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도균 (교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도균
출생1966년 (음력)
전라북도 부안군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학력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스포츠경영학 박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경영학과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사회체육학과 석사)
경희대학교(체육학과 학사)
중동고등학교(졸업)
직업대학 교수, 스포츠마케터
소속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교수)
배우자김지숙
자녀아들: 김진석 / 김진혁
딸: 김예진 / 김수진
웹사이트프리미엄 컨텐츠
인스타그램
스포츠마케팅 페이스북
개인 페이스북

김도균(1966년~)은 대한민국의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이며, 現경희대학교 체육 대학원의 교수이다.

생애[편집]

중동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에서 체육학 학사를 취득한 뒤 나이키 스포츠에서 8년동안 스포츠 마케팅팀에 근무하면서 대한민국 스포츠 마케팅의 기초를 놓았다.

나이키 근무 중에 경희대학교 사회 체육 석사 학위를, 한국체육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나이키 퇴사후 World Cyber Games에 입사하여 e스포츠를 기반으로 한 사이버 올림픽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16개 국가를 초청하여 세계적인 게임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후 2002 한일 월드컵2002 부산 아시안 게임을 관리하는 ISL에 마케팅 이사로 근무하며 한일 월드컵 경기와 부산 아시안 게임 마케팅 업무를 총괄하였다.

2002년 9월 경희대학교에 입사하여 스포츠 산업- 마케팅 – 경영을 강의해오고 있다.

교수로서 각종 국제 이벤트(2018 평창 동계 올림픽,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1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자문역할을 담당하여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노력하였고, 스포츠 산업 협회장, 한국 체육 학회 회장, 스포츠 AI 빅데이터 학회장, 데상트 스포츠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스포츠 산업 및 마케팅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경력[편집]

  • 2024~ 스포츠 AI 빅데이터 학회 회장
  • 2024~ 데상트 스포츠 재단 이사장
  • 2023~2024 경희대학교 교수의회 전체 의장
  • 2023~2024 경희대학교 대학평의원회 의장
  •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지원 부단장
  • 2022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지원 부단장
  • 2021 ~ 대한 장애인 체육회 마케팅 위원장
  • 2021.1~2023.1 장애인 체육회 이사
  • 2021.4~2023.4 대한체육회 이사
  • 2020 도쿄 하계 패럴림픽 지원 부단장
  • 2020.12~2022.12 제27대 한국체육학회 회장
  • 2019 광주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자원 봉사자 권익 부위원장
  • 2018.2~2018.4 평창 동계 올림픽 권익 위원장
  • 2018.1~2020.12 한국스포츠산업협회 회장
  • 2019.1~2020.12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회장
  • 2017.7~2019.12 한국3대3농구연맹 회장
  • 2016.12~2017.12 한국스포츠산업협회 회장 직무대행
  • 2016.11~2019.12 대한피트니스전문가협회 회장
  • 2014.2~2018.2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부장, 부학장
  • 2014.1~2015.12 세계생활체육연맹 TAFISA 마케팅 커미셔너
  • 2014.1~2015.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사무총장, 부회장
  • 2014.1~2016 스포츠산업포럼 위원장
  • 2014.1~ 한국스포츠미디어학회 부회장
  • 2014.1~ 스포츠애널리스트협회 부회장
  • 2014.1~2019.12 경기도체육회 이사
  • 2013.5~2017.4 대한체육회 미래전략위원회 위원
  • 2013~2014 문화 체육 관광부 스포츠산업 잡페어 준비위원장
  • 2012.3.~ 2018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자문위원
  • 2011~2016 국민생활체육회 자문위원
  • 2010.1~2011.2 미국 U.C. 버클리 무도학과 교환교수
  • 2010~2017 문화 체육 관광부 스포츠산업 정책 자문위원
  • 2010~2014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마케팅 자문위원
  • 2009~2013 국민체육진흥공단 자문위원
  • 2007~2013 삼성경제연구소 스포테인먼트 경영 진행 교수
  • 2006~2013 경희대학교 3급 생활체육지도자 연수원 원장
  • 2002~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교수
  • 2001~2002 스포츠 마케팅 코리아 마케팅 이사
  • 1999~2000 월드 사이버 게임즈 마케팅 팀장
  • 1998~2010 두잇나우 대표이사
  • 1991~1998 나이키 스포츠 코리아 스포츠 이벤트 마케팅 팀장

수상[편집]

  • 2023 대한민국 공헌 대상 (체육 대상 수상)
  • 202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장
  • 2021 한국스포츠미디어학회 어워즈 올해의 스포츠 학술 대상
  • 2020 대한체육회장상
  • 2019 국무총리 표창
  • 2016 한국스포츠문화재단 스포츠 문화상
  • 2015 스승의날 대통령 근정포장
  • 2014 한국스포츠산업협회 공로상
  • 2010 경희대학교 2008 연구성과 우수 교원 공로상
  • 2009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장 (스포츠산업)

저서[편집]

