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Tkchtozhety/마체스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체스어
사용 국가 페루, 브라질
언어 인구 2200명 (2006년 통계) [1]
언어 계통 파노타카나어족
 파노어족
  마체스어
언어 부호
ISO 639-3 mcf 사용자:Tkchtozhety/마체스어
글로톨로그 mats1244[2]

마체스어(Matsés)는 브라질-페루 국경 지대에서 사용되는 토착 언어이다. 마체스인들이 사용한다. 브라질에서는 마체스인과 마체스어를 마요루나인, 마요루나어(Mayoruna)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은 케추아어로 '강'을 나타내는 mayu와 '사람들'을 나타내는 runa가 합쳐진 말이다. 페루에서는 마체스라는 이름을 주로 사용한다. 본 문서에서는 주로 페루에서 사용되는 마체스어에 대해 기술한다.

음운론[편집]

개괄[편집]

마체스어에서는 21개의 분절음이 변별된다. 15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이 있다. 자음에는 전동음, 설측음이 없고 모음에는 원순모음이 없다. 음절 유형은 모두 (C)(V)V(V)(C)를 따르며 CV, CVC, CVV, CVVC가 가장 많다. 모음 연쇄는 많으나 음절 내에서 자음군은 발견되지 않는다. 음절 말에서 자음의 분포는 상당히 제한된다.[3]

강세 또한 변별적이다. 강세는 모음의 장단과 음높이를 바꾼다. 모음의 장단은 강세와 독립적으로 변별되지는 않는다.[3]

음성상징적 동사 어근은 마체스어에서 음운적, 문법적으로 특이한 행동을 보인다. 의성어로 된 동물 이름에 반복되는 음절이 포함되는 경우 또한 특이한 음운적 특징을 보인다.

규칙적 형태음운적 과정에는 마찰음의 조음위치 동화, 이중모음 및 활음 형성, 모음 삽입과 강세 이동/재할당, 모음조화, 분절음 탈락 등이 있으며, 어간 모음 전환(ablaut) 또한 산발적으로 일어난다. 중첩 또한 생산적이며, 중첩은 음운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인접 요소로 구성된 하나의 문법적 단어를 생성한다. 마체스어의 문법적 단어는 음운적 단어와 늘 같지는 않다.[4]

분절음[편집]

페루 마체스인들은 SIL의 음운적 정서법을 사용한다.[4] 아래 표에서는 음소를 나타내는 IPA 기호 오른쪽에 SIL 정서법에서 쓰이는 기호를 화살괄호 안에 제시한다.

마체스어의 자음
자음   순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폐쇄음   p b t d k ⟨c/qu⟩ (ʔ)
마찰음   s ʂ ⟨sh⟩ ʃ ⟨sh⟩
파찰음   ts ⟨ch⟩ ⟨ch⟩
비음   m n (ŋ)
접근음   w ⟨u⟩ j ⟨y⟩
탄음   (ɾ)
  • 유음 음소는 없다. 권설 탄음은 /d/의 변이음이다.
  • 파열음
    • 파열음에서는 연구개음만이 유성음 음소가 없다. 순음과 치경음에서는 유성음 음소가 나타나므로 마체스어의 파열음 체계는 불균형하다고 볼 수 있다. [g]는 /k/의 변이음으로도 나타나지 않는다.
    • /p/와 /t/는 음절 초에만 나타나며, 약간의 기식성이 들리기도 한다.[5]
    • /b/는 일부 환경에서 조음점의 폐쇄가 완전하지 않아 마찰 소음이 들리는 경우가 많다. 일부 SIL 선교사들은 모음 사이의 /b/를 모두 [β]로 적기도 했다. 그러나 도구를 사용한 분석에 따르면 모음 사이의 /b/는 접근음 [w]와 같이 실현되는 경우가 더 많다.[5]
    • /d/는 모음 사이에서 권설 탄음으로, 음절말에서 불파음으로 실현된다. 음절초에서는 영어나 스페인어의 [d]보다 더 뒤에서 발음된다. 이러한 특징은 마체스인들의 스페인어 발화에서도 드러난다.[6]
    • /k/는 음절말에서 성문 파열음으로 실현된다. 성문 파열음은 변별적이지만 일부 형태소에서는 어말 성문파열음 유무의 자유변이가 나타나기도 한다.[6]
    • 한 단어 내에서 연속해서 나타날 수 있는 파열음은 /k/뿐이다. /kk/는 성문 파열음과 [k]의 연쇄로 나타나며, 이때 성문 파열음과 [k]는 각각 다른 음절에 속한다 ([-ʔ.k-]). /kk/는 형태소 내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형태소 경계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일부 화자들은 (음절 경계, 형태소 경계의) /dd/와 같은 연쇄를 허용하지만 대부분의 화자는 유성성 이화(dissimilation)를 시킨다 (/-dd-/ → /-dt-/).
  • 접근음 /w/는 원순성이 없다. 그러나 SIL의 음운적 정서법에서는 ⟨u⟩로 적는다.
마체스어의 모음
전설 중설 후설
폐모음
(고모음)
i ɨ ⟨ë⟩ [ɯ]u
중모음 e~ɛ ⟨e⟩ [ɤ]o
개모음
(저모음)
a


형태론[편집]

통사론[편집]

각주[편집]

  1. [1], 에스놀로그 (18판, 2015년)
  2.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Matses〉.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3. Fleck (2003), 70쪽
  4. Fleck (2003), 71쪽
  5. Fleck (2003), 74쪽
  6. Fleck (2003), 75쪽
  7. Fleck (2003), 72쪽

참고문헌[편집]

  • Fleck, David William (2003). A grammar of Matses (Doctor of Philosophy thesis). Rice University. hdl:1911/18526.
  • Fleck, David W. (2013), Panoan languages and linguistics,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nthropological Papers, Number 99,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doi:10.5531/sp.anth.0099, hdl:2246/6448, ISSN 0065-9452

[[분류:페루의 언어]]

[[분류:교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