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이종원이/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궁내막암
다른 이름자궁암
자궁내막암의 위치와 발달.

자궁내막암(子宮內膜癌, endometrial cancer)은 자궁내막에서 발생하는 이다.[1]

증상[편집]

폐경기 이후의 여성 중 질 출혈이 전체 자궁내막암 사례 중 90%에 해당한다.[2][3] 출혈 이외의 증상은 흔하지 않습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폐경기 여성에서 얇은 흰색 또는 깨끗한 질 분비물이 있다.

위험 요인[편집]

자궁내막암의 위험 요인에는 비만, 당뇨병, 유방암, 타목시펜의 복용, 임신의 무경험, 늦게 찾아온 폐경기, 높은 에스트로겐 수치, 노화가 있다.[4][5] 유전적으로 자궁 내막 암의 가족력이있는 여성은 더 위험하다.[6]

병리생리학[편집]

제I형, 제II형 자궁내막암에서 보이는 돌연변이[7][8]
돌연변이 대상 유전자 돌연변이 유형 제I형 유병률 제II형 유병률
ARID1A 점 돌연변이 40% 알 수 없음
CTNNB1 점 돌연변이 14–44% 알 수 없음
FGFR2 점 돌연변이 16% 알 수 없음
KRAS 점 돌연변이 10–20% 알 수 없음
PIK3R1 점 돌연변이 43% 알 수 없음
TP53 점 돌연변이 10–20% 90%
PTEN 점 돌연변이 37–61% 알 수 없음
MLH1 후성적 유전자 침묵 30% 알 수 없음
RASSF1A 후성적 유전자 침묵 48% 알 수 없음
SPRY2 후성적 유전자 침묵 20% 알 수 없음
PPP2R1A 점 돌연변이 알 수 없음 17–41%
CDH1 이형접합성 소실 알 수 없음 80–90%
CDKN2A 이형접합성 소실 및
후성적 유전자 침묵
20% 40%
PIK3CA (암유전자) 점 돌연변이 또는 중복 24–39% 20–30%
PIK3R1 (암유전자) 점 돌연변이 알 수 없음 12%
STK15 (암유전자) 중복 알 수 없음 60%
CCNE1 (암유전자) 중복 알 수 없음 55%
ERBB2 (암유전자) 중복 알 수 없음 30%
CCND1 (암유전자) 중복 알 수 없음 26%

진단[편집]

자궁내막암의 진단은 건강 진단 및 자궁 조직의 절제(D&C)를 통해 수행된다. 그 뒤 이 조직은 암의 진단을 위해 조직학적으로 검사된다. 암이 발견되면 의학 영상을 수행하여 암이 확산되고 있는지, 조직을 침범했는지를 확인한다.

병기[편집]

자궁내막암은 외과적으로 FIGO 암병기결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병기된다. 2009 FIGO 병기 시스템은 다음을 따른다:[9]

병기 설명
IA 종양이 자궁 내에서 제한적이고, 자궁내막 침범이 절반 이하이다
IB 종양이 자궁 내에서 제한적이고, 자궁내막 침범이 절반을 초과한다
II 종양이 자궁과 자궁경부 스트로마를 동반한다
IIIA 종양이 장막이나 자궁부속기를 침범한다
IIIB 질 및 자궁주위조직의 수반
IIIC1 골반 림프절의 수반
IIIC2 대동맥주위 림프절의 수반. 골반 결절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IVA 종양이 방광 점막 및 창자 점막을 침범한다
IVB 복부 전이 및 서혜림프절을 포함한 먼 거리의 전이

관리[편집]

수술[편집]

