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Kirschtaria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튀르크족 관련[편집]

영어 번역으로 다 뜯어 고칠테니 두고봐라라는 건가요? 아닌가요? 말투가 협박성이네요 협박하시는 겁니까? 그리고 한국에 대해서 설명하라고 하면 한국인이 한국에 대해 설명하는 학설도 중요시 해야지 해외 학자들이 설명하는 한국이 주류인가요? 예를 들어 누군가 "Kirschtaria씨에 대해서 설명하시오"라고 하면 Kirschtaria씨에 대해서 가장 잘 아는 사람은 Kirschtaria씨 본인일텐데 Kirschtaria씨 본인이 설명하는 자신은 싸잡아 무시하고 타인이 설명하는 Kirschtaria씨가 주류설이다라는 것과 뭐가 다른가요? 이희수 박사는 한국에 얼마 없는 터키에서 공부하신 분입니다. 튀르크족이 가장 많은 국가가 터키인데 튀르크족에 대한 터키 주류 학설이 주류가 아니라는 주장은 마치 한국인에 대해서 설명할 때 한국 주류 학설보다 해외 학설이 더 주류다라는 주장과 같아 보이네요. 아니면 이희수 박사가 주류도 아닌 것을 주장한다는 뜻인가요? 영어 위키백과도 편집하는 사람들 다 대부분이 우리같이 일반인이지 학자들 아닙니다. 영문 위키에 "위키백과는 학자가 편집하는 곳이 아닙니다" 라고 사용자 문서에 적어 놓은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영어판에서 체리픽하듯 우리같은 아마추어들에게 쓰여진 글들이 전부 다 주류라고 볼 수는 없죠. 터키 대학에서 사학 전공한 이희수 박사 주장은 깡그리 무시하는게 주류입니까? 그냥 이희수 학자 설은 그쪽이 주류라고 생각되지 않으니까 싸잡아 무시하고 영어 번역 글쓰면 그게 주류설인가요? 그리고 말투가 나중에 다 뜯어 고칠 것이니 두고봐라라는 식으로 보이는데 맞습니까? --220.90.17.195 (토론) 2023년 3월 13일 (월) 11:02 (KST)답변[답변]

그리고 영어판,튀르키예어판에는 해당 한국 책 출처가 안 적혀있다고 하는데 한국판 위키백과에도 영어번역 빼고는 대다수가 튀르키예 책, 영어책 출처가 안 적혀있습니다. 피차일반입니다. 한국어 위키니까 한국어 출처가 훨씬 많겠지요. 그리고 위키백과:확인 가능을 보면 "위키백과에 어떤 내용을 넣기 위해서는, 그 내용이 확인 가능해야 하며, 단순히 '진실'이라는 이유만으로는 내용을 넣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확인 가능'이라는 말은, 위키백과 문서를 보는 이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통해 그 문서의 내용이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라고 쓰여 있는데 영어로 된 출처도 한국어로 확인 가능하게 해야지 않겠습니까? 220.90.17.195 (토론) 2023년 3월 13일 (월) 11:08 (KST)답변[답변]
"확인 가능독자 연구 금지중립적 시각과 함께 위키백과 문서에 대한 핵심 정책입니다. 이 정책들은 위키백과에서 어떤 내용을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문서를 편집하는 분들은 이 세 가지 정책에 대해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핵심 정책이라는데 그냥 이희수 학자가 주장하는 것은 주류 아닌 거 같다, 확인은 직접 번역하라고 하고 그냥 영어 번역하면 되지 이렇게 완전히 싸잡아 뜯어 고치는 건가요? 220.90.17.195 (토론) 2023년 3월 13일 (월) 11:11 (KST)답변[답변]
그쪽이 영어 번역을 하던 출처도 다 확인 가능하게 영어 번역을 하던 그쪽이 수고하는 거라 난 상관없지만 적어도 "이치"에 맞게는 해야하지 않겠습니까? 220.90.17.195 (토론) 2023년 3월 13일 (월) 11:14 (KST)답변[답변]
당장 튀르키예어 위키백과에도 해당 책의 내용이 아닌 영어판과 동일한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님 말대로 하면 적어도 튀르키예 위키백과에서는 해당 내용이 적혀져 있어야 할텐데 적혀있지 않다는 것은 이상합니다. 또한 님의 토론란에 덧붙였듯이 만약 귀하가 이희수 교수님의 출처 이외에 다른 출처들도 제시하면 그 서술을 믿을 용의가 있습니다. 그 책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라 하더라도 그 출처 하나만으로는 해당 서술을 믿기에 부족하다는 말씀입니다. 일단 조만간 편집한다고 했지 바로 한다는 것은 아니므로 귀하가 그 책 말고도 다른 출처를 가져오시면 해당 내용은 건들지 않겠습니다. 해당 내용이 신뢰성이 있다면 그 내용을 뒷받침하는 다른 출처들도 분명 존재하겠죠.--Kirschtaria (토론) 2023년 3월 13일 (월) 11:16 (KST)답변[답변]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대해 덧붙이자면

