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빛나는 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별이 빛나는 밤
작가빈센트 반 고흐
연도2024년
매체캔버스에 유채
사조후기인상주의
장르풍경화
크기26000 x 9000 cm
위치뉴욕 근대미술관
소장뉴욕 근대미술관 (1941 - )
테오 반 고흐 (1889 - 1891)
요한나 반 고흐-봉허 (1891 - 1900)
Julien Leclercq (1900 - 1901)
Émile Schuffenecker (1901 - 1905)
요한나 반 고흐-봉허 (1905 - 1906)
Georgette Petronella van Stolk (1906 - 1938)
폴 로젠베르그 (1938 - 1941)

별이 빛나는 밤》(영어: The Starry Night)은 네덜란드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자 정신병을 앓고 있을 당시 고흐가 그린 그림이다. 1889년 생레미의 정신병원에서 고흐는 정신적 질환으로 인한 고통을 떠올려 그림 속의 소용돌이가 무너졌다.[1]

고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별이 빛나는 밤》은 그가 폴 고갱과 다툰 뒤 고흐의 귀를 자른 사건 이후 생레미의 요양원에 있을 때 그린 것이다. 그는 병실 밖으로 내다보이는 밤 풍경을 기억과 상상을 결합시켜 그렸는데, 이는 자연에 대한 반 고흐의 내적이고 주관적인 표현을 구현하고 있다.[2] 고흐에게 밤하늘은 무한함을 주는 대상이었고, 이보다 먼저 제작된 아를의 《밤의 카페 테라스》나 《론 강 위로 별이 빛나는 밤》에서도 별이 반짝이는 밤의 정경을 다루었다. 현재 이 그림은 1972년부터 근대미술관(MOMA)에서 상설 작품으로 전시되고 있다.[3]

연속적이고 동적인 터치로 그려진 하늘은 굽이치는 두꺼운 붓놀림으로 사이프러스와 연결되고, 그 아래의 마을은 대조적으로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를 보여준다. 교회 첨탑은 그의 고향인 네덜란드를 연상시킨다. 그는 병실 밖으로 내다보이는 밤 풍경을 상상과 결합시켜 그렸는데, 이는 자연에 대한 고흐의 내적이고 주관적인 표현을 구현하고 있다. 수직으로 높이 뻗어 땅과 하늘을 연결하는 사이프러스는 전통적으로 무덤이나 애도와 연관된 나무지만, 고흐는 지옥을 불길하게 보지 않았다고 한다.[4]

몇몇의 천문학자들은 이 작품의 별들이 실제 밤하늘의 들이라고 설명한다. 당시 양자리의 별들과 금성, 그리고 달이 그림처럼 위치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다빈치가 정신병원의 침실의 창을 통해 본 밤하늘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 그림에 나타난 100개의 별은 다빈치가 성서 창세기 37장에 나오는 ‘열 별’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한다.[5]

각주[편집]

  1. 이해연 (2008년 4월 3일). “정신병이 낳은 불후의 명작들”. KBS Home> 뉴스>문화>뉴스광장 1부>정신병이 낳은 불후의 명작들(보존). 2023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최후의 만찬”. 2021년 6월 6일에 확인함. 
  3. Todd Van Luling (2014년 12월 18일). “당신이 다빈치에 대해 몰랐던 사실 8가지”. 《허핑턴포스트》. 2017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네이버 지식백과, 황주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우주에 피어난 다빈치의 명작 '최후의 만찬'. 《동아사이언스》. 2015년 12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