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Kirschtaria/동강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강가 또는 루디 강가, 프라챠 강가는 5세기 초부터 15세기 초까지 칼링가에 존속하던 중세 인도의 왕조이다.[1] 본래 왕조명은 강가(오리야어: ଗଙ୍ଗ)이며 동강가는 카르나타카주에 존재했던 동명 왕조와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오늘날 오디샤 주 전체와 서벵골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차티스가르 주 일부로 구성된 영토를 지배하였다.[2] 왕조의 초기 지도자들은 단타푸람에서 통치하였으며, 수도는 후에 칼링가나가라(오늘날의 무칼링감)로, 그 후 최종적으로 칼타카(오늘날의 쿠타크)로 옮겨졌다.[3] 푸리 자간나트 사원과 198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코나라크 태양신 사원은 이들이 지은 것이다.

동강가의 통치자들은 무슬림 통치자들의 끊임없는 공격으로부터 왕국을 방어하였으며, 15세기 초 바누데바 4세 왕의 치세를 마지막으로 멸망하였다.[4] 이 왕국은 무역과 상업을 통해 번영했으며, 재정은 주로 사원 건설비에 투입되었다. 동강가의 통화는 강가 파남스(Ganga fanams)라고 불렸으며, 남인도의 촐라동찰루키아의 화폐와 유사하였다.[5]


기원[편집]

동강가의 기원은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6] 그들은 남인도 왕조인 서강가의 분파였다고 엉뚱하게 축약되지만, 카르나타카의 강가 왕과 오디샤 왕 사이에 유사성이 있는 왕들의 건축적, 언어적, 명명법의 패턴에 대한 증거는 없다.[7] 또한 전승에서 서강가 왕조는 자신들을 수리야밤사의 후손으로 자처했지만, 동강가 왕조는 자신들을 찬드라밤사의 후손으로 자처하였다.[8] 후기 동강가는 비슈누에서 브라흐마, 아트리, 찬드라(달)를 거친 후손이라고 주장하였다.[9] 동강가 왕 인드라바르만 3세는 안다바람 동판 비문에서 강가가 툼부라 왕조의 후손으로 묘사된다고 언급하였다. 바유 푸라나에서는 빈디아 산맥의 산기슭에 툼부라라는 이름의 자나파다가 있었다고 언급한다. 오리야인 역사가 자가반두 싱은 파드마 푸라나와 브라흐마바티바르타 푸라나를 인용하여 툼부라가의 마시야 경쟁에 의해 지배되는 것을 확인했다. Khshetriyas maritally 중 하나를 관련이 있었다 Kaivartta의 지역 사회 또는 Khsetriyas 사이 결혼에서 태어난 바이샤 여성.

칼링간 프라차야 강가 일족의 5개 주요 지역은 Kalinganagara(Srikakulam), Svetaka Mandala(Ganjam), Giri Kalinga(Simhapur), Ambabadi Mandala(Gunupur, Rayagada) 및 Vartanni Mandala(Hinjilikatu), . Prachya Gangas의 중심부에는 Daksina Kalinga(Pithapura), Madhya Kalinga(Yellamanchili Kalinga 또는 Visakhapatnam) 및 Uttara Kalinga(Srikakulam, Ganjam, Gajapati 및 Rayagada 지역)라는 Kalinga의 세 부분이 있습니다. 가장 먼저 알려진 저명한 왕은 그의 Jiringi 동판 부여로 알려진 Indravarman이었습니다. Raja Prthivimalla의 Godavari 부여와 Vishnukundina 왕 Indrbhattaraka의 Ramatirtham 부여는 4마리의 엄니 코끼리 또는 Chaturdanta Samara의 전쟁을 의미합니다. 강력한 Vishnukundina 왕 Indrabhattaraka에 대항하여 작은 South Kalingan 왕국이 그를 패배시키고 죽였습니다. [10] Vishnukundins는 복수로 돌아와서 Vakataka 왕과 동맹의 구성원들을 물리쳤고 Indravarman은 자신을 Tri-Kalingadhipati(세 칼링가의 군주)로 선언하고 무명에서 일어나 그의 수도를 공격하는 Vishnukundins로부터 북쪽으로 옮겼습니다. 그의 아들 Hastivarman은 Odisha의 두 Gupta 봉건 왕조, South Toshali의 Vigrahas와 Mudgalas 사이에 끼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그의 아버지처럼 맹공격에 합류하여 Vigrahas에 대한 주요 전투를 지휘하고 고대 Kalinga 북부 지역의 영토를 획득하고 자신을 Sakala-Kalingadhipati(Kalinga 전체의 통치자)로 선언했습니다. 왕조는 고대 오디샤와 북부 안드라 프라데시에서 강력한 지배 가문으로 남아 있었지만 계속해서 바우마-카라 왕조의 중앙 권위 아래 속국 통치자로 남아 있었습니다. Jayavarmadeva라는 이름은 Ganjam 보조금에서 Sivakara Deva I 의 가신으로 자신을 언급했으며 그의 허가에 의해 보조금을 포기했습니다.

