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산학계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편산학계몽 권중
(新編算學啓蒙 卷中)
대한민국 대한민국보물
지정번호 보물 제1217호
(1995년 4월 3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9길 10-10
제작시기 조선
소유자 아단문고
비고 을해자본 권중
신편산학계몽
(新編算學啓蒙)
대한민국 대한민국보물
지정번호 보물 제1654호
(2010년 6월 28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제작시기 조선
소유자 청주고인쇄박물관
비고 경오자본 권상중하
신편산학계몽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지정번호 유형문화재 제289호
(2008년 4월 11일 지정)
(2010년 6월 28일 해지)

신편산학계몽》(新編算學啓蒙)은 원나라에서 수입한 산학서(算學書)이다. 《산학계몽》은 주세걸이 원 대덕(大德) 3년(1299년)에 편찬된 산학의 입문서이다.

조선시대 가장 중요한 수학교재로 남송 양휘(楊輝)의 《양휘산법》(楊輝算法), 원 주세걸(朱世傑)의 《산학계몽》(算學啓蒙), 명나라 안눌의 《상명산법》(詳明算法) 등이 대표적이다.

개요[편집]

이 책은 조선시대 산학의 핵심을 이루는 중요한 산서(算書)로, 양휘(楊輝)로부터 출발된 중국 산학의 새로운 흐름, 즉 사대부의 교양이나 관용의 테두리에서 벗어난 민간 수학의 대표적인 저술이었다. 그 내용에 있어서도 상업사회의 절실한 요구 속에서 이를 반영하는 향료·약초·귀금속 등의 거래에 관한 문제를 곳곳에서 다루고 있어서 전대의 산술서와는 대상 소재면에서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권수 부분에는 조성(趙城)의 서문에 이어 본문 내용에 대한 준비적인 지식을 <총괄>의 항목 아래 18개 항목으로 나누고 있다. 총괄 이후의 본문은 문제집의 형식으로 전체 20문(門) 259개의 문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세권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이 책의 국내전본 중 가장 빠른 것은 세종 32년(1450년)의 경오자본이며, 두 번째로 성종 연간(1469년 ~ 1494년)에 을해자본으로 인출한 것에 해당한다. 이어 중종 연간의 을해자본, 1660년경의 목판중간본, 1715년 또는 1775년의 교정을 거친 1810년경 목판본의 순서로 간행되었으며 다수의 필사본도 알려져 있다.

세종 때 경오자본은 상·중·하 3권 3책 모두 전하며 보물 제1654호로 지정되어 있고, 성종 때 을해자본은 상·중·하 3권 3책 중 중권만 전하며 보물 제1217호로 지정되어 있다.

을해자본은 을해자 보자가 섞여 있어 을해자의 초간이 아니며, 자료에 나타나는 서지적 특징은 판심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4엽∼6엽 화문흑어미(花紋黑魚尾)가 섞여 있다. 판심제는‘啓蒙 中(계몽 중)’이며, 세종 32년의 경오자본과 비교하여 한행의 글자수나 시작과 끝이 완전히 일치하여 경오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 상변에는 묵서(墨書)로 주해를 달아두었으며, 권말에는 망해도술(望海島術, 바다 가운데 있는 섬을 뭍에서 보고 그 거리를 헤아리는 계산법)을 간략하게 추가시키고 있다.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