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세안 대학 네트워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세안 대학 네트워크 로고

아세안 대학 네트워크(영어: ASEAN University Network, AUN)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대학교 단체이다. 1995년 11월 아세안 국가의 13개 대학을 회원으로 하여 출범하였다. 이후 아세안 회원국 수의 확대와 함께 현재는 30개 대학교가 속해 있다.

AUN의 자매 단체로서 아세안+3에 속한 대한민국, 중국, 일본의 대학교로 구성된 아세안+3 대학 네트워크(영어: ASEAN+3 University Network)는 2012년 11월에 출범하여 현재 21개 대학교가 속해 있다.[1]

구조[편집]

아세안 대학 네트워크(AUN)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10개국에 위치한 30개 대학교를 포함하는 단체이다. AUN은 이사회, 회원 대학교, AUN 사무국으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아세안 10개국의 대표 각 1명, 아세안 사무총장, 아세안 교육 위원회(ASCOE) 의장, AUN 전무이사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정책 구상, 계획안 승인, 예산 할당, 정책 실행 조율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회원 대학교들은 AUN의 프로그램과 정책을 실행하는 역할을 맡는다. 1995년 창설 당시에 AUN은 7개국의 13개 대학교로 이루어져 있었다.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가 아세안에 포함되면서 회원교의 수는 21개로 늘었다. 많은 대학교에서 가입 신청이 있었지만, 새로운 아세안 회원국에 속한 학교만을 받아들이기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아세안 지역의 다른 대학교들도 정기적으로 옵서버로 초대된다. AUN 사무국은 AUN 활동의 계획·조직·감시·평가 및 새로운 정책 개발과 기금 확보를 수행한다. AUN 사무국은 2000년부터 태국 방콕쭐랄롱꼰 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AUN 핵심 회원교[편집]

현재 아세안 대학 네트워크는 아세안 10개국에 위치한 30개의 핵심 회원 대학교로 이루어져 있다.[2]

각주[편집]

  1. “ASEAN+3 University Network”. ASEAN University Network. 2024년 6월 8일에 확인함. 
  2. “AUN Member Universities”. ASEAN University Network. 2023년 3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