11세기 중반에 아난타바르만 바즈라하스타 5세(Anantavarman Vajrahasta V)의 통치 기간 동안 일족은 북부 국경에서 소마반시 왕조 의 권위에 도전하고 주요 라이벌인 칼추리스(Kalchuris) 와 동맹을 맺은 주요 군사 강국으로 부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련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왕국의 300명의 브라만 가문에 토지를 수여한 후, 바즈라하스타 5세는 트리칼링가디파티(세 칼링가의 군주)와 사칼라칼링가디파티(완전 칼링가의 군주)라는 칭호를 받아 소마반시의 중앙집권적 권위에 도전했습니다. 동부 Gangas를 위한 제국 시대에 기초를 놓는. 도전하면서 세기 이후 몇 년 동안, Devendravarman Rajaraja 나는 완전히 Somavanshi 왕 Mahasivagupta Janmenjaya II를 격파 Cholas를 Vengi 지역에서 권위를 확립과 함께, 전투에서. Cholas는 Rajaraja I에게 패배했고 Chola 공주 Rajasundari는 Cholas와 Gangas 간의 문제 해결을 위한 선의의 표시로 동부 Ganga 왕과 결혼했습니다. [11]

Rajasundari의 아버지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은 큰 논쟁의 문제이며 KA Nilakanta Sastri 와 같은 일부 학자는 왕을 Virarajendra Cola 로 확인합니다. [12] [13] Rajaraja I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그의 미성년 아들 Chodaganga Deva가 왕위에 올랐고, 현재 유리한 위치에 있는 Cholas에게 그의 조상 왕국의 많은 부분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Ananatavarman Chodaganga Deva 는 오랜 투쟁과 좌절의 젊은 삶을 살았을 뿐만 아니라 마침내 그 지역에서 Chola의 존재를 완전히 제거하고 마침내 Utkala, Kalinga, Gauda, Radha 및 Vengi 를 하나의 왕국으로 확보했습니다. 그의 비문 중 많은 부분이 이전 Vengi 왕국의 한계 내에서 발견되지만 Bengal에서 Vengi까지 그의 제국의 이 넓은 범위는 Korni 부여 비문에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14] [15] 에서 스리랑카 Kurmam의 Chodaganga의 사원 부여, 분명 그가 Gautami 강가 강에 Bhagirathi 강가에서 자신의 영토를 확장했다고 주장하는 강 사이 말 그대로 지역 강가고다 바리 . [16] 그가 좌절에 직면한 유일한 전선은 서부 라이벌인 Kalachuris를 상대로 한 곳에서 그가 실패했습니다. 그의 후손인 Anangabhima Deva III는 점차적으로 Kalachuris를 완전히 격파하는 임무를 완수했습니다. 그의 Korni 동판 부여에서 그는 자신이 99,000마리의 전쟁 코끼리의 군주라고 언급하며, 고대 Gulma 군 사단 시스템에 따라 군사력을 계산하면서 그의 명령에 고용된 백만 명의 병사와 50만 마리의 동물에 힘을 쏟습니다. 촐라와의 모성 관계로 인해 초다강가의 촐라 삼촌인 비라초다라는 이름은 어린 시절부터 침략하는 촐라에 대한 보호 수호자로서 그의 편에 섰습니다. Chodaganga는 이 삼촌의 딸과 결혼했고 또한 그의 평생 전쟁과 행정 업무 동안 그를 섬기는 타밀 장교들을 두었다. [17] Chodaganga Deva는 Ganga 강에서 Godavari까지 뻗어 있는 고대 칼링가의 대부분을 재결합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도 동부 해안에서 동부 Gangas의 제국 패권의 기초를 이끌었습니다. Chodaganga Deva는 강력한 왕이었고 Rajaraja Devendravarman의 아들이자 Kalinganagara의 Imperial Gangas의 Vajrahasta Anantavarman의 손자였습니다. [18] [19] [20] 그의 어머니는 촐라 왕조 의 공주 라자순다리였다. [21]

역사[편집]

