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철
남의철 | |
---|---|
기본 정보 | |
본명 | 남의철 |
별명 | 코리안 불도저(The Korean Bulldozer) |
국적 | ![]() |
출생일 | 1981년 7월 16일 | (41세)
출생지 | ![]() |
신장 | 175cm |
체중 | 70kg |
체급 | 라이트급, 페더급 |
손끝 거리 | 175cm |
소속팀 | 팀파시강남 |
활동 연도 | 2006년 ~ 현재 |
남의철(1981 ~ )은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내력[편집]
2006년 2월 국내 종합격투기 단체 스프릿 MC에서 프로 데뷔, 그해 10월 유우성을 꺾고 스프릿 MC 웰터급 챔피언에 올랐다.[1] 하지만 부상으로 규정상의 의무방어 기간을 맞추지 못해 타이틀을 자동상실했다.[2]
이후 M-1 글로벌, 레전드 FC 등에서 활동하다가 2010년 신생 종합격투기 단체 로드 FC와 계약했고, 2013년 6월 로드 FC 라이트급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구메 다카스케를 꺾고 우승,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1차 방어(구메 다카스케와의 리매치)까지 성공했다.[3]
2013년 1월 UFC에 진출했다. 하지만 1승 2패의 성적을 남긴 채 2016년 2월 UFC와의 재계약에 실패했다.[4]
종합격투기 전적[편집]
프로 종합격투기 전적 | |||||||
---|---|---|---|---|---|---|---|
27 시합 | (T)KO | 항복 | 판정 | 실격 | 그 밖 | 비김 | 무효 |
18 승 | 8 | 1 | 9 | 0 | 0 | 1 | 0 |
8 패 | 2 | 1 | 5 | 0 | 0 |
결과 | 누적 전적 | 상대 |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승 | 19–8–1 | ![]() |
TKO (펀치) | Road FC 043 | 2017.10.28 | 1 | 2:49 | ![]() |
라이트급 매치 |
패 | 18–8–1 | ![]() |
KO (펀치) | Road FC 040 | 2017.07.15 | 1 | 0:07 | ![]() |
백만불 라이트급 토너먼트 본선 |
패 | 18–7–1 | ![]() |
TKO (펀치) | Road FC 038 | 2017.04.15 | 2 | 2:30 | ![]() |
백만불 라이트급 토너먼트 인터내셔널 B조 예선 |
패 | 18–6–1 | ![]() |
판정 (2-1) | UFC Fight Night: Henderson vs. Masvidal | 2015.11.28 | 3 | 5:00 | ![]() |
페더급 매치 |
패 | 18–5–1 | ![]() |
판정 (2-1) | UFC Fight Night: Edgar vs. Faber | 2015.05.16 | 3 | 5:00 | ![]() |
페더급 매치 |
승 | 18–4–1 | ![]() |
판정 (2-1) | The Ultimate Fighter China Finale: Kim vs. Hathaway | 2014.03.01 | 3 | 5:00 | ![]() |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승 | 17–4–1 | ![]() |
판정 (3-0) | Road FC 013 | 2013.10.12 | 3 | 5:00 | ![]() |
라이트급 타이틀 1차 방어전 |
승 | 16–4–1 | ![]() |
판정승 (2-1) | Road FC 011 | 2013.04.13 | 4 | 5:00 | ![]() |
라이트급 토너먼트 결승전 |
승 | 15–4–1 | ![]() |
KO (펀치) | Road FC 010 | 2012.11.24 | 3 | 5:00 | ![]() |
라이트급 토너먼트 4강전 |
승 | 14–4–1 | ![]()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Road FC 009: Beatdown | 2012.09.15 | 1 | 1:32 | ![]() |
라이트급 토너먼트 8강전 |
패 | 13–4–1 | ![]() |
판정승 (0-3) | Legend FC - Legend Fighting Championship 8 | 2012.03.30 | 2 | 0:58 | ![]() |
라이트급 챔피언십 |
승 | 13–3–1 | ![]() |
판정승 (3-0) | Road FC 005: Night of Champions | 2011.12.03 | 3 | 5:00 | ![]() |
|
승 | 12–3–1 | ![]() |
판정 (3-0) | Road FC 004: Young Guns | 2011.10.03 | 3 | 5:00 | ![]() |
|
승 | 11–3–1 | ![]() |
TKO (펀치) | Legend FC - Legend Fighting Championship 5 | 2011.07.16 | 2 | 1:12 | ![]() |
|
패 | 10–3–1 | ![]() |
판정 (1-2) | Legend FC - Legend Fighting Championship 4 | 2011.01.27 | 3 | 5:00 | ![]() |
|
승 | 10–2–1 | ![]() |
KO (펀치) | Road FC 001: The Resurrection of Champions | 2010.10.23 | 1 | 4:00 | ![]() |
|
무 | 9–2–1 | ![]() |
무승부 | Legend FC - Legend Fighting Championship 1 | 2010.01.11 | 3 | 5:00 | ![]() |
|
승 | 9–2 | ![]() |
판정 (3-0) | M-1 Challenge 17: Korea | 2009.07.04 | 3 | 5:00 | ![]() |
|
패 | 8–2 | ![]() |
판정 (3-0) | M-1 Challenge 14: Japan | 2009.04.29 | 2 | 5:00 | ![]() |
|
패 | 8–1 | ![]() |
판정 (2-0) | M-1 Challenge 9: Russia | 2008.11.21 | 2 | 5:00 | ![]() |
|
승 | 8–0 | ![]() |
TKO (펀치) | Spirit MC 18 - The Champion | 2008.08.31 | 1 | 0:52 | ![]() |
|
승 | 7–0 | ![]() |
TKO (펀치) | Spirit MC 10 - Welterweight GP Final | 2006.11.04 | 2 | 0:22 | ![]() |
웰터급 (-70 kg) 챔피언십 |
승 | 6–0 | ![]()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Spirit MC 10 - Welterweight GP Final | 2006.11.04 | 2 | 1:55 | ![]() |
|
승 | 5–0 | ![]() |
판정 (2-0) | Spirit MC 9 - Welterweight GP Opening | 2006.10.08 | 3 | 5:00 | ![]() |
|
승 | 4–0 | ![]() |
판정 (3-0) | Spirit MC 8 - Only One | 2006.04.22 | 3 | 5:00 | ![]() |
|
승 | 3–0 | ![]() |
TKO (펀치) | Spirit MC 8 - Only One | 2006.04.22 | 1 | 0:23 | ![]() |
|
승 | 2–0 | ![]() |
TKO (펀치) | Spirit MC - Interleague 3 | 2006.02.11 | 1 | 1:33 | ![]() |
|
승 | 1–0 | ![]() |
KO (펀치) | Spirit MC - Interleague 3 | 2006.02.11 | 1 | 2:32 | ![]() |
각주[편집]
- ↑ “'저돌파이터' 남의철, 스피릿MC 웰터급 챔피언 등극”.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 ↑ “전 챔프 남의철 드디어 스피릿MC 컴백”.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 ↑ “[로드 FC] 권아솔, 라이트급 챔피언 등극...구메에 판정승”.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 ↑ “UFC 남의철, 계약 연장 실패…FA 됐다 - 스포츠투데이 - TV보다 재밌다”. 2018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전임 초대 |
제1대 로드 FC 라이트급 챔피언 2013년 4월 13일 ~ 2014년 2월 (타이틀 반납) |
후임 권아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