics & Gynecology》 44 (6): 727–731. doi:10.1002/uog.14680. PMID 25449117. S2CID 30283309.
- ↑ “Practice Bulletin No. 162: Prenatal Diagnostic Testing for Genetic Disorders”. 《Obstetrics and Gynecology》 127 (5): e108–e122. May 2016. doi:10.1097/AOG.0000000000001405. PMID 26938573. S2CID 25791506.
- ↑ 가 나 Vaginal pH Test 보관됨 2014-06-01 - 웨이백 머신 from Point of Care Testing, July 2009, at: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Prepared by: Patricia Nassos, PhD, MT and Clayton Hooper, RN.
- ↑ Bennett, S.; Cullen, J.; Sherer, D.; Woods Jr, J. (2008). “The Ferning and Nitrazine Tests of Amniotic Fluid Between 12 and 41 Weeks Gestation”.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10 (2): 101–104. doi:10.1055/s-2007-994637. PMID 8476469.
- ↑ "Stem cells in amniotic fluid show promise", Los Angeles Times, Jan 8 2007, retrieved 27 July 2009
- ↑ De Coppi, Paolo; Bartsch, Georg; Siddiqui, M Minhaj; Xu, Tao; Santos, Cesar C.; Perin, Laura; Mostoslavsky, Gustavo; Serre, Angéline C.; Snyder, Evan Y.; Yoo, James J.; Furth, Mark E.; Soker, Shay; Atala, Anthony (2007). “Isolation of amniotic stem cell lines with potential for therapy”. 《Nature Biotechnology》 25 (1): 100–106. doi:10.1038/nbt1274. PMID 17206138. S2CID 6676167.
- ↑ "Scientists See Potential In Amniotic Stem Cells", Washington Post, Jan 8 2007, retrieved 27 July 2009
- ↑ "Amniotic Fluid Yields New Type of Stem Cell" Archived 2014년 1월 22일 - 웨이백 머신, PBS - The Online News Hour, Jan 8 2007, retrieved 27 July 2009
- ↑ "Versatile Stem Cell Identified in Amniotic Fluid", Pamela J. Hines, International Society of Stem Cell Research, March 21, 2008, retrieve 27 July 2009 “ISSCR :: Public : Stem Cell Briefings”. 2009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9일에 확인함.
- ↑ "Amniotic Stem Cells - "Mesenchimal Stem Cells in Human Application", Biocell Center Group, 2009, retrieved 27 July 2009 “Archived copy” (PDF). 2009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9일에 확인함.
- ↑ De Coppi, Paolo; Bartsch, Georg; Siddiqui, M Minhaj; Xu, Tao; Santos, Cesar C.; Perin, Laura; Mostoslavsky, Gustavo; Serre, Angéline C.; Snyder, Evan Y.; Yoo, James J.; Furth, Mark E.; Soker, Shay; Atala, Anthony (2007). “Isolation of amniotic stem cell lines with potential for therapy”. 《Nature Biotechnology》 25 (1): 100–106. doi:10.1038/nbt1274. PMID 17206138. S2CID 6676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