마가메가바하나가 멸망한 후, 칼링가는 봉건 수장이 지배하는 여러 왕국으로 분할되었다. 이 수장들 각각은 칼링가의 군주라는 뜻의 칼링가디파티(Kalingadhipathi)라는 칭호를 지녔다. 동강가 왕조는 인드라바르만 1세가 비슈누쿤디나의 왕 인드라바트라카를 물리치고 칼링가나가라(또는 무칼링감)를 수도로, 단타푸람을 보조 수도로 정한 후 이 지역을 통치하면서 시작되었다. 강가 왕은 다양한 칭호를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세 칼링가 지역(남쪽의 칼링가, 북쪽의 웃칼라, 서쪽의 다크쉬나 코살라)를 지배하는 군주라는 뜻의 트리칼링가디파티(Trikalingadhipathi) 또는 사칼라 칼링가디파티(Sakala Kalingadhipathi)를 들 수 있다.

오디샤주와 인접한 안드라프라데시주 시리카쿨람 인근에 있는 무칼링감은 초기 동강가의 수도인 칼링가나가라로 확인되었다.[22]

초기 동강가 세력이 쇠퇴한 후 동찰루키아가 이 지역을 장악하였다. 바즈라하스타 아니야카비마 1세(980년 ~ 1015년)는 내부 분쟁을 이용해 강가 왕조의 권력을 부활시켰다. 이들의 치세 동안 시바파 힌두교의 교세가 불교와 자이나교보다 우위를 점하게 되었으며, 무칼링감의 시리무칼링감 사원이 이 시기에 지어졌다.

11세기에 촐라는 데벤드라바르만 라자라자 1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함께 강가 왕국을 그들의 지배하로 두게 되었다.[22] 그의 아들 초다강가 데바는 그의 외삼촌 중 한 사람의 보호 아래 5세에 왕위에 올랐다. 촐라 일족은 칼링가, 벵기, 웃칼라, 오드라 및 벵골 일부를 하나의 왕국으로 확보하기 전에 여러 장애물을 극복해야 했다.

통혼[편집]

동강가는 촐라, 찰루키아 등과 통혼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왕조의 초기 체제는 5세기 초부터 시작되었을 수도 있다.

아난타바르만 초다강가[편집]

마하라자 아난타바르만 초다강가 데바가 건설한 푸리의 자간나타 사원

11세기 말에 이 왕조는 창시자인 아난타바르만 초다강가의 이름을 따서 초다강가 왕조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남부 오디샤 지역과 북부 안드라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칼링가 왕국의 통치자인 라자라자 데바의 아들이었고, 그의 어머니는 촐라 황제 비라라젠드라 촐라의 딸인 촐라 공주 라자순다리였다.

그는 북부의 갠지스 강에서 남쪽의 고다바리 강까지 지배하며 동강가 왕조의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푸리(Puri)에 거대한 자간나트 사원이 세워졌다.[22] 그는 서기 1076년에 트리칼링가디파티 칭호를 받으며 처음으로 칼링가의 세 구역을 모두 통치하게 되었다.[23]

아난타바르만은 종교인이자 예술과 문학의 후원자였다. 그는 오디샤에 유명한 푸리의 자간나트 사원 을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아난타바르만 초다강가데바 왕의 뒤를 이어 나라싱하 데바 1세(1238~1264)와 같은 저명한 통치자들이 이어졌다.

쇠퇴[편집]

1198년에 왕위에 오른 라자라자 3세는 1206년에 오디샤를 침략한 벵골의 이슬람교도들을 몰아내기 위한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라자라자의 아들 아낭가비마 3세는 무슬림을 격퇴하고 부바네슈바라에 메게슈바라 사원을 지었다. 아낭가비마의 아들 나라심하데바 1세는 1243년 남부 벵골을 침략하여 이슬람 통치자의 수도인 가우다를 점령하여 이들을 몰아낸 후 그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코나크에 태양 사원을 지었다. 나라심하데바 1세는 카필라시 사원의 1246년 비문에서 가자파티라는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이기도 하다. 1264년 나라심하가 죽자 동강가는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델리의 술탄 피루즈 샤 투글루크가 1353년에서 1358년 사이에 오디샤를 침략하자 강가 왕은 조공을 바쳤다.[24] 무수누리 나야카는 1356년에 오디샤 세력을 물리쳤다. 동강가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려진 나라심하 4세는 1425년까지 통치하였으며, 그를 계승한 바누데바 4세는 비문을 남기지 않았다. 그의 장관 카필렌드라는 1434년에 왕위를 찬탈하고 가자파티 제국을 건국하며 동강가는 멸망하였다.

