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소사이안화 메틸
![]() | |
![]() | |
이름 | |
---|---|
우선명 (PIN)
Isocyanatomethane | |
별칭
Methyl carbylamine
MIC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9.879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2H3NO | |
몰 질량 | 57.051 g/mol |
겉보기 | Colorless liquid |
냄새 | Sharp, pungent odor[1] |
밀도 | 0.9230 g/cm3 at 27 °C |
녹는점 | −45 °C (−49 °F; 228 K) [2] |
끓는점 | 38.3 °C (100.9 °F; 311.4 K) [2] |
10% (15°C)[1] | |
증기 압력 | 57.7 kPa |
구조 | |
2.8 D | |
열화학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92.0 kJ·mol−1[2]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 ![]() ![]() |
H225, H300, H311, H315, H317, H318, H330, H334, H335, H361d | |
P201, P202, P210, P233, P240, P241, P242, P243, P260, P261, P264, P270, P271, P272, P280, P281, P284, P285, P301+310, P302+352, P303+361+353, P304+340, P304+341, P305+351+338, P308+313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7 °C (19 °F; 266 K) |
534 °C (993 °F; 807 K) | |
폭발 한계 | 5.3–26%[2]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120 mg/kg (oral, mouse) 51.5 mg/kg (oral, rat)[3] |
LC50 (median concentration)
|
6.1 ppm (rat, 6 hr) 12.2 ppm (mouse, 6 hr) 5.4 ppm (guinea pig, 6 hr) 21 ppm (rat, 2 hr)[3]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0.02 ppm (0.05 mg/m3) [skin][1] |
REL (권장)
|
TWA 0.02 ppm (0.05 mg/m3) [skin][1] |
IDLH (직접적 위험)
|
3 ppm[1]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Methyl isothiocyanat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이소시안산 메틸 또는 아이소사이안화 메틸(Methyl isocyanate, MIC)은 유기 화합물이다. 분자식은 CH3NCO.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중간물질이며, 고무와 접착제 생산에 이용된다. 보팔 가스 사고에서 누출된 주요 물질이며 30,000명 가까이의 사람들을 사망에 이르게한 주된 원인이다.
물리적 특성[편집]
무색이며 자극성이 있는 냄새를 가진 가연성 · 맹독성 액체이다. 물에 6~10%가 용해되며 용해될 때에 물과 함께 반응한다.
제조[편집]
아이소사이안화 메틸은 메틸아민과 포스젠의 반응으로 제조된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다 라 마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423”.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가 나 다 라 Lide, David R., 편집. (2006).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87판. Boca Raton, FL: CRC Press. ISBN 0-8493-0487-3.
- ↑ 가 나 “Methyl isocyanate”.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Archived copy”. 2015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