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전갈의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른스트 헤켈Kunstformen der Natur(1904년)에 실린 바다전갈.

바다전갈의 목록광익목에 속하고 있거나 한때 속해있던 들의 포괄적인 목록이다. 이 목록은 현재 그 존재가 확실히 증명되어 인정되는 속뿐만 아니라 이제는 존재가 부정되는 속들과 존재가 의심되는 속들 (nomen dubium), 그리고 공식적으로 논문등에 수록된 바가 없는 속들(nomen nudum), 그외 하위동물이명, 더 이상 광익목이라 간주되지 않는 속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 목록은 115개의 속을 수록하고 있으며 그중 74개가 존재가 증명된 속이다.

약 250개의 존재가 증명된 바다전갈 속이 존재한다

  • 절멸된 종은 칼표()로 나타낸다.
  • 절멸된 속은 볼드체로 나타낸다.

명명법과 용어[편집]

바다전갈(광익목)의 "공식" 목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에 가장 가까운 것은 정기적으로 갱신되는 세계 거미 카탈로그내의 화석 거미와 그 친척의 총람이다. 다음 표에 서술된 광익목의 목록은 총람의 2018년판에 기반한다. 총람에 기반하지 않은-예를 들어 총람 출판 이후 명명된-속들은 그 출처가 기록되어 있다.

모든 명명 규정과 용어들은 국제동물명명법심의회(ICZN)의 국제동물명명규약을 준수한다. 목록에 사용된 기술적 용어는 다음과 같다:

  • 하위동물이명(Junior Synonym): 같은 동물군을 통칭하는 두 개의 동물이명 중에서 나중에 창설된 것(먼저 창설된 것은 상위동물이명), 또는 동시에 창설된 경우에는 국제동물명명규약 제24조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가지지 못하는 것. 국제동물명명법심의회의 특별 결정이 아니라면 보통 상위동물이명이 채택된다. 이때 하위동물이명은 명칭의 자격이 박탈되어도 같은 명칭이 다른 동물군을 명명할때 다시 사용될 수 없다.
  • 무자격명칭(Nomen nudum) (라틴어로 "벌거벗은 이름"): 학술 논문에는 수록되었지만 아직 ICZN의 기준에 맞는 논문에 출판되지 않은 명칭. Nomina nuda (복수형)은 공식 명칭이 아니며 그래서 이 목록에는 정식 명칭을 서술할때 사용하는 이탈릭체로 서술되어 있지 않다. 추후 해당 명칭이 ICZN의 기준에 맞는 논문에 수록된다면 정식 명칭이 되어 이 목록에도 이탈릭체를 사용할 것이다. 많은 경우에는 정식적으로 ICZN의 기준에 맞는 논문에 수록되는 이름은 무자격명칭과 다르다.
  • Nomen manuscriptum (라틴어로 "원고 이름"): 어떤 타자의 검수가 없는 과학적 증명이 부재한 공식 문서에 수록된 명칭이 해당된다. 수록된 문서의 출판 방식을 제외하면 무자격명칭과 유사하다.
  • 망각명칭(Nomen oblitum) (라틴어로 "잊혀진 이름"): 과학계에서 첫 명칭의 제시후 50년간 사용되지 않은 명칭.
  • 선취 이름(Preoccupied name): 이미 정식으로 출판된 다른 동물군을 뜻하는 명칭. 두번 사용되었다면 두번째(그리고 그 이후 모든) 명칭의 사용이 부정되고 다른 명칭이 부여되어야 한다. 역시 정식 명칭이 아니기에 본 목록에는 이탈릭체로 서술되어 있지 않다
  • 모호명칭(Nomen dubium) (라틴어로 "의심스러운 이름"): 종이나 속을 식별할 수 있는 그 어떤 해부학적 특징도 존재하지 않는 화석에 주어진 명칭.

목록[편집]

상태 시기 위치 설명 이미지
Valid.
  1. 실루리아기.[1]
  2. 데본기.[1]
프테리고투스
큰전갈


메가라크네
믹소프테루스
Slimonia
Stylonurus
Valid.
  1. 데본기 후기[1]
  2. 페름기 전기.[1]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Valid.
  1. 웬록세.[1]
  2. 프리돌리세.[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1. 오르도비스기 후기.[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typo?
Valid.
  1. 미시시피세.[1]
Valid.
  1. 루드로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1. 웬록세.[1]
Valid.
Valid.
Valid.
  1. 웬록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1. 란도베리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미시시피세.[1]
Valid.
  1. 오르도비스기 후기.[1]
Valid.
Valid.
  1. 오르도비스기 후기.[1]
Valid.
  1. 란도베리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웬록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란도베리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Valid.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1. 데본기 후기.[1]
Valid.
  1. 란도베리세.[1]
  2. 프리돌리세.[1]
Valid.
  1. 시수랄리아세.[1]
Valid.
  1. 미시시피세.[1]
Valid.
Valid.
  1. 웬록세.[1]
Valid.
  1. 루드로세.[1]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1. 란도베리세.[1]
  2. 루드로세.[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1. 란도베리세.[1]
Valid.
  1. 웬록세.[1]
  2. 루드로세.[1]
Valid.
  1. 란도베리세.[1]
Valid.
Valid.
Valid.
Valid.
  1. 오르도비스기 후기.[1]
Valid.
Valid.
Valid.
  1. 웬록세.[1]
  2. 프리돌리세.[1]
Valid.
  1. 데본기 전기.[1]
  2. 데본기 중기.[1]
Valid.
Valid.
  1. 루드로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1. 웬록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란도베리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1. 루드로세.[1]
  2. 데본기 후기.[1]
Valid.
  1. 데본기 전기.[1]
  2. 데본기 후기.[1]
Valid.
  1. 루드로세.[1]
Valid.
  1. 오르도비스기 후기.[1]
  2. 웬록세.[1]
Valid.
  1. 프리돌리세.[1]
Valid.
  1. 란도베리세.[1]
  2. 프리돌리세.[1]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1. 란도베리세.[1]
Valid.
  1. 루드로세.[1]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1. 프리돌리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Valid.
  1. 웬록세.[1]
  2. 프리돌리세.[1]
Valid.
  1. 루드로세.[1]
Valid.
Valid.
Valid.
Valid.
  1. 프리돌리세.[1]
  2. 데본기 전기.[1]
Valid.
  1. 데본기 전기.[1]
Valid.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가가 가나 가다 가라 가마 가바 가사 가아 가자 가차 가카 가타 가파 가하 가거 가너 가더 가러 가머 가버 가서 가어 가저 가처 가커 가터 가퍼 가허 가고 가노 가도 가로 가모 가보 가소 가오 가조 가초 가코 가토 가포 가호 가구 가누 가두 가루 가무 가부 가수 가우 가주 가추 가쿠 가투 가푸 가후 가그 가느 가드 가르 Sepkoski, Jack (2002).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Bulletins of American Paleontology》 364: p.560. 2007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10일에 확인함. 
  2. Haraamo, Mikko (2006년 11월 14일). “Mikko's Phylogeny Archive entries on "†Eurypterida".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3. Kjellesvig-Waering, Erik N. (March 1963). “Revision of some Upper Devonian Stylonuridae (Eurypterida) from New York and Pennsylvania”. 《Journal of Paleontology》 37 (2): pp.490–495. 2007년 1월 20일에 확인함. 
  4. Haraamo, Mikko (2006년 11월 15일). “Mikko's Phylogeny Archive entries on "†Hughmillerioidea".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