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釜山電子工業高等學校 Busan Electronic Technical High School | |
![]() | |
교훈 | 성실, 근면, 협동 |
---|---|
개교 | 1938년 |
설립형태 | 공립 |
교장 | 김재현 |
교감 | 신상호 |
국가 | ![]() |
위치 | 부산광역시 동래구 금강로59번길 51 (온천동) |
학생 수 | 719명 (2019년 5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100명 (2019년 5월 1일 기준) |
상징 | 교목: 은행나무, 교화: 개나리 |
관할관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웹사이트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홈페이지 |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의 위치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釜山電子工業高等學校)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학교 연혁[편집]
- 1938년 3월 2일 : 동래공립농업실수학교 1년제 설립인가
- 1938년 6월 1일 : 부산시 수영 남수리 가교사에서 개교
- 1938년 10월 27일 : 동래공립농업실수학교 개교 및 입학식
- 1942년 4월 1일 : 동래공립원예전수학교로 3년제 승격
- 1943년 3월 2일 : 부산시 온천동 본 교사에 이전(구 제2농장)
- 1945년 4월 2일 : 부산공립원예전수학교로 교명 변경(3년제)
- 1945년 10월 1일 : 김흥수 교장 취임(초대)
- 1949년 9월 1일 : 부산공립원예중학교로 승격(6년제)
- 1950년 5월 1일 : 부산원예고등학교로 승격(원예과, 축산과)
- 1953년 5월 1일 : 부산원예고 병설중학교 설립인가
- 1969년 6월 2일 : 병설중학교 내성중학교로 교명 변경 분리
- 1970년 2월 2일 : 부산실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원예과, 응용화학과, 전자과, 자동차과 설치)
- 1974년 3월 1일 : 동래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기계과(5), 화공2부(2) 신설, 원예과 학생모집 중지)
- 1978년 3월 1일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전자특성화공고 지정, 정보기술과 2학급 신설)
- 1992년 3월 2일 : 부산직할시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계열 공동실습소 인가
- 2005년 9월 1일 : 금강관 개관
- 2008년 3월 3일 : 교육과학기술부지정 군특성화 연구학교 운영(2008.3~2010.2, 2년)
- 2008년 3월 3일 : 국방부지정 정보통신,궤도장비분야 군특성화고등학교 운영(2008.3~2013.2, 5년)
- 2009년 3월 2일 :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전자․통신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운영
- 2009년 3월 2일 : 학과개편(전자시스템과 6학급, 정보통신과 3학급, 기계자동차과 3학급)
- 2010년 3월 2일 : 부산광역시교육청지정 군특성화 연구학교 운영(2010.3-2012, 2년)
- 2011년 9월 1일 : 부산광역시교육청지정 영어수업모델선진화 연구학교 운영(2011.9~2014.8, 3년)
- 2019년 2월 12일 : 제76회 졸업식(졸업생 279명, 누적 39,852명)
- 2019년 3월 1일 : 제18대 김재현 교장 취임
- 2019년 3월 4일 : 2019학년도 신입생 입학(236명)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설치 학과[편집]
- 전자통신과
- 기계자동차과
- 전자시스템과
학교 동문[편집]
참고 자료[편집]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