  • 바카타카 통치하의 가신이었던 동강가 왕 미타바르만 (? -?)
  • 인드라바르만 1세 (496–535)[22]
  • 사만타바르만 (537-562)
  • 하스티바르만 (562-578)
  • 인드라바르만 2세 (578-589)
  • 다나르나바 (589-652)
  • 인드라바르만 3세 (589-652)
  • 구나르나바 (652-682)
  • 데벤드라바르만 1세 (652-682?)
  • 아난타바르만 3세 (808-812?)
  • 라젠드라바르만 2세 (812-840?)
  • 데벤드라바르만 4세 (893-?)
  • 데벤드라바르만 5세 (885-895?)
  • 구나마하르나바 1세 (895-939?)
  • 바즈라하스타 2세 또는 아낭가비마데바 1세 (895-939?)
  • 건다마 (939-942)
  • 카마르나바 1세 (942-977)
  • 비나야디티야 (977-980)
  • 바즈라하스타 아니야카비마 (980-1015)[25]
  • 바즈라하스타 아난타바르만 또는 바즈라하스타 5세 (1038-?)
  • 라자라자 데벤드라바르만 또는 라자라자 데바 1세 (?-1078)
  • 아난타바르만 초다강가 (1078–1150)
  • 자테스와라 데바 또는 에카자타 데바 (1147-1156)
  • 라가바 데바 (1156-1170)
  • 라자라자 데바 2세 (1170-1178)
  • 아낭가 비마 데바 2세 (1178–1198)
  • 라자라자 데바 3세 (1198–1211)
  • 아낭가 비마 데바 3세 (1211-1238)
  • 나라심하 데바 1세 (1238–1264)
  • 바누 데바 1세 (1264–1279)
  • 나라심하 데바 2세 (1279–1306)
  • 바누 데바 2세 (1306–1328)
  • 나라심하 데바 3세 (1328–1352)
  • 바누 데바 3세 (1352–1378)
  • 나라심하 데바 4세 (1379–1424)
  • 바누 데바 4세 (1424–1434)

기년법[편집]

동강가 왕들은 통치 날짜를 정하기 위해 앙카력이라는 독특한 기년법을 제정하였다. 여기에는 통치 기간 동안 경과된 연도의 실제 기간과 다른 통치 연도를 계산하는 고유한 기능이 많이 존재한다. 이 체계는 오늘날에도 오리야력에서 여전히 유효하게 사용되며 재위 기간은 현재 푸리의 가자파티 가문의 가자파티 마하라자의 작위 재위로 표시된다.

주화[편집]

동가 주화는 금 파남으로 구성되었다. 앞면은 일반적으로 다른 기호와 함께 침상 황소를 묘사한다. 뒷면에는 코끼리 막대 또는 전투 도끼가 달린 막대 옆에 문자 sa(연도를 의미하는 samvat)를 나타내는 기호가 있으며 아래 숫자는 통치하는 군주의 재위 기간(앙카력)을 나타낸다. 일부 주화에는 뒷면에 sa 문자 위로 라마의 전설이 새겨져 있다.

동강가 동전 날짜의 흥미로운 측면은 이 동전이 날짜를 세기 위해 십진수를 사용하는 최초의 힌두교 동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서사트라프, 굽타 등의 동전과 같은 이전 날짜의 동전은 20, 30, 40과 같이 10의 두 자리 배수를 나타내는 별도의 기호로 각각의 단일 자릿수를 나타내는 별도의 기호와 함께 이전 브라만 번호 체계를 사용하였으며, 100, 200 등과 같은 세 자리 숫자를 나타내는 별도의 기호가 추가로 포함되었고 따라서 123과 같은 숫자는 100-20-3으로 작성되었다. 그러나 동강가 주화는 한자리수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하였고, 숫자의 위치는 10, 100 등의 값을 나타내므로 0자리 표시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유산[편집]

동강가 제국은 이슬람 침략자들의 침략 시도를 성공적으로 물리침으로써 인도의 토착 문명이 힌두교도에 대한 대규모 학살, 사원 모독 및 파괴 및 힌두교 대중의 강제 개종 도시 약탈로 인해 위기에 처했던 시기에 힌두교 종교, 예술, 문화의 온실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 강가 제국은 또한 인도의 다른 지역에서 도피해 온 문화와 예술을 숨겼다.[27]

동강가는 종교와 예술의 위대한 후원자였으며 강가 시대의 사원은 칼링가와 힌두 건축의 걸작 중 하나이다.[28]

외부 링크[편집]