  • 스포츠 비즈니스 (2000. 오성출판사)
  • 전략적인 현대 스포츠 경영 (2001. 금광출판사)
  • 스포츠마케터 관리과정 교재 (2003.스포츠 과학 연구원)
  • FIFA 월드컵 마케팅 (2004. 오성출판사)
  • 스포츠 이벤트 기획 (2008. 대한미디어)
  • 스포츠마케팅 (2011. 오래 출판사)
  • 스포츠마케터의 세상(쉬운 길, 험한 길, 멋진 길!) (2021. DH미디어)

외부 링크[편집]

  • 월드컵 응원의 승리학[1]
  • 축구의 신 ‘메시’아(Messi-ah)[2]
  • 슈퍼 Sonny! 등번호 7번이 위대한 이유[3]
  • 다시 대한민국 ! 다시 스포츠[4]
  • 경기 시작 전! 대통령 당선자에게[5]
  • 흥미징! 베이징~ 동계 올림픽 10가지 키워드[6]
  • 패럴림픽, 대한민국이 주인 그 비밀[7]
  • 장애인 차별 종식을 위한 #WeThe15 캠페인[8]
  • 2021 스포츠 산업 트렌드 C_O_R_O_N_A![9]
  • 2020 도쿄올림픽이 남긴 메달보다 중요한 성과[10]
  • 2020 도쿄 올림픽의 4무(無)[11]
  • 흔들리는 독도와 올림픽 참여! 체육인이 뭉쳐야 한다[12]
  • 코로나가 변화시킨 新 스포츠 산업 트렌드[13]
  • 스포츠 산업, post 코로나를 with 코로나로[14]
  • 대한 체육회 100주년, 국민과 함께할 100년[15]
  • 깡(GANG)다구가 필요해[16]
  • 코로나 변화의 물결 속에서[17]
  • 병사가 아닌 아사 직전에 빠진 스포츠 산업[18]
  • 멈춘 스포츠! 사라진 스포츠 정책[19]
  • 스포테인먼트로 속도를 내보자[20]
  • 배려와 참여의 로테이션 전술[21]
  • 디지털시대 스포츠 소비 트렌드[22]
  • 내가 꿈꾸는 승리, INVICTUS 불굴의 정신[23]
  • 82년생 김지영 그녀가 체육인이라면[24]
  • 마(魔)의 벽을 뛰어넘는 도전[25]
  • 메이저리그를 점령한 류현진의 부드러움![26]
  • 야구공 반발력 계수의 흥행학[27]
  • 중국은 6차 스포츠 산업 강국[28]
  • 2019년 스포츠 소비 산업 트렌드 - ① Contents-oriented[29]
  • 런던 올림픽의 경제학[30]

각주[편집]

  1. “[김도균의 스포츠 경제학] 월드컵 응원의 승리학”. 2022년 11월 27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축구의 신 ‘메시’아(Messi-ah)”. 2022년 12월 19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3.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슈퍼 Sonny! 등번호 7번이 위대한 이유”. 2022년 5월 23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4.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다시 대한민국 ! 다시 스포츠”. 2022년 5월 9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5.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경기 시작 전! 대통령 당선자에게”. 2022년 3월 10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6.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흥미징! 베이징~ 동계 올림픽 10가지 키워드”. 2022년 2월 4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7.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패럴림픽, 대한민국이 주인 그 비밀”. 2021년 8월 24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8.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장애인 차별 종식을 위한 #WeThe15 캠페인”. 2021년 8월 26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9.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2021 스포츠 산업 트렌드 C_O_R_O_N_A!”. 2021년 1월 10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0.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2020 도쿄올림픽이 남긴 메달보다 중요한 성과”. 2021년 8월 9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1.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2020 도쿄 올림픽의 4무(無)”. 2021년 7월 22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2.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흔들리는 독도와 올림픽 참여! 체육인이 뭉쳐야 한다”. 2021년 6월 14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3.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코로나가 변화시킨 新 스포츠 산업 트렌드”. 2020년 4월 8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4.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스포츠 산업, post 코로나를 with 코로나로”.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5.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대한 체육회 100주년, 국민과 함께할 100년”.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6.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깡(GANG)다구가 필요해”.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7.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코로나 변화의 물결 속에서”.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8.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병사가 아닌 아사 직전에 빠진 스포츠 산업”. 2020년 4월 13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19. “[김도균의 스포츠경제학] 멈춘 스포츠! 사라진 스포츠 정책”. 2020년 4월 1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0.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스포테인먼트로 속도를 내보자”.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1.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스포테인먼트로 속도를 내보자”.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2.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디지털시대 스포츠 소비 트렌드”.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3.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디지털시대 스포츠 소비 트렌드”.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4.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82년생 김지영 그녀가 체육인이라면”.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5.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마(魔)의 벽을 뛰어넘는 도전”.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6. “[김도균의 오메이징 스토리] 메이저리그를 점령한 류현진의 부드러움!”. 2019년 10월 1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7.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김도균 칼럼] 야구공 반발력 계수의 흥행학”.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8. “[김도균의 스포츠 경제학] 중국은 6차 스포츠 산업 강국”. 2019년 5월 29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29. “[김도균의 스포츠 경제학] 2019년 스포츠 소비 산업 트렌드 - ① Contents-oriented”. 2019년 1월 1일.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 
  30. “[김도균의 스포츠 마케팅]런던 올림픽의 경제학”. 2024년 5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