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양수 (체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수
양막낭 안에 들어 있는 10주 때의 사람 태아. 양수로 둘러싸여 있다.
정보
식별자
라틴어liquor amnii
영어amniotic fluid
MeSHD000653

양수(羊水, amniotic fluid)는 임신양막류 동물에 존재하는 구조물인 양막낭에 들어 있는 액체로, 안의 태아를 보호한다. 또한 모체와 태아 간에 영양소, 물, 생화학적 산물을 교환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발달

[편집]

양수는 임신낭이 만들어질 때부터 존재하며 양막낭 안에 들어 있다. 모체의 혈장으로부터 만들어져 삼투압과 정수압에 의해 태아막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태아의 콩팥이 16주경에 기능을 시작하면 태아의 소변 역시 양수 유지에 기여한다.[1] 태아의 소변만으로 양수가 구성된다고 생각되었던 시기도 있었으나 현재는 부정되었다.

양수는 태아의 조직과 피부로 흡수된다.[2] 임신 22주에서 25주경 태아의 각질화가 일어난다. 이 과정이 임신 25주경 완료되면[2] 피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 양수는 남은 임신 기간 동안 주로 태아의 창자를 통해 흡수된다.[1]

부피

[편집]

양수의 부피는 태아가 성장하면서 달라진다. 10주에서 20주경 양수의 부피는 대략 25mL에서 400mL로 늘어난다.[3] 10주에서 11주경 태아의 호흡삼키기로 인해 양수의 양이 약간 줄어든다. 피부의 각질화가 완료되는 25주가 되기 전 소변 배설이나 삼키기는 모두 양수 양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피부의 각질화가 끝나면 태아의 성장과 양수의 부피 간의 증가 관계가 끝나게 된다. 재태연령 28주경 양수의 부피는 최대치인 약 800mL에 도달하고, 42주에는 약 400mL까지 줄어든다.[3] 일부 문헌에서는 출생 시의 양수 부피는 500~1000mL로 기술한다.[1][4]

임상적 중요성

[편집]

양수천자

[편집]

양수천자는 산전진단, 즉 산모나 아기에게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 중 하나로 주로 아기의 유전병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5] 태아의 감염 여부나 폐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도 시행할 수 있다.[6] 검사를 위해 산모의 복부에 가는 바늘을 찔러 넣어,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막인 양막을 뚫고 양수를 얻는다.[7] 양수 안에는 태아의 세포가 들어가 있으므로[7] 유전적 이상을 검색하기 위해 핵형 검사나 DNA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5] 일반적으로 임신 15주에서 20주 사이의 제2삼분기에 실시한다.[8]

분석

[편집]

양수 분석은 아기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재태연령, 생존 가능성 등 많은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는 양수 안에 아기가 대사 후에 내보낸 노폐물이나 재태연령, 폐 성숙도를 평가하는 데에 이용하는 여러 물질들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태아의 세포도 양수 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전적 이상을 검사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양수의 pH는 정상적으로 7.0에서 7.5 사이이다.[9] 상부 의 pH는 보통 3.8~4.5로 산성이므로, 임신 시 투명한 질액이 나오는데 질 pH 검사에서 4.5보다 높다는 결과가 나올 경우 양막파열을 보다 강하게 의심해 볼 수 있다.[9] 또 다른 검사로는 조기양막파열을 진단하기 위한 니트라진 검사나 양치형성검사가 있다.[10]

줄기세포 연구

[편집]

