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어군
참어군 아체참어군 | |
---|---|
지리적 분포 |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중국(하이난섬) 등 |
계통적 분류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말레이숨바와어군? 참어군 |
하위 분류 |
|
글로톨로그 | cham1327[1] |
참어군(영어: Chamic languages) 또는 아체참어군(영어: Aceh-Chamic)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아체주와 캄보디아, 베트남, 하이난섬에서 쓰이는 열 개 언어가 이루는 어군이다. 참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숨바와어군에 속한다. 이 어군의 조상 언어인 참조어는 사후인 문화와 관련 있는데, 참조어 화자들은 보르네오 또는 어쩌면 말레이 반도에서 오늘날의 베트남 지역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2]
350만 명이 사용하는 아체어 다음으로는 자라이어와 참어가 가장 널리 쓰이는 참어군 언어들이고, 각각 약 23만 명과 28만 명의 화자가 캄보디아와 베트남 양쪽에 있다. 차트어는 가장 북쪽에 위치하면서 화자 수도 단 3천 명으로 가장 적다.
역사
[편집]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안에서 기록 역사가 가장 오래된 언어이다. 고대 참어로 쓰인 동옌쩌우 비문은 4세기 후반의 것이다.
장기간 접촉에서 일어난 차용으로 인해, 참어군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바흐나르어파는 공통된 어휘 항목이 많다.[2][3]
2006년 로저 블렌치는[4] 아슬리어파 언어들에 참어군에서 온 차용어가 많다며, 과거 말레이 반도에 참어군 언어 화자들이 존재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분류
[편집]Thurgood (1999:36)에서는 다음과 같이 참어군 언어들을 분류한다.[2]
- 아체어
- 해안참어군
- 고지대참어군
참조어 수사에서 7부터 9까지가 말레이어군과 공유된다는 사실은 두 어군을 말레이참어군으로 묶는 근거가 될 수 있다(Thurgood 1999:37).
2009년 로저 블렌치[5]는 현존하는 어파로 거슬러 갈 수 없는 오스트로아시아계 차용어들이 오늘날의 참어군 언어들에 여럿 있다는 사실에 근거해, 베트남 해안 지역에 지금은 사멸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어파가 적어도 하나는 존재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Blench 2009; Sidwell 2006).[6]
재구
[편집]아래의 참조어는 그레이엄 서굿이 1999년에 발표한 재구형이다.[2]
자음
[편집]아래의 참조어 전음절 자음 표는 Thurgood (1999:68)에서 가져온 것이다. ɲ의 포함 여부에 따라 총 13~14개의 전음절 자음이 존재했다. 비전음절 자음에는 *ʔ, *ɓ, *ɗ, *ŋ, *y, *w가 있다. 유기음이 재구되기도 한다.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무성 | p | t | c | k | |
유성 | b | d | ɟ | ɡ | ||
비음 | m | ɲ[7] | ||||
설측음 | l | |||||
탄음 또는 전동음 | r | |||||
마찰음 | s | h |
참조어에서 재구되는 자음군은 다음과 같다(Thurgood 1999:93).
- *pl-, *bl-, *kl-, *gl-
- *pr-, *tr-, *kr-, *br-, *dr-
모음
[편집]4개의 모음(*-a, *-i, *-u와 *-e 또는 *-ə) 3개의 이중모음(*-ay, *-uy, *-aw)이 있었다.[2]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i/ | u /u/ | |||||
중모음 | e /e/ | ([ə /ə/]) | |||||
저모음 | a /a/ |
형태론
[편집]참조어에서 재구되는 형태소들은 다음과 같다.[2]
- *tə-: "비의도" 접두사
- *mə-: 일반동사 접두사
- *pə-: 사동형 접두사
- *bɛʔ-: 부정 명령형 접두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 *-əm-: 명사화 접요사
- *-ən-: 도구 접요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대명사
[편집]참조어에는 다음과 같은 대명사가 있었다(Thurgood 1999:247-248).
단수
- *kəu – 나 (친어)
- *hulun – 저 (경어), 노예
- *dahlaʔ – 저 (경어)
- *hã – 너, 너희
- *ñu – 그, 그들
복수
- *kaməi – 우리 (청자 제외)
- *ta – 우리 (청자 포함)
- *drəi – 우리 (청자 포함, 재귀형)
- *gəp – 다른, 여럿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Aceh–Chamic〉.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Thurgood, Graham (1999). 《From ancient Cham to modern dialects : two thousand years of language contact and change : with an appendix of Chamic reconstructions and loanwords》. Honolulu: Univ. of Hawai'i Press. ISBN 0824821319.
- ↑ Sidwell 2009)
- ↑ Blench, Roger. 2006. Why are Aslian speakers Austronesian in culture Archived 2015년 4월 20일 - 웨이백 머신? Papers presented at ICAL-3, Siem Reap, Cambodia.
- ↑ Blench, Roger. 2009. "Are there four additional unrecognised branches of Austroasiatic?."
- ↑ Sidwell, Paul. 2006. "Dating the Separation of Acehnese and Chamic By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Aceh-Chamic Lexicon Archived 2014년 11월 8일 - 웨이백 머신." In The Mon-Khmer Studies Journal, 36: 187-206.
- ↑ ɲ의 대응형은 현대 참어군 언어들에서 드물다.
참조
[편집]- Sidwell, Paul (2009). Classifying the Austroasiatic languages: History and state of the art Archived 2019년 3월 24일 - 웨이백 머신. LINCOM Gmbh.
- Thurgood, Graham (1999). From Ancient Cham to Modern Dialects: Two Thousand Years of Language Contact and Change: With an Appendix of Chamic Reconstructions and Loanwords. Oceanic Linguistics Special Publications, No. 28, pp. i, iii-vii, ix-xiii, xv-xvii, 1-259, 261-275, 277-397, 399-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