[[분류:오디샤주의 역사]] [[분류:인도의 왕조]] [[분류:안드라프라데시주의 역사]] [[분류:번역이 검토되지 않은 문서]]

  1. For a map of their territory, see: Schwartzberg, Joseph E. (1978).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7, map XIV.3 (d)쪽. ISBN 0226742210. 
  2. “Ganga dynasty”, 《Britannica.com》, 2021년 4월 4일에 확인함 
  3. B. Hemalatha (1991). 《Life in medieval northern Andhra》. Navrang. ISBN 9788170130864. 
  4. [1] 보관됨 10 4월 2009 - 웨이백 머신
  5. Patnaik, Nihar Ranjan (1997년 1월 1일). 《Economic History of Orissa》. Indus Publishing. 93쪽. ISBN 978-81-7387-075-0. 2015년 2월 16일에 확인함. 
  6. B. Masthanaiah. 《The Temples of Mukhalingam: A Study on South Indian Temple Architecture》. Cosmo Publications, 1977 - Mukhalingām (India) - 136 pages. 5쪽. 
  7. Singh, Dineshwar (1973). 《THE HISTORY OF THE EASTERN GANGA DYNASTY, CIRCA 1038 - 1238 A .D》 (PDF). London: University of London. 55, 56, 57, 58쪽. 
  8. N. Venkata Ramanayya.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eastern Chalukyas of Vengi》. [A.P.] Maulana Abul Kalam Azad Oriental Research Institute - Andhra Pradesh (India) - 96 pages. 83쪽. 
  9. Jörn Rüsen (January 2008). 《Time and History: The Variety of Cultures》. Berghahn Books, 01-Jan-2008 - History - 262 pages. 72쪽. ISBN 9780857450418. 
  10. “Chapter VI, Setback and Recovery” (PDF). 《www.shodhganga.inflibnet.ac.in》. 238,–248쪽. 2020년 2월 25일에 확인함. 
  11. Banarjee, R.D (1930). 《History Of Orissa Vol. 1》. Calcutta: Prabasi Press. 247, 248쪽. 
  12. Tripat Sharma. 《Women in Ancient India, from 320 A.D. to C. 1200 A.D.》. Ess Ess Publications, 1987. 142쪽. 
  13. Kallidaikurichi Aiyah Nilakanta Sastri. 《History of India, Volume 1》. S. Viswanathan, 1953. 247쪽. 
  14. Das, Manmatha Nath (1949). 《Glimpses Of Kalinga History》. Calcutta: Century Publishers.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쪽. 
  15. Rajaguru, Satyanarayan (1961). 《Inscriptions of Orissa, Volume III, Part II》. Bhubaneswar: Orissa Sahitya Akademi. 391, 392, 393쪽. 
  16. Rajaguru, Satyanarayan (1960). 《Inscriptions of Orissa, Volume III, Part I》. Bhubaneswar: Orissa Sahitya Akademi. 174, 175쪽. 
  17. Das, Dr. Manas Kumar (2017년 8월 12일). “History of Odisha (From Earliest Times to 1434 A.D.)”. 《DDCE/History (M.A)/SLM/Paper》: 100, 101. 
  18. 《Itihas, Volumes 19-22》. 14쪽. 
  19. Andhra Historical Research Society, Rajahmundry, Madras. 《Journal of the Andhra Historical Society, Volumes 6-7》. Andhra Historical Research Society., 1931. 200쪽. 
  20. Indian Research Institute. 《Indian Culture: Journal of the Indian Research Institute, Volume 12》. I.B. Corporation, 1984. 159쪽. 
  21. Indian Research Institute. 《Indian Culture: Journal of the Indian Research Institute, Volume 12》. I.B. Corporation, 1984. 160쪽. 
  22. Sen, Sailendra (2013).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36–37쪽. ISBN 978-93-80607-34-4.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sen"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3. Eastern Ganga Dynasty in India.
  24. Sen, Sailendra (2013).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97–100쪽. ISBN 978-9-38060-734-4. 
  25. Sailendra Nath Sen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1999 - India - 668 pages. 437쪽. ISBN 9788122411980. 
  26. Michael Mitchiner (1979). 《Oriental Coins & Their Values : Non-Islamic States and Western Colonies A.D. 600-1979》. Hawkins Publications. ISBN 978-0-904173-18-5. 
  27. 《Glimpses Of Kalinga History by Das, Manmatha Nath》. Calcutta: Century Publishers. 1949. 187쪽. 
  28. Ganga dynasty (Indian dynasties) - Encyclopædia Britann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