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
빗은 머리털을 빗는 도구이다. 빗은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가장 오래된 도구들 가운데 속하며[1], 페르시아에서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매우 세련된 형태의 빗이 발견된다.[2]
나라별 빗[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한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3년 5월) |
한국[편집]
한국의 전통 빗에는 얼레빗·참빗·면빗·상투빗 등이 있다. 머리를 땋거나 쪽을 찌던 조선시대에는 먼저 빗살이 성긴 얼레빗으로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하고, 촘촘한 참빗으로 정성들여 빗어내려 땋거나 쪽을 쪘다. 그런 다음 작은 면빗으로 정갈하게 다듬었다. 모양은 대부분 반달형과 직사각형이며, 재료로는 박달나무·대나무·대추나무·도장나무·소나무 등이 사용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Internet Archaeol. 30. Ashby. An Atlas of Medieval Combs from Northern Europe. Summary”. Intarch.ac.uk. 2011년 9월 23일. 2012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Vaux, William Sandys Wright (1850년 1월 1일). 《Nineveh and Persepolis: An Historical Sketch of Ancient Assyria and Persia, with an Account of the Recent Researches in Those Countries》 (영어). A. Hall, Virtue, & Company.
![]() |
이 글은 패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