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발가락굽힘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긴발가락굽힘근
아래에서 본 모습
정보
이는곳정강뼈 몸통 뒷면
닿는곳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발가락의 먼쪽발가락뼈 바닥, 발바닥쪽 면
동맥뒤정강동맥
신경정강신경
작용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발가락을 굽힘
대항근긴발가락폄근, 짧은발가락폄근
식별자
라틴어musculus flexor digitorum longus
영어flexor digitorum longus muscle
TA98A04.7.02.052
TA22667
FMA51071

긴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longus muscle) 또는 장지굴근(長趾屈筋)은 사람의 종아리 안쪽에 위치하는 근육이다. 이는곳에서는 얇고 뾰족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아래로 내려올수록 점차 그 크기가 커진다.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발가락을 굽히는 작용을 한다.

구조[편집]

긴발가락굽힘근은 종아리 아래쪽의 뒤안쪽 측면을 따라 주행하여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발가락을 굽히는 작용을 한다.

긴발가락굽힘근은 정강뼈 몸통 뒷면에서 일어나는데, 이는곳의 범위는 가자미근선 바로 아래에서부터 정강뼈 끝에서 7~8cm 정도 윗부분까지이다. 뒤정강근이 정강뼈에서 이는곳보다 안쪽이다. 또한 뒤정강근을 덮고 있는 근막에서도 일어난다.

긴발가락굽힘근의 근섬유는 힘줄이 되면서 끝나며, 이 힘줄이 주행하는 길이는 긴발가락굽힘근의 뒷면 전체 길이와 거의 맞먹는다.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은 안쪽복사 뒤쪽의 고랑을 따라 지나간다. 이때 뒤정강근의 힘줄 역시 이 고랑을 따라 지나가지만, 두 근육의 힘줄은 섬유성의 사이막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의 힘줄이 따로 윤활집으로 둘러싸여 있다. 한편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과 뒤정강근의 힘줄은 안쪽복사 위쪽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는데, 이 교차 지점을 종아리힘줄교차(crural tendinous chiasm)라고 한다.[1][2][3] 이후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은 발목굴을 통과한다.[4]

힘줄은 앞가쪽으로 비스듬히 주행하는데, 이때 발목관절세모인대보다 얕은쪽에 위치한다. 발바닥으로 들어간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은 발배뼈 높이에서 긴엄지굽힘근의 힘줄을 가로지른다. 이 교차하는 지점을 헨리의 매듭(knot of henry)[5] 또는 발바닥힘줄교차(plantar tendinous chiasm)라고 한다.[1][2][3] 또한 여기서 긴엄지굽힘근의 힘줄로부터 강력한 힘줄 슬립을 받는다.

이후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줄은 넓어지면서 발바닥네모근과 합류하고, 최종적으로 네 개의 힘줄로 갈라진다. 네 힘줄은 각각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발가락의 먼쪽발가락뼈 바닥에 닿는다. 이때 각각의 힘줄들은 각자 대응하는 짧은발가락굽힘근 힘줄에 나 있는 구멍을 통해 몸쪽발가락사이관절을 통과한다.

기능[편집]

긴엄지굽힘근이나 뒤정강근과 마찬가지로, 긴발가락굽힘근 역시 발의 발바닥굽힘과 안쪽번짐에 관여한다. 긴발가락굽힘근은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발가락을 움직이고 구부리는 역할을 한다. 주로 발가락으로 발이 닿는 바닥 표면을 쥐는 작용을 하는데, 이는 서 있을 때 거칠거나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자세를 유지하는 데에 중요하다.

참고 문헌[편집]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485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Walter Thiel (1997) Photographic atlas of practical anatomy - Volume 1, Part 1 - p.348
  2. Johannes Sobotta, Reinhard Putz, Reinhard Pabst (1997) Sobotta Atlas of Human Anatomy: Thorax, abdomen, pelvis, lower limb, p.331
  3. Jan Langman, Martinus Willem Woerdeman (1982) Atlas of medical anatomy p.323
  4. Gujar, Bansari; Flores, Raymond H. (2015년 1월 1일), Hochberg, Marc C.; Silman, Alan J.; Smolen, Josef S.; Weinblatt, Michael E., 편집., “81 - Entrapment neuropathies and compartment syndromes”, 《Rheumatology (Six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Mosby), 671–682쪽, doi:10.1016/b978-0-323-09138-1.00081-4, ISBN 978-0-323-09138-1 
  5. Knipe, Henry. “Knot of Henry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 Radiopaedia.org”. 《Radiopaedia》. 2020년 10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