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이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상이변(氣象異變) 또는 극한기후(영어: extreme weather) 또는 이상기상(異常氣象)은 평상시 기후의 수준을 크게 벗어난 기상현상을 의미하며, 보통 30년을 기준으로 삼는다. 기상이변의 원인은 여러 가지이며, 지구 온난화, 엘니뇨, 북극진동, 제트기류 등이다. 하지만 엘니뇨와 라니냐는 수년에 한번씩 찾아오는 현상으로 전제해본다면 기상이변은 지구온난화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거에 경험한 일기 상태와 크게 차이가 나는 기상현상을 기상이변의 기준으로 삼고있으나 기상이변(또는 이상기상)의 정의보다는 기상이변의 원인에 보다 주목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context)에서 세계기상기구(WMO)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기온과 강수량을 대상으로 정량적 통계분석에 의한 이상기상의 발생수와 변화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월평균기온이나 월강수량이 30년에 1회 정도의 확률로 발생하는 기상현상을 "이상기상"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월평균기온이 정규분포인 경우 평균값으로부터 편차가 표준편차의 2배 이상 차이가 있을 때를 "이상고온" 또는 "이상저온"이라 하고, 월강수량이 과거 30년간의 어떤 값보다 많은 때를 "이상다우", 적을 때를 "이상소우"(異常少雨) 라고 하고 있다.

1999년 오클라호마주 아나필코를 강타한 토네이도

기상이변의 원인[편집]

기상이변의 원인에 대한 많은 의견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자들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현상이라는 입장에 동의한다. 온난화 현상 자체는 과거에도 있었다고 보고되고있으나, 이러한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에 접어들면서 다루어지고있는 온난화라는 의미는 19세기 후반부터 관측되고 있는 온실가스의 증가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보는 견해를 지지하는 온난화를 가리킨다. 한편 1972년 로마클럽 보고서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이슈로 거론된 온난화는 이후 1985년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연합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에서 이산화탄소(CO2)를 온난화의 주된 원인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일반인에게 온난화의 존재는 1988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지구온난화에 대한 발언을 계기로 알려지게 됐다. 19세기 후반부터 온실가스는 인위적인 온실기체가 과거 일반적이고 자연적인 현상으로서의 온실기체와 상이하고 환경파괴에 심각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하는 바가 크다.[1][2][3]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참고](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SCIENCEON-기상이변의 주범은 지구온난화)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SCTM00108003
  2. [참고](사이언스타임즈-기상이변의 주범은 지구온난화,기후변화 방안 마련해야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8%b0%ec%83%81%ec%9d%b4%eb%b3%80%ec%9d%98-%ec%a3%bc%eb%b2%94%ec%9d%80-%ec%a7%80%ea%b5%ac%ec%98%a8%eb%82%9c%ed%99%94/
  3. [참고](YTN-동계올림픽 열릴 베이징에...'상징적' 기상이변)https://www.ytn.co.kr/_ln/0134_202111081928559297