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누이어
사용 국가 | 칠레 |
---|---|
사용 지역 | 이스터 섬 |
언어 인구 | 2,700 명 (2007년)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동폴리네시아어군 라파누이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
표준 | 없음 |
언어 부호 | |
ISO 639-2 | rap
|
ISO 639-3 | rap 라파누이어
|
![]() |
라파누이어(Rapa nui) 또는 파스쿠아어는 이스터 섬의 원주민인 라파누이인들이 사용하는 동 폴리네시아어계의 언어이다.
옛 라파누이어
[편집]유럽인이 오기 이전의 옛 라파누이어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770년 이 섬을 방문한 에스파냐인이 남긴 라파누이어에 대한 기록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단어나 표현들은 다른 폴리네시아어와 동일한 계열이었으나, 몇 종류의 단어는 알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런 계통 불명의 단어중에는 아래에 나타낼 1부터 10까지의 수사를 포함한다. (괄호 안은 현대 라파누이어의 단어이다.)
- cojàna (katahi)
- corena (karua)
- cogojù (katoru)
- quirote (kaha)
- majanà (karima)
- teùto (kaono)
- tejèa (kahitu)
- moroqui (kavau)
- vijoviri (kaiva)
- queromata-paùpaca quacaxixiva (kaangaahuru)
일설에 따르면 이 단어들은 수사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잘못된 것이란 연구도 있다. 에스파냐인들이 서구의 숫자를 현지인들에게 제시했을 때, 현지인들은 본래 의도와는 다른 추상적인 의미를 연상해서 대답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위에 제시된 수사 8 moroqui는 실제로는 낚시의 미끼로 쓰는 작은 고기인 moroki로 추정되고 있다. 8이라는 숫자의 모양이 이 물고기와 형태상 비슷하기 때문이다.[1] 이 필기와의 초기접촉이 롱고롱고 문자의 발명의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
4년후에 영국인들이 타히티어의 통역을 대동하고 이스텀을 방문했는데, 이 통역은 몇 종류의 폴리네시아어를 이해하고 있었으나, 섬 주민과의 대화는 불가능했다. 이 영국인들도 수사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이번에는 폴리네시아어 계열의 단어들이었다. 노르웨이의 탐험가 토르 헤위에르달은 두 종류의 서로 다른 언어가 섬에서 천천히 융합된 것이라고 추정하였다.[3]
옛 라파누이어는 19세기 후반 페루의 노예추방 결과 거의 파괴되었다. 이스터 섬의 주민 다수가 페루인이 운영하는 광산에서 노예로 일하여, 그 대다수가 1860년대에 질병및 가혹한 대우때문에 사망하였고, 1870년대부터 80년대까지 노동력으로 사역시키기 위해 망가레바 섬에 남은 수백명의 다른 이스터 섬 주민들은 부분적으로 타히티어 피진을 쓰기 시작했다. 망가레바 섬에서 살아남은 이민자들이 다시 황폐하게 버려진 이스터 섬으로 돌아왔을 때, 이들이 말하던 타히티어 피진이 현대 라파누이어의 기초가 되었다.[4]
1935년-1969년의 기간 동안 이스터 섬에서 생활한 독일인 선교사 세바스찬 엥글레르트(Sebastian Englert)[5]는 1948년에 그의 저술에 부분적인 라파누이어-에스파냐어 사전을 출판하고 옛 라파누이어의 어휘를 보존하기 위하여 노력했다. 오자 등 많은 오류에도 이 책은 옛 라파누이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이 책은 현지인의 구전, 실제 회화내용및 풍부한 실례등을 제공하고 있다.[6]
미해독으로 남아 있는 유명한 롱고롱고 문자는 옛 라파누이어로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7]
현대 라파누이어
[편집]현대 라파누이어는 VSO형 언어로서 다른 폴리네시아어와 어휘면에서 규칙적인 대응관계에 있다. 동 폴리네시아어중에서는 형태론적으로 마르키스어와 가장 가깝지만, 다른 폴리네시아어에서 소실된 고자음을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는 점을 비교하면 음운론적으로는 마오리어와 공통부분이 많다.
폴리네시아어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비교적 자음의 개수가 적다. 동 폴리네시아어의 특징으로는 성문파열음을 보존하고 있다. 라파누이어에 대한 최근의 가장 중요한 저서로서는 Verónica du Feu의Rapanui (Descriptive Grammar) (ISBN 0-415-00011-4)가 있다.
음운
[편집]홀소리
[편집]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u | |
중모음 | e | ə | o |
저모음 | a |
닿소리
[편집]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g(/ŋ/) | |
파열음 | p | t | k | ꞌ(/ʔ/) |
마찰음 | v | h | ||
탄음 | r(/ɾ/) |
각주
[편집]- ↑ Revista Española del Pacífico. Asociación Española de Estudios del Pacífico (A.E.E.P.)}}. N.º3. Año III. Enero-Diciembre 1993을 참조. 온라인판 보관됨 2007-10-22 - 웨이백 머신도 참조
- ↑ Fischer를 참조
- ↑ Heyerdahl, Thor. Easter Island - The Mystery Solved. Random House New York 1989.
- ↑ Fischer, Steven Riger. Island at the end of the World - The Turbulent History of Easter Island. Reaktion Books Ltd. 2005. ISBN 1-86189-282-9. 114페이지 참조
- ↑ Online biography of Sebastian Englert 보관됨 2009-06-28 - 웨이백 머신 미네소타 주립대학의 웹사이트
- ↑ 엥글레르트의 온라인 사전 에스파냐어를 영어로 고친 것
- ↑ 롱고롱고문자와 이스터 섬 언어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가설
외부 링크
[편집]- (영어) Rapa Nui legends and traditions, both in Rapa Nui and in English, also from Rongorongo.org
- (영어) Easter Island Foundation's Rapa Nui Glossary
- (영어) Miki Makihara (Queens College), has several papers on contemporary Rapa Nui language and language revival efforts
- (영어) [1] 보관됨 2012-10-16 - 웨이백 머신 에스놀로그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