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나방나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생물 분류![]() | ||||||||||||||||||||||||||||
---|---|---|---|---|---|---|---|---|---|---|---|---|---|---|---|---|---|---|---|---|---|---|---|---|---|---|---|---|
| ||||||||||||||||||||||||||||
다양성 | ||||||||||||||||||||||||||||
35종 | ||||||||||||||||||||||||||||
모식종 | ||||||||||||||||||||||||||||
Macrosoma tipulata Hübner, 1818 | ||||||||||||||||||||||||||||
종 | ||||||||||||||||||||||||||||
| ||||||||||||||||||||||||||||
이명 | ||||||||||||||||||||||||||||
Macrosoma Hübner, 1818
|
미국나방나비는 나비목 미국나방나비속(Macrosoma)에 속하는 나비의 총칭이다. 미국나방나비속은 미국나방나비상과(Hedyloidea), 미국나방나비과(Hedylidae)의 유일속이다. 팔랑나비상과와 호랑나비상과의 현존하는 자매군의 일종이다. 1986년, 스코블(Scoble)은 신열대구에서 발견되는 현존하는 35종 모두를 미국나방나비속에 포함시키고, 새로운 나비 분류군으로 추가했다.[1]
종 목록[편집]
아래 종은 겉으로 드러난 특징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
|
|
각주[편집]
- ↑ Scoble MJ (1986). “The structure and affinities of the Hedyloidea: a new concept of the butterflies”. 《Bull. Brit. Mus. (nat. Hist.) (Ent.)》 53: 251–286.
- Scoble, M.J. (1986). The structure and affinities of the Hedyloidea: a new concept of the butterflies. Bulletin of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Entomology Series, 53: 251-286.
외부 링크[편집]
- Caterpillars, pupae, butterflies & moths of the ACG
- Hearing
- Ears
- Kendall 1976 pdf[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Lepindex
- Moths of Belize
- Unknown white hedylid from Nicaragua
- Hedylidae of Guyana
- Moths of Jamaica
- Barcoding progress
- Leptree sequencing progress
- Larva of unidentified species 79-SRNP-362c[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Larva of unidentified species 03-SRNP-2168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Nicaraguan hostplants of Macrosoma semier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