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함마드 아민 칸
![]() | |
---|---|
지위 | |
히바 칸국의 칸 | |
재위 | 1845년 ~ 1855년 |
대관식 | 1845년 히바 칸국 히바 |
전임 | 라힘쿨로프 칸 |
후임 | 압둘라 칸 |
신상정보 | |
출생일 | 1817년 |
출생지 | 히바 칸국 히바 |
사망일 | 1855년 |
사망지 | 히바 칸국 히바 |
왕조 | 온기라트 왕조 |
부친 | 알라쿨리 칸 |
자녀 | 압둘라 칸 |
무함마드 아민 칸(러시아어: Мухаммад Амин-хан, 1817년 ~ 1855년)은 1845년부터 1855년까지의 우즈베크족의 일곱 번째 통치자이자[1] 49대 히바 칸국의 칸이다.
1845년에 라힘쿨로프 칸이 사망한 이후 그를 이어 동생인 무함마드 아민이 히바 칸국의 칸이 되었다.
국내 정책[편집]
1845년부터 1855년까지 무함마드 아민 칸의 통치 아래 유목민들을 달래기 위한 히바 중앙정부의 정책은 어느 정도 성공했다. 또한, 칸은 메르브과 코라산 주에 10번이나 원정하여 이 지역을 점령하기도 했다. 또한, 외교적으로는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러시아 제국과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외교 정책[편집]
1846년 12월에는 클라흐 니야즈무함메도프와 미스킨 수크룰로라는 두 사신이 히바에서 오렌부르크로 도착했다. 1847년 3월 9일, 이들은 샹트페테르부르크로 도착했다. 이 대사는 시르다리야 강 근처에서 러시아군이 라임스코고 요새를 건축한 것에 대해 항의했지만,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1세는 이를 무시했다. 1847년부터 1848년까지 러시아 제국군과 히바 육군이 소규모로 계속해서 접전을 벌였다. 이런 상황에서 무함마드 아민 칸은 이 문제를 평화적 해결법으로 전환하고자 했다. 1850년에는 히바 대사 효자 메라 알라베르디프가 샹트페테르부르크로 다시 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에 대한 이야기는 제대로 협의하지 못했다.[2]
문화 정책[편집]
무함마드 아민 칸은 히바에서 가장 큰 마드라사를 건축하고 이 마드라사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 전성기에는 100여명의 학생들이 있었다[3][4] 또한, 이 시기에는 히바에서 가장 유명한 칼타 미노르가 건설되었는데 칼타 미노르는 1852년 히바 칸국의 무함마드 아민 칸이 원래 100m의 높이로 중앙아시아 최대의 미나렛을 지을려고 하였으나[5] 칸이 사망하면서 건설이 중단되었고 높이는 28m에 그쳤다.[3] 하지만 이러한 무함마드 아민 칸의 재위기에 있얶던 건설사업에는 다른 나라에서 강제로 포로가 되었거나 연행된 기술자가 동원되었다.[6] 1852년에 아가키 역사학자는 이 때 화레즘에 대한 역사서를 작성했다.
죽음[편집]
무함마드 아민 칸은 1855년 패배에 가까운 정도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히바 칸국에 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이후 그의 아들인 압둘라 칸에게 칸의 지위가 넘겨졌지만, 그 또한 6개월후 유목민과의 전투 도중 사망했다. 이후 쿠트루크 무라드 칸이 칸 지위를 이어받았다. 그렇지만 그 또한 다른 칸들과 같이 유목민과의 전투 도중 사망했다.
각주[편집]
- ↑ Веселовский Н.И., Очерк историко-географических сведений о Хивинском ханстве. Спб, 1877,с.244
- ↑ Гуломов Х.Г., Дипло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государств Средней Азии с Россией в XVIII – первой половине XIX века. Ташкент, 2005, с.254-256
- ↑ 가 나 ユネスコ世界遺産センター, 편집. (1998년). 《ユネスコ世界遺産 4(東アジア・ロシア)》 (일본어). 講談社. 84-87쪽.
- ↑ 세키 하루아키(関治晃) (2000년). 《ウズベキスタン シルクロードのオアシス》 (일본어). 東方出版. 46쪽.
- ↑ 박하선 (2012년 6월). “우즈베키스탄 히바”. 2014년 8월 31일에 확인함.
히바 최고의 회교 건축물인 마흐무트 아민 칸 메드레세와 미완성의 미나렛으로 유명한 카르타 미나렛이다. 메드레세란 학당을 말하며, 미나렛은 사막 속의 등대나 전망대 역할을 하는 둥근 기둥의 첨탑을 가리킨다. 1852년 히바한국 시대에 건설자 마흐무트 아민 칸이 이 미나렛에서 400km나 떨어져 있는 부하라를 내려다보려는 꿈을 가지고 서역 최대의 미나렛을 지으려고 시도했으나 그 꿈은 건설 3년 만에 중단되고 말았다.
- ↑ 세키 하루아키, 2000년. 43쪽
참고 문헌[편집]
- (러시아어) Гуломов Х.Г., Дипло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государств Средней Азии с Россией в XVIII – первой половине XIX века. Ташкент, 2005
- (러시아어) Гулямов Я.Г., История орошения Хорезма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наших дней. Ташкент. 1957
- (러시아어) История Узбекистана. Т.3. Т.,1993.
- (러시아어) История Узбекистана в источниках. Составитель Б.В. Лунин. Ташкент, 1990
- (러시아어) История Хорезма. Под редакцией И.М.Муминова. Ташкент. 1976.
전임 라힘쿨로프 칸 |
제49대 히바 칸국의 칸 1845년 ~ 1855년 |
후임 압둘라 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