A keyhole hysterectomy, one possible surgery to treat endometrial cancer

자궁 내막 암의 주요 치료법은 수술이다. 자궁 내막 암 환자의 90 %는 수술을 받는다.[10] 외과 적 치료는 전형적으로 양측의 자궁 절제술 (난소 난소 절제술)과 난소 및 나팔관을 포함하는 자궁 적출술로 이루어진다. 조직학 등급 II 이상의 종양의 경우 림프절 절제술, 또는 골반 및 대동맥 박리 림프절의 제거가 수행된다.[5] 림프절 절제술은 미국에서 자궁 내막 암의 모든 단계에 대해 일상적으로 수행되지만 영국에서는 림프절이 일반적으로 II 기 이상으로 만 제거된다.[4] 림프절 절제술의 주제와 1 단계 질병에서 생존율 이점에 대한 논의가 아직 진행 중이다.[11] 3 기 및 4 기 암에서 cytoreductive surgery(세포감퇴수술)가 일반적이며,[5] 망막의 생검도 포함될 수 있다.[12] 원격 전이가있는 병기 IV에서 수술은 완화 치료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다.[11] 개복술, 개방 복부 절차는 전통적인 외과 수술이다. 그러나 [복강경 검사법] (열쇠 구멍 수술)은 수술 중 이환율이 낮다. 두 가지 절차는 전반적인 생존율에 차이가 없다.[12] [[질식 자궁 절제 | 질을 통한 자궁 절제]에 비해 [복부 자궁 적출술 | 복부를 통한 자궁 절제술]이 권장된다. 왜냐하면 자궁 절제술의 [복막 세척 | 세차]를 검사하고 얻을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복강 내로 암의 추가 증거를 발견 할 수 있다. 암 병기는 수술 중 수행된다.[13]

몇몇 수술을 하면 안되는 이유에는 수술 불가능한 종양, 과도한 비만, 그리고 임신을 원하는 경우가 있다.[13] 이러한 금기 사항은 약 5 ~ 10 %의 경우에서 발생한다.[11] 임신을 원하고 저등급 1 기 암을 가진 여성은 타목시펜 치료와 병행하여 또는 동시에 프로제스틴으로 치료할 수 있다. 이 치료는 암이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가임 될 때까지 계속 될 수 있다.[14] [자궁 천공]이 D & C 나 자궁 내막 생검에서 발생할 수 있다.[15] 자궁 내막 암을 제거하기위한 수술의 부작용으로는 성기능 장애, 일시적인 요실금, 그리고 [림프부종]과 함께 변비를 포함한 수술의 일반적인 부작용이 있다.[6]

화학요법[편집]

방사선요법[편집]

호르몬요법[편집]

Monitoring[편집]

예후[편집]

5년 상대 생존률 (미국 FIGO 병기):[16]
병기 5년 생존률
I-A 88%
I-B 75%
II 69%
III-A 58%
III-B 50%
III-C 47%
IV-A 17%
IV-B 15%

생존률[편집]

적절한 치료를 수행했을 때의 자궁내막염의 5년 생존률은 80%이다.[17] 70% 이상의 대부분의 여성은 FIGO 병기 I의 암에 해당하며 가장 좋은 예후를 보인다. 병기 III, 특히 병기 IV의 암은 더 악화된 예후를 보이지만 이들은 상대적으로 희귀한 편으로, 전체 사례 중 13% 정도에 불과하다.

재발률[편집]

초기 병기의 자궁매악암의 재발률은 일차적 치료를 하였는지, 보조 요법을 하였는지에 따라 3~17%에 이른다.[17] 대부분의 재발률(75~80%)은 골반 밖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은 치료한지 2~3년이 지나 재발하는데, 2년이 지난 뒤에는 64%, 3년이 지난 뒤에는 87%에 이른다.[18]

역학[편집]

2014년 기준으로, 해마다 전 세계 약 320,000명의 여성이 자궁내막암으로 진단을 받으며 76,000명이 사망하는데, 이는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암들 가운데 6번째에 해당한다.[7]

역사와 문화[편집]

자궁내막암은 암이 주기적임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증상에 대한 인지가 낮으며 나중에 진단을 받은 다음 생존 확률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19]

각주[편집]

