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Sámi | |||
| |||
![]() 1936년 핀란드의 사미인 가족 | |||
총인구 | |||
80,000 - 100,000 명 이상 | |||
인구분포 | |||
![]() |
37,890–60,000[1][2] | ||
---|---|---|---|
![]() |
14,600–36,000[2] | ||
![]() |
9,350[3] | ||
![]() |
1,991[4] | ||
![]() |
945[5] | ||
언어 | |||
사미어, 러시아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핀란드어 | |||
종교 | |||
루터교(주로 사도루터교), 동방정교, 사미 샤머니즘 | |||
민족계통 | |||
핀우그리아족 | |||
근연민족 | 발트핀족, 볼가핀족, 페름족, 우그리아족 등 |
사미인은 스칸디나비아 북부에서 핀란드 북부, 러시아 연방령 콜라 반도에 걸쳐서 거주하고 있는 민족이다. 라프(Lapp, 문화어: 랍)인이라고도 한다. 핀우고르어파에 속한 사미어계 언어들을 쓴다. 또는 라프족으로도 불린다.
생활[편집]
사미인은 거주지역의 차이 때문에 산악 사미(전역)·삼림 사미(노르웨이, 핀란드 북부, 러시아의 콜라 반도)·해안 사미(노르웨이 북부 해안) 등 3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 또 거의 대부분의 사미족들은 유목 생활을 하였다.
문화[편집]
순록 방목과 목축을 하는 이들이 사미 문화의 상징처럼 되어 있지만 이들은 전체의 10%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언어[편집]
우랄어족에 사미어를 쓴다. 현재 사미어는 사멸 위기에 처해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키릴 문자도 사용 된다. 또 사미어는 라프어로도 불린다.
언어의 특징[편집]
스웨덴과 러시아에서 쓰이는 서부 라프어와 핀란드, 러시아에서 쓰이는 동부 라프어가 있다. 계통은 우랄어족에 속하며, 핀란드어, 코미어, 우드무르트어 등과 같은 계통이다..
사미어(라프어)를 사용하는 나라[편집]
대표적인 나라로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가 있다.
종교[편집]
거의 대부분이 기독교 종파인 루터교나 동방 정교회를 믿는다. 하지만, 일부 집단은 고대부터 내려온 샤머니즘을 믿고 있다.
문헌[편집]
인구[편집]
약 3만명이다.
민족의 위기[편집]
과거에 제정 러시아에 살았던 크림 고트족과 똑같은 위기에 처해 있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Focus on Sami in Norway”. 《Statistics Norway》. 2012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Thomasson, Lars; Sköld, Peter. “Samer”. 《Nationalencyklopedin》 (스웨덴어). 2017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Eduskunta — Kirjallinen kysymys 20/2009”. 《Parliament of Finland》. 2014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ussian census of 2002”.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 ↑ “Table 1. First, Second, and Total Responses to the Ancestry Question by Detailed Ancestry Code: 2000” (XLS). 《U.S. Census Bureau》. 2007년 1월 22일. 2016년 2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