편집자들은 다음과 같은 주장에 대한 출처를 점검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 놀랍거나 중요한 주장임에도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 최근에 있었던 놀랍거나 중요한 보도임에도 신뢰할 만한 매체에서 다루지 않았다.
  • 비인간적이거나, 당황스럽거나, 논쟁을 일으킬 여지가 있거나, 이전에 지지를 얻었던 내용과 반대되는 주장을 담은 보고서
  • 지지를 얻지 못하는 주장이나, 관련 학계의 주요 관점과 대치되는 주장. 지지자들이 그들을 침묵하게 하려는 음모가 있다고 주장할 때에는 특별히 주의. 예외적인 주장을 위키백과에 싣기 위해서는 그 주장을 하는 자 자신들 이외의 다른 신뢰할 수 있는 2,3차 출처에서도 그 주장을 언급했어야 합니다. 특히, 과학적이거나 의학적인 화제들, 역사적 사건, 정치적 논란이 있는 쟁점, 생존하는 인물에 대한 글은 더욱 그렇습니다."

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해당 내용은 튀르크족이 몽골로이드였다는 기존의 학설과 대치되며 역사적 논쟁성이 있는 주제이므로 예외적인 주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주장을 하는 자 자신들 이외의 다른 신뢰할 수 있는 2,3차 출처에서도 그 주장을 언급했어야 합니다. 즉 이희수 교수님 이외의 다른 분들이 저술한 출처를 언급하셔야 해당 내용을 서술하는게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Kirschtaria (토론) 2023년 3월 13일 (월) 11:22 (KST)답변[답변]

키체족을 키체 마야족으로 이동?[편집]

en:Kʼicheʼ people 어딜 봐도 마야 이름이 붙지를 않는데 어째서 이 제목으로 이동하시려는건가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3월 20일 (월) 16:58 (KST)답변[답변]

영어로는 마야인이라는 이름이 붙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해당 민족이 마야인의 하위 집단이기에 "족"으로는 볼 수 없기에 그나마 비슷한 뜻을 지닌 키체 마야인으로 이동하려는 겁니다. 영어판에서도 Kʼicheʼ Maya가 Kʼicheʼ People의 넘겨주기로 처리되어 있으니 아예 근거가 없다고 볼 수도 없고요.--Kirschtaria (토론) 2023년 3월 20일 (월) 17:01 (KST)답변[답변]
굉장히 어색한 표현으로 보입니다만 참고로 "키체족"이란 표제어는 타 백과사전에 [1] 표제어로 있기도 합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3월 20일 (월) 17:09 (KST)답변[답변]
일단 사전에서 키체족으로 많이 쓰인다고 하니 해당 요청은 취소하도록 하겠습니다.--Kirschtaria (토론) 2023년 3월 20일 (월) 17:44 (KST)답변[답변]

카마[편집]

이동방법.jpg

Information.svg 반갑습니다, Kirschtaria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편집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서 제목을 바꾸기 위해서 잘라내거나, 복사해서 붙여넣기 방식을 이용하신 듯 싶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문서의 편집 이력이 끊기게 되며, 다른 사람의 기존 기여 내역을 찾기 어려워집니다.

계정을 만들고 4일이 지나고 10회 이상의 편집을 했다면, 문서 이동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문서를 이동할 때는 문서 위의 이동 버튼(그림에서 '더 보기' 클릭 후 이동)을 이용하셔서 문서를 이동해 주세요. 만약 이동하려는 문서 제목이 이미 존재하거나, 권한이 없어 이동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이동 요청에 요청을 남겨주세요.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참고하시거나, 질문방을 통해 얼마든지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세요. --ted (토론) 2023년 3월 26일 (일) 22:54 (KST)답변[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