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경제학
농업경제학(農業經濟學, 영어: agricultural economics)은 식품 및 섬유 제품의 생산 및 유통을 최적화하는 데 경제 이론을 적용하는 것과 관련된 경제학의 응용 분야이다. 농업 경제학은 특히 토지 이용을 다루는 경제학의 한 분야로 시작되었다. 좋은 토양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작물 수확량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규율은 확장되었고 현재 규율의 범위는 훨씬 더 광범위하다. 오늘날 농업 경제학은 기존 경제학과 상당히 중복되는 다양한 응용 분야를 포함한다.[1][2][3][4] 농업경제학자들은 경제학, 계량경제학, 개발경제학, 환경경제학 연구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 농업경제학은 식품 정책, 농업 정책, 환경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농업 경제학자들은 거미줄 모델,[5] 쾌락 회귀 가격 모델,[6] 신기술 및 확산 모델( Zvi Griliches ),[7] 다중 요소 생산성 및 효율성 이론과 같은 모델을 통해 경제학 분야에 많은 잘 알려진 공헌을 했다. 농장 부문은 완전 경쟁 경제 패러다임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인용된다.
농업 경제학의 주요 주제
[편집]농업 환경 및 천연 자원
[편집]환경 경제학 분야에서 농업 경제학자들은 환경 외부 요인(예: 농업 생산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제어하기 위한 인센티브 설계 매력적인 시골 풍경), 경제 활동과 환경적 결과 사이의 복잡한 상호 관계 등의 분야에 기여했다.[8] 천연 자원과 관련하여 농업 경제학자들은 토지 관리 개선, 침식 방지, 해충 관리, 생물 다양성 보호 및 가축 질병 예방을 위한 양적 도구를 개발했다.[9]
식품 및 소비자 경제학
[편집]농업경제학 분야는 주로 농장 수준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농업경제학자들은 식량 소비의 경제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연구했다. 가격과 소득의 영향에 대한 경제학자들의 오랜 강조 외에도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정보와 품질 속성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농업 경제학자들은 가정에서 식품 구입 또는 집에서 준비하는 방법, 식품 가격 결정 방법, 빈곤 기준 정의, 소비자가 가격 및 소득 변화에 일관된 방식으로 반응하는 방법, 이해를 위한 조사 및 실험 도구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10]
생산 경제 및 농장 관리
[편집]농업 경제 연구는 농민의 비용 및 공급 반응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의 수확 체감에 대해 다루었다. 많은 연구가 농장 수준의 결정에 경제 이론을 적용했다. 불확실성 하에서의 위험 및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는 농작물보험 정책에 대한 실제 응용 프로그램과 개발도상국의 농부들이 기술 채택에 대한 선택을 이해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제는 물 부족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새로운 자원 및 환경 문제에 직면한 증가하는 세계 인구를 위해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전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11]
개발경제학
[편집]개발경제학은 저소득 국가의 생활 조건 개선 및 저소득 환경의 경제적 성과 개선과 광범위하게 관련되어 있다. 농업은 고용과 GDP 점유율 측면에서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농업 경제학자들은 개발 경제학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최전선에 서서 경제 발전, 경제 성장 및 구조적 구조에서 농업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변환. 많은 농업 경제학자들은 개발도상국의 식품 체계, 농업과 영양 간의 연결, 농업이 자연 환경과 같은 다른 영역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관심이 있다.[12][1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arl A. Fox (1987). "agricultural economics," The New Palgrave: A Dictionary of Economics, v. 1, pp. 55–62.
- ↑ B. L. Gardner (2001), "Agriculture, Economics of,"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v. 1, pp. 337-344. Abstract & outline.
- ↑ C. Ford Runge (2008). "agricultural economics,"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nd Ed., Abstract.
- ↑ Daniel A. Sumner, Julian M. Alson, and Joseph W. Glauber (2010). "Evolution of the Economics of Agricultural Polic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 92, pp. 403-423.
- ↑ Mordecai Ezekiel (February 1938). “The Cobweb Theorem” (PDF).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52 (2): 255–280. doi:10.2307/1881734. JSTOR 1881734. 2015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5일에 확인함.
- ↑ Waugh, F. (1928). “Quality Factors Influencing Vegetable Prices”. 《Journal of Farm Economics》 10 (2): 185–196. doi:10.2307/1230278. JSTOR 1230278.
- ↑ Griliches, Zvi (1957). “Hybrid Corn: An Exploration in the Economics of Technical Change”. 《Econometrica》 25 (4): 501–522. doi:10.2307/1905380. JSTOR 1905380.
- ↑ Catherine L. Kling, Kathleen Segerson and Jason F. Shogren (2010). "Environmental Economics: How Agricultural Economists Helped Advance the Fiel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 92, pp. 487-505.
- ↑ Erik Lichtenberg, James Shortle, James Wilen and David Zilberman (2010). "Natural Resource Economics and Conservation: Contributions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Agricultural Economist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 92, pp. 469-486.
- ↑ Laurian Unnevehr, James Eales, Helen Jensen, Jayson Lusk, Jill McCluskey and Jean Kinsey (2010). "Food and Consumer Economic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 92, pp. 506-521.
- ↑ Jean-Paul Chavas, Robert G. Chambers and Rulon D. Pope (2010). "Production Economics and Farm Management"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 92, pp. 356-375.
- ↑ Douglas Gollin, Stephen Parente and Richard Rogerson (2002). "The Role of Agriculture in Develop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 92, pp. 160-164.
- ↑ C. Peter Timmer (2002). "Agri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Handbook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2, Part A, pp. 1487-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