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스핑크스/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 = 9, b = 13, A =i + b/2 − 1 = 14.5

픽의 정리(영어: Pick's theorem)는 격자점 위의 단순 다각형에서 그 내부, 외부의 격자 수와 그 다각형의 넓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이 정리는 오스트리아의 게오르그 픽(Georg Alexander Pick)에 의해 1899년에 만들어졌다. 모든 꼭짓점이 격자점 위에 존재하는 단순 다각형의 넓이를 A, 격자 다각형의 내부에 있는 점의 수를 i, 변 위에 있는 점의 수를 b라고 하면, 이들 사이에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내용이 "픽의 정리"이다. [1]

오른쪽 그림에서는 i의 값은 9이고 b의 값은 13이다. 픽의 정리를 사용하면 이 다각형의 넓이는 14.5임을 알 수 있다.

증명[편집]

기본 삼각형들로 분할된 다각형

이 증명을 위해서는 두 개의 보조정리가 필요하다.

  •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중에서 i=0, b=3인 경우 그 넓이는 항상 이다. 이것을 기본 삼각형이라고 부른다.
  •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모든 다각형을 기본 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다각형 개의 기본 삼각형으로 나눈다. 여기에서 모든 기본 삼각형들의 내각의 합 를 나타내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둘째로는 각 점에서 생기는 각의 크기를 모두 더하는 방법이 있다. 내부의 점 에서 만나는 기본 삼각형들의 각의 크기의 합은 이고, 꼭짓점이 아닌 변 위의 점 에서 만나는 기본 삼각형들의 각의 크기의 합은 이다. 모든 꼭짓점에서 만나는 기본 삼각형들의 각의 크기의 합을 더한 값은 의 모든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다. 외각과 내각의 합은 항상 이다.그런데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이므로 의 꼭짓점의 개수가 개라면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이다. 따라서 모든 기본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라고 나타낼 수 있다.

를 연립하면 이다.

두 번째 보조정리에서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모든 다각형은 기본 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이 유도된다. 여기에서 이므로 이것을 위 식에 대입하면

가 되어 픽의 정리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2]

오일러 지표와의 관계[편집]

픽의 정리는 오일러 지표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edge theorem"이라는 보조 정리가 필요하다.

i = 3, b = 4, e =3i + 2b − 3 = 14

"edge theorem"에 의하면 임의의 다각형에서 내부와 경계선 위의 점들을 연결하여 기본 삼각형들로 분할했을 때 생기는 변의 개수를 , 내부에 있는 점의 수를 , 변 위에 있는 점의 수를 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3이고 =0이면 삼각형이 만들어지면서 의 값은 언제나 3이고 위 등식을 만족한다. 이 삼각형 내부에 점을 한 개 추가하면(=1) 모서리의 수는 3만큼 늘어난다(=6). 이 경우 역시 위 등식을 만족한다. 변 위에 있는 점을 한 개 추가하는 상황에서 개의 변 위에 있는 점들이 내부에 있는 점으로 바뀐다고 하면, 값은 (+2)개 증가, 값은 (-1)개 감소한다. 이 내용을 위 등식에 대입하면 마찬가지로 등식을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값과 값에 변동이 있어도 위 등식은 항상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오일러 지표에 의하면 평면 그래프에서 꼭짓점의 개수이고, 가 모서리의 개수이고, 가 모서리들로 나누어진 면의 개수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이 등식을 이용하기 위해 꼭짓점이 격자점 위에 있는 격자다각형을 기본 삼각형들로 분할하고, 그 도형을 평면 그래프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삼각형 내부의 점과 변 위의 점을 합한 것이 의 값이므로 이고, 'edge theorem'에 의해 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위 등식에 대입하면

마지막으로 면의 수 는 주어진 다각형을 분할된 기본 삼각형의 수와 같을 것이지만 평면 그래프에서는 넓이가 무한한 면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면의 수는 기본 삼각형들의 수보다 하나 더 많다. 각 기본 삼각형의 넓이는 이므로 다각형의 넓이는 가 된다. 이 식을 앞에서 구한 식과 연립하면

픽의 정리가 유도된다.[3].

각주[편집]

  1. Grünbaum & Shephard, 1993 Pick's theorem
  2. Raman&Ohman, beautiful proofs of Pick's theorem
  3. W. W. Funkenbusch,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81, No. 6 (Jun. - Jul., 1974), pp. 647-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