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즈 부르주아
- العربية
- Беларуская
-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
- Български
- Brezhoneg
- Català
- Čeština
- Cymraeg
- Dansk
- Deutsch
- Ελληνικά
- English
- Español
- Eesti
- Euskara
- فارسی
- Suomi
- Français
- Gaeilge
- Galego
- עברית
- हिन्दी
- Հայերեն
- Italiano
- 日本語
- ქართული
- Latina
- Lietuvių
- Bahasa Melayu
- Nederlands
- Norsk bokmål
- Polski
- Português
- Русский
- 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
- Simple English
- Српски / srpski
- Svenska
- Türkçe
- Українська
- اردو
- 中文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이즈 부르주아(프랑스어: Louise Bourgeois, 1911년 12월 25일 ~ 2010년 5월 31일)는 프랑스계 미국인 예술가, 조각가이다. 특히 '마망'(Maman)이라는 거미 구조물로 유명해졌다. 오늘날 그녀는 고백 예술(confessional art)의 창립자로 인정받고 있다. 1940년대 후반에 남편 로버트 골드워터(Robert Goldwater)와 함께 뉴욕으로 이사한 이후 그녀는 조각을 시작했다. 그녀의 작품들이 추상적이기는 하지만 인간의 형상과 배신, 걱정, 외로움 등의 주제를 암시하게 한다. 그녀의 작품은 전체적으로 자서전적인 성격을 가진다. 이는 그녀의 어린시절 영어 가정교사가 아버지의 애인(mistress)였다는 사실에 대한 트라우마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1949년 뉴욕 페리도 화랑에서 첫 번째 조각전을 열었다. 1982년에는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여성 작가 최초로 회고전을 열었고, 1999년에는 베니스 비엔날레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1]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970년대 |
| ||||||||||||||
---|---|---|---|---|---|---|---|---|---|---|---|---|---|---|---|
1980년대 |
| ||||||||||||||
1990년대 | |||||||||||||||
2000년대 |
| ||||||||||||||
2010년대 |
|
숨은 분류:
- 위키데이터 속성 P1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7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27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4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4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7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4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40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43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650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69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906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950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0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06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1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24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27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31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36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69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707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04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6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7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430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503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536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5587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680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29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70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85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902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803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818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998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1249를 사용하는 문서
-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 FAST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E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da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CANTI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J9U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K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ibri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NB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DL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K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LK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PLWA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Portuga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VcB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CINI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AGS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DAAO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KULTURNAV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뮤직브레인즈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MoM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ational Gallery of Canad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GV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DTBIO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Trove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NAC-I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UDO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