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토어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리토어군
지리적 분포보르네오섬 남부, 마다가스카르, 민다나오섬
계통적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바리토어군
하위 분류
글로톨로그grea1283  (확대 바리토어군)[1]

바리토어군보르네오섬, 민다나오섬, 마다가스카르의 약 스무 개 언어로 이루어진 어군이다. 바리토강의 이름을 땄다. 마다가스카르의 공용어인 말라가시어가 여기에 속한다.

바리토어군은 Hudson (1967)[2]이 처음 제안하였다. 그는 바리토어군이 동바리토어군, 서바리토어군, 마카함어군(바리토·마카함어군)으로 나뉜다고 주장했다. 일부 학자들은 바리토어군이 실제로는 분기군이 아니라 언어동조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Adelaar (2005)는 북보르네오어군이나 말레이숨바와어군처럼 전통적이지 않은 분기군을 옹호하면서도 바리토어군은 인정하지 않는다.

확대 바리토어군[편집]

로버트 블러스트(2006)는 사마바자우어군 역시 어휘적으로 바리토 지역에서 유래하였으나, 다만 기존의 하위 분류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3] 에스놀로그도 여기에 동의하며 바리토어군과 사마바자우어군을 묶어 확대 바리토어군이라 부른다.

Smith (2017, 2018)[4][5]는 확대 바리토 연결체가 다음과 같이 분류되며 바삽어가 확대 바리토어군의 자매 언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바삽·확대 바리토어군이라 부른다.

각주[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Greater Barito linkage〉.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Hudson, Alfred B. 1967. The Barito isolects of Borneo: A classification based on comparative reconstruction and lexicostatistics. Data Paper no. 68, Southeast Asia Program, Department of Asian Studie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3. Blust, Robert. 2006. 'The linguistic macrohistory of the Philippines'. In Liao & Rubino, eds, Current Issues in Philippine Linguistics and Anthropology. pp 31–68.
  4. Smith, Alexander. 2017. The Languages of Borneo: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Archived 2023년 7월 20일 - 웨이백 머신.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5. Smith, Alexander D. 2018. The Barito Linkage Hypothesis, with a Note on the Position of Basap. JSEALS Volume 11.1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