여러 연구들에서 양수 안에 상당한 양의 줄기세포가 들어 있다는 것을 밝혀낸 바 있다.[11] 이러한 양수줄기세포[12][13]는 다능성을 보여 여러 가지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데, 이는 향후 인간의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14][15][16]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양수가 비배아성 줄기세포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7] 비배아성 줄기세포는 , ,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arsen, William J. (2001). 《Human embryology》 3.판. Philadelphia, Pa.: Churchill Livingstone. 490쪽. ISBN 978-0443065835. 
  2. Underwood, Mark A.; Gilbert, William M.; Sherman, Michael P. (May 2005). “Amniotic Fluid: Not Just Fetal Urine Anymore - Journal of Perinatology”. 《Journal of Perinatology》 25 (5): 341–348. doi:10.1038/sj.jp.7211290. PMID 15861199. S2CID 1302607. 2020년 2월 13일에 확인함. 
  3. Underwood, Mark A; Gilbert, William M; Sherman, Michael P (2005년 3월 24일). “Amniotic Fluid: Not Just Fetal Urine Anymore”. 《Journal of Perinatology》 25 (5): 341–348. doi:10.1038/sj.jp.7211290. PMID 15861199. 
  4. Caroline, Nancy L. (1977년 1월 3일). “Medical Care in the Streets”.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37 (1): 43–6. doi:10.1001/jama.1977.03270280045020. ISSN 0098-7484. PMID 576129. 
  5. Jindal A, Sharma M, Chaudhary C (2020). 〈Amniocentesis〉. 《StatPearls》. StatPearls. PMID 32644673. 
  6. Ghi T, Sotiriadis A, Calda P, Da Silva Costa F, Raine-Fenning N, Alfirevic Z, McGillivray G (August 2016). “ISUOG Practice Guidelines: invasive procedures for prenatal diagnosis”. 《Ultrasound in Obstetrics & Gynecology》 48 (2): 256–268. doi:10.1002/uog.15945. PMID 27485589. S2CID 35587941. 
  7. Cruz-Lemini M, Parra-Saavedra M, Borobio V, Bennasar M, Goncé A, Martínez JM, Borrell A (December 2014). “How to perform an amniocentesis”. 《Ultrasound in Obstetrics & Gynecology》 44 (6): 727–731. doi:10.1002/uog.14680. PMID 25449117. S2CID 30283309. 
  8. “Practice Bulletin No. 162: Prenatal Diagnostic Testing for Genetic Disorders”. 《Obstetrics and Gynecology》 127 (5): e108–e122. May 2016. doi:10.1097/AOG.0000000000001405. PMID 26938573. S2CID 25791506. 
  9. Vaginal pH Test 보관됨 2014-06-01 - 웨이백 머신 from Point of Care Testing, July 2009, at: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Prepared by: Patricia Nassos, PhD, MT and Clayton Hooper, RN.
  10. Bennett, S.; Cullen, J.; Sherer, D.; Woods Jr, J. (2008). “The Ferning and Nitrazine Tests of Amniotic Fluid Between 12 and 41 Weeks Gestation”.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10 (2): 101–104. doi:10.1055/s-2007-994637. PMID 8476469. 
  11. "Stem cells in amniotic fluid show promise", Los Angeles Times, Jan 8 2007, retrieved 27 July 2009
  12. De Coppi, Paolo; Bartsch, Georg; Siddiqui, M Minhaj; Xu, Tao; Santos, Cesar C.; Perin, Laura; Mostoslavsky, Gustavo; Serre, Angéline C.; Snyder, Evan Y.; Yoo, James J.; Furth, Mark E.; Soker, Shay; Atala, Anthony (2007). “Isolation of amniotic stem cell lines with potential for therapy”. 《Nature Biotechnology》 25 (1): 100–106. doi:10.1038/nbt1274. PMID 17206138. S2CID 6676167. 
  13. "Scientists See Potential In Amniotic Stem Cells", Washington Post, Jan 8 2007, retrieved 27 July 2009
  14. "Amniotic Fluid Yields New Type of Stem Cell" Archived 2014년 1월 22일 - 웨이백 머신, PBS - The Online News Hour, Jan 8 2007, retrieved 27 July 2009
  15. "Versatile Stem Cell Identified in Amniotic Fluid", Pamela J. Hines, International Society of Stem Cell Research, March 21, 2008, retrieve 27 July 2009 “ISSCR :: Public : Stem Cell Briefings”. 2009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9일에 확인함. 
  16. "Amniotic Stem Cells - "Mesenchimal Stem Cells in Human Application", Biocell Center Group, 2009, retrieved 27 July 2009 “Archived copy” (PDF). 2009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9일에 확인함. 
  17. De Coppi, Paolo; Bartsch, Georg; Siddiqui, M Minhaj; Xu, Tao; Santos, Cesar C.; Perin, Laura; Mostoslavsky, Gustavo; Serre, Angéline C.; Snyder, Evan Y.; Yoo, James J.; Furth, Mark E.; Soker, Shay; Atala, Anthony (2007). “Isolation of amniotic stem cell lines with potential for therapy”. 《Nature Biotechnology》 25 (1): 100–106. doi:10.1038/nbt1274. PMID 17206138. S2CID 6676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