  1. “General Information About Endometrial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4월 22일. 2014년 9월 3일에 확인함. 
  2. Kong, A; Johnson, N; Kitchener, HC; Lawrie, TA (2012년 4월 18일). “Adjuvant radiotherapy for stage I endometrial cance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CD003916. doi:10.1002/14651858.CD003916.pub4. PMID 22513918. 
  3. Reynolds, RK; Loar III, PV (2010). 〈Gynecology〉. Doherty, GM.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Surgery》 13판. McGraw-Hill. ISBN 978-0-07-163515-8. 
  4. Saso, S; Chatterjee, J; Georgiou, E; Ditri, AM; Smith, JR; Ghaem-Maghami, S (2011). “Endometrial cancer”. 《BMJ》 343: d3954–d3954. doi:10.1136/bmj.d3954. PMID 21734165. 
  5. Galaal, K; Al Moundhri, M; Bryant, A; Lopes, AD; Lawrie, TA (2014년 5월 15일). “Adjuvant chemotherapy for advanced endometrial cance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CD010681. doi:10.1002/14651858.CD010681.pub2. PMID 24832785. 
  6.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NCIBooklet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7.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4).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Chapter 5.12. ISBN 978-92-832-0429-9. 
  8. Suh, DH; Kim, JW; Kang, S; Kim, HJ; Lee, KH (2014). “Major clinical research advances in gynecologic cancer in 201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25 (3): 236–248. doi:10.3802/jgo.2014.25.3.236. PMC 4102743. PMID 25045437. 
  9. “Stage Information for Endometrial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4월 23일에 확인함. 
  10.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ochrane08122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olombo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2. Galaal, K; Bryant, A; Fisher, AD; Al-Khaduri, M; Kew, F; Lopes, AD (2012년 9월 12일). “Laparoscopy versus laparotomy for the management of early stage endometrial cance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CD006655. doi:10.1002/14651858.CD006655.pub2. PMID 22972096. 
  13. Hoffman, BL; Schorge, JO; Schaffer, JI; Halvorson, LM; Bradshaw, KD; Cunningham, FG, 편집. (2012). 〈Endometrial Cancer〉. 《Williams Gynecology》 2판. McGraw-Hill. 829쪽. ISBN 978-0-07-171672-7. 4 January 2014에 보존된 문서. 
  14. Hoffman, BL; Schorge, JO; Schaffer, JI; Halvorson, LM; Bradshaw, KD; Cunningham, FG, 편집. (2012). 〈Endometrial Cancer〉. 《Williams Gynecology》 2판. McGraw-Hill. 833쪽. ISBN 978-0-07-171672-7. 4 January 2014에 보존된 문서. 
  15. McGee, J; Covens, A (2013).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Lentz, GM; Lobo, RA; Gershenson, DM; Katz, VL. 《Comprehensive Gynecology》 6판. Mosby. ISBN 978-0-323-06986-1. 
  16. “Survival by stage of endometrial cancer”. American Cancer Society. 2014년 3월 2일. 2014년 6월 10일에 확인함. 
  17. Nicolaije, KA; Ezendam, NP; Vos, MC; Boll, D; Pijnenborg, JM; Kruitwagen, RF; Lybeert, ML; van de Poll-Franse, LV (2013). “Follow-up practice in endometrial cancer and the association with patient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 study from the population-based PROFILES registry”. 《Gynecologic Oncology》 129 (2): 324–331. doi:10.1016/j.ygyno.2013.02.018. PMID 23435365. 
  18. Kurra, V; Krajewski, KM; Jagannathan, J; Giardino, A; Berlin, S; Ramaiya, N (2013). “Typical and atypical metastatic sites of recurrent endometrial carcinoma”. 《Cancer Imaging》 13: 113–22. doi:10.1102/1470-7330.2013.0011. PMC 3613792. PMID 23545091. 
  19. Carlisle, Daloni (2014년 9월 21일). “Womb cancer: the most common diagnosis you've never heard of”. The Guardian. 2014년 9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