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방송 성우극회
대원방송 성우극회( - 大元放送 聲優劇會)는 2008년 10월에 설립된 대원방송의 성우극회이다. 애니원, 애니박스, 챔프TV 통합 애니원 변경 등 대원방송의 각 채널 목소리를 담당하고 있다. 2년간의 전속기간 후 프리랜서로 활동하게 된다. 2008년 10월에 설립되었으며 2009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방송에 투입되고 있다. 3기까지는 2년 주기로 성우 공채를 실시했으나 그 이후부터는 한국방송 성우극회처럼 1년 주기로 성우공채 방식을 변경했으며, 뽑는 수도 소수로 바뀌게 되었다.
개요
[편집]투니버스 성우극회에 이어서 설립한 성우극회로 대원방송에서 상위기관을 맡고있다. 2002년 대원방송이 창사 및 개국을 하였지만 이 당시까지는 지상파 및 투니버스 성우극회 출신 등의 외부 성우들을 출연시켰으며 2008년에 가서야 본격적인 자사 성우극회를 설립하였고 이 때부터 자사 전속성우를 모집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1기 출신의 성우이자 방송인인 서유리가 있으며 문화방송 프로그램에도 출연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1기 출신 성우인 임하진(개명 전 임경명)의 성희롱 사건이 터지게 되면서 설립 이래 논란의 대상으로 오르기도 하였다.
특색
[편집]투니보이스 성우극회와 함께 케이블 애니메이션 채널 성우극회에 속해있으며 대원방송에서 공채를 통해서 선발된 성우들이 대원방송 채널(애니원, 애니박스등)에 출연하여 목소리 역할을 맡고 있다. 성우극회가 생기기 이전에는 투니보이스 성우극회 출신 및 지상파 출신 외부 성우들을 투입하였다가 2008년부터 1기 공채를 시작하여 이듬해인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1기 출신 성우들이 투입되었다.
임원 구성
[편집]연혁 및 명단
[편집]기수&년도 | 남자 성우 | 여자 성우 |
---|---|---|
1기(2008년) | 박서진, 서원석, 임하진, 최낙윤 | 김민정, 김성연, 서유리, 이명희, 이미나, 이재현, 이지현 |
2기(2010년) | 고구인, 디도, 심규혁, 이경태, 이동훈, 이재범 | 김연아, 김하영, 김나율, 이보희, 조경이 |
3기(2012년) | 김혜성, 신경선, 안효민, 이현 | 김도영, 문유정, 박고운, 윤아영, 이유리, 채민지 |
4기(2013년) | 이인석, 정주원 | 강시현, 김연우 |
5기(2014년) | 김현욱, 박요한, 황창영 | 곽규미, 송하림, 이새아 |
6기(2015년) | 김민주 | 윤은서, 장미, 장예나 |
7기(2016년) | 박성영, 서반석, 이창민 | 강은애, 김보나, 이다은 |
8기(2017년) | 김진홍, 이승행, 정의한 | 손선영, 원에스더 |
9기(2018년) | 장서화, 최현수 | 김예림, 김윤채, 비주언 |
10기(2019년) | 이주승, 임채빈, 정의택 | 성예원, 이은조 |
11기(2020년) | 박준원, 임혁 | 김채린, 신나리, 이세레나 |
12기(2021년) | 김종엽, 박준형, 원종준 | 권다예, 손정민, 이주은 |
13기(2022년) | 김병현, 오건우, 이동윤 | 미소, 김서현, 장채연 |
14기(2023년) | 김태환, 신우철, 장태혁 | 김진아, 양은한, 임지연 |
15기(2024년) | 채민혁, 하동연 | 김보연[1], 박혜진, 신이나 |
대원 공채 성우
[편집]- 男
- 최연소자: 하동연(1999년생 ; 15기)
- 최연장자: 임하진(1978년생 ; 1기)
- 女
- 최연소자: 김보연(2004년생 ; 15기)
- 최연장자: 김연아(1979년생 ; 2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