넙다리뒤근육
햄스트링 | |
---|---|
정보 | |
발음 | /ˈhæmstrɪŋ/ |
이는곳 | 궁둥뼈결절, 거친선 |
닿는곳 | 정강뼈, 종아리뼈 |
동맥 | 아래볼기동맥, 깊은넙다리동맥 |
신경 | 궁둥신경(정강신경, 온종아리신경)[1][2] |
작용 | 엉덩관절 폄, 무릎관절 굽힘 |
대항근 | 넙다리곧은근 |
식별자 | |
영어 | hamstring |
MeSH | D000070633 |
넙다리뒤근육[3](뒤넙다리근) 또는 넓적다리뒤근육 또는 햄스트링(hamstring)은 넓적다리 뒤쪽에 있는 넙다리두갈래근, 반힘줄근, 반막근의 세 개 근육을 통틀어 가리킨다. 안쪽에서 가쪽 순서로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두갈래근이 위치한다.[4] 햄스트링은 부상을 입기 쉬운 부위이다.[5]
기준
[편집]햄스트링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공통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세 근육들은 이 네 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하여 햄스트링이라고 불린다.
구조
[편집]넓적다리뒤칸의 근육 세 개(반힘줄근, 반막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긴갈래와 짧은갈래)는 모두 무릎을 굽히는 작용을 하지만, 이 중 넙다리두갈래근 짧은갈래의 경우 엉덩관절 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넙다리두갈래근 짧은갈래는 오직 무릎관절만을 가로지르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는곳과 신경 분포의 차이로 인해 햄스트링으로부터 제외하여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6]
근육 | 이는곳 | 닿는곳 | 신경 |
반힘줄근 | 궁둥뼈결절 | 정강뼈 안쪽 면 | 궁둥신경의 정강부분 |
반막근 | 궁둥뼈결절 | 정강뼈 안쪽관절융기 | 궁둥신경의 정강부분 |
넙다리두갈래근 - 긴갈래 | 궁둥뼈결절 | 종아리뼈 머리의 가쪽 면 | 궁둥신경의 정강부분 |
넙다리두갈래근 - 짧은갈래 | 거친선, 넙다리뼈 가쪽관절융기위능선 | 종아리뼈 머리의 가쪽 면 (긴갈래와 힘줄 공유) | 온종아리신경 |
큰모음근 일부도 햄스트링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6]
기능
[편집]햄스트링은 엉덩관절과 무릎관절, 두 개의 관절을 지나가며 그 두 관절에 작용한다.
반막근과 반힘줄근은 몸통이 고정된 상태일 때 엉덩관절을 편다. 또한 무릎을 굽히며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는 종아리를 안쪽으로 돌린다.
넙다리두갈래근의 긴갈래는 걷기 시작할 때 엉덩관절을 편다. 긴갈래와 짧은갈래 모두 무릎을 굽히며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는 종아리를 가쪽으로 돌린다.
걷기, 달리기, 점프하기, 볼기의 움직임 조절과 같은 여러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햄스트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걸을 때 햄스트링은 무릎이 펴지는 것을 느리게 하면서, 넙다리네갈래근의 대항근 역할을 한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스포츠 부상
[편집]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과도하게 엉덩관절을 굽히게 되면 햄스트링이 허용 범위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는 여러 스포츠 종목들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부상이다.[5][7] 단거리 달리기를 하는 동안, 다리를 흔드는 단계에서 원심성(eccentric) 수축이 발생하면서 근육에 큰 부담이 가해지면 햄스트링 부상을 입을 수 있다.[5][7] 스포츠나 전문 댄서들 사이의 전반적인 햄스트링 부상 발생률은 활동 1000시간당 2건 정도이다.[5] 일부 스포츠들에서는 햄스트링 부상이 전체 스포츠 부상의 19%를 차지하며, 부상으로 인해 평균 24일의 시간 손실이 생긴다.[5]
영상 촬영
[편집]햄스트링의 영상 촬영에는 초음파나 MRI를 이용한다.[8] 넙다리두갈래근이 가장 자주 부상을 입으며 그 다음은 반힘줄근이 잘 부상을 입는다. 반막근의 부상은 드물다. 영상 촬영은 좌상의 등급을 매기는 데에 유용하며, 특히 근육이 완전히 파열되었을 때 더 유용하다.[9] 이 세팅에서는 근육이 얼마나 뒤로 이동했는지 판단할 수 있으므로 수술하기 전의 유용한 로드맵으로 활용할 수 있다. 햄스트링 좌상의 길이가 60mm보다 긴 경우 재발 위험이 크다고 본다.[10]
수술에서의 활용
[편집]먼쪽 반힘줄근의 힘줄은 앞십자인대 재건술에 이용할 수 있는 힘줄 중 하나이다. 이 수술에서는 앞십자인대(ACL)를 대체하기 위해 반힘줄근 힘줄의 일부를 사용한다. 앞십자인대는 무릎에 존재하는 네 개의 주요 인대(나머지는 뒤십자인대, 안쪽곁인대, 가쪽곁인대) 중 하나이다.
역사
[편집]어원
[편집]'Ham'이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에서 무릎을 굽힌다는 뜻인 'ham' 또는 'hom'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게르만어파에서 '구부러진'이라는 뜻을 가진 데에 기초한다. 동물의 다리라는 뜻을 얻은 것은 15세기 전후이다.[11] 'String'은 힘줄을 의미하며, 따라서 'hamstring'은 무릎 뒤쪽에서 느껴지는 실과 같은 힘줄'을 의미한다.[1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University of Glasgow - Schools - School of Life Sciences”. 《www.gla.ac.uk》.
- ↑ “Biceps Femoris - Short Head — Musculoskeletal Radiology — UW Radiology”. Rad.washington.edu. 2012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hamstring&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 ↑ Mayo Clinic Staff (2015년 10월 3일). “Hamstring injury”. Mayo clinic.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Danielsson, Adam; Horvath, Alexandra; Senorski, Carl; Alentorn-Geli, Eduard; Garrett, William E.; Cugat, Ramón; Samuelsson, Kristian; Hamrin Senorski, Eric (2020년 9월 29일). “The mechanism of hamstring injuries – a systematic review”.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1 (1): 641. doi:10.1186/s12891-020-03658-8. ISSN 1471-2474. PMC 7526261. PMID 32993700.
- ↑ 가 나 postthigh Wesley Norman의 The Anatomy lesson (조지타운 대학교)
- ↑ 가 나 Kenneally‐Dabrowski, Claire J. B.; Brown, Nicholas A. T.; Lai, Adrian K. M.; Perriman, Diana; Spratford, Wayne; Serpell, Benjamin G. (2019년 5월 22일). “Late swing or early stance? A narrative review of hamstring injury mechanisms during high‐speed running”.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29 (8): 1083–1091. doi:10.1111/sms.13437. ISSN 0905-7188. PMID 31033024. S2CID 139106410.
- ↑ Koulouris G, Connell D (2003). “Evaluation of the hamstring muscle complex following acute injury”. 《Skeletal Radiol.》 32 (10): 582–9. doi:10.1007/s00256-003-0674-5. PMID 12942206. S2CID 23597752.
- ↑ Schache AG, Koulouris G, Kofoed W, Morris HG, Pandy MG (2008). “Rupture of the conjoint tendon at the proximal musculotendinous junction of the biceps femoris long head: a case report.”.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6 (8): 797–802. doi:10.1007/s00167-008-0517-y. PMID 18360748. S2CID 23953024.
- ↑ Koulouris G, Connell DA, Brukner P, Schneider-Kolsky M (2007). “Magnetic resonance imaging parameters for assessing risk of recurrent hamstring injuries in elite athletes.”. 《Am J Sports Med》 35 (9): 1500–6. doi:10.1177/0363546507301258. PMID 17426283. S2CID 174755.
- ↑ Brown, Lesley, ed. (2007).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II (Six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3611.
- ↑ “Online Etymology Dictionary”. Etymonline.com. 2012년 11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