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동종면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종면역(同種免疫, 영어: alloimmunity 또는 isoimmunity)은 같은 의 구성원의 항원(동종항원(alloantigen, isoantigen))에 대한 면역 반응이다. 2개의 주된 동종항원의 종류로는 혈액형 항원[1]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항원이 있다.

거부 반응의 종류

[편집]

수혈 반응

[편집]

교차 적합 검사의 실패는 호환되지 않는 혈액 그룹헌혈액이 수혈될 수 있으므로 수혈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태아 및 신생아의 용혈병

[편집]

신생아 용혈성 질환은 어미의 항체가 태아의 항원을 용인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수혈 반응과 비슷하며, 임신 면역 내성이 손상을 입었을 때 발생한다. 수많은 예에 따르면 어미의 면역계는 태아의 혈액 세포를 공격하여 태아 빈혈을 일으킨다. 신생아 용혈성 질환은 그 정도가 약할 수도 있고 심각할 수도 있다. 심각한 경우 자궁 내 수혈 또는 생존을 위해 조속한 인도가 요구되지만, 약한 정도일 경우 출생 시 광선 치료만이 요구된다.[2]

이식 거부 반응

[편집]

급성 거부 반응

[편집]

급성 거부 반응은 항원 특정 Th1 및 세포독성 T 림프구에 의해 발생한다. 동종항원의 표출로 인하여 이식된 조직을 인지한다. 이식 후 처음 수일에서 수주 동안 이식의 거부 반응이 일어난다.[3]

초급성 및 촉진 거부 반응

[편집]

초급성 및 촉진 거부 반응은 동종이식편에 대한 항체 중재 면역 반응이다. 수용자의 혈액은 이식 전에 순환 중인 항체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데[3], 이는 과거의 면역 조치(예: 반복되는 수혈)에 의해 초래된 항체나 IgM이다.

만성 거부 반응

[편집]

만성 거부 반응은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았으나 동종항체와 사이토카인 생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관의 내피가 손상되기 때문에 이식편은 충분히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고 섬유 조직으로 대체된다. (섬유화)[4] 이러한 방식으로 이식편을 거부하는 일은 적어도 2개월이 소요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7th edition by Abul K. Abbas, Andrew H. Lichtman, Shiv Pillai, Saunders Copyright

각주

[편집]
  1. Isoantigen Archived 2016년 10월 9일 - 웨이백 머신 at eMedicine Dictionary
  2. http://www.allaboutantibodies.com
  3. Sánchez-Fueyo A, Strom TB (2011), Immunologic basis of graft rejection and tolerance following transplantation of liver or other solid organs. Gastroenterology 140(1):51-64
  4. Seetharam A, Tiriveedhi V, Mohanakumar T (2010), Alloimmunity and autoimmunity in chronic rejection. Curr Opin Organ Transplant 